Earticle

Home

해외 TV 프로그램 제작자 아이디어 채택에 관한 연구 : Charmas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관점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 of Ideas by International TV Program Producers : From the Perspective of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에듀테인먼트연구 바로가기
  • 통권
    Vol. 6 No. 1 (2024.03)바로가기
  • 페이지
    pp.109-132
  • 저자
    신민정, 송보나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4375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lanning process of broadcast program production, focusing on the roles of screenwriters, producers, and creators in implementing and adopting ideas, fostering novel concepts, and expressing creativ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e participants were professionals in the international broadcasting industry, specifically in the fields of education, entertainment, and documentary.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on the adoption of ideas from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an interest in history and archaeology that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Second, there was a high interest in new formats. Third, there was an emphasis on reality, including the portrayal of plausible authenticity in entertainment directed productions. Fourth, there was a desire for cinematic camera direction. Fifth, there was a preference for presenters from famous personalities and expert groups. Sixth, innovative experience, such as role-reversal ideas, was utilized. Seventh, there was a tendency to adopt ideas from popular subjects. Eighth, any material that could be remade was being adopted through remaking to generate new ideas. Ninth, the production of programs reflects a public-spirited character that mirrors reality. Tenth, ideas were being adopted from personal privacy and human empathy within families and individuals. However, it was shown that modern life is illuminated using various digital environments and concepts through diverse SNS.
한국어
본 연구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책임지는 방송작가, 프로듀서, 제작자들이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아이디어 구현 및 채택’,‘참신한 발상’, ‘창의성 발현’ 등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방법은 ‘샤마즈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해외 방송산 업 제작자들로 종사 분야는 교양, 예능 다큐멘터리로 한정하였다. 연구참여자들로부터 ‘아이디어 채 택’에 관하여 얻은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지식을 기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 사, 고고학 등에 먼저 관심을 가진다. 둘째, 새로운 형식에 관심이 높았다. 셋째, 리얼리티(Reality)를 강조 한다. 연출에 의한 예능에서도 그럴듯한 사실성을 프로그램에 담아내고자 했다. 넷째, 영화적인 카메라 연출을 원한다. 다섯째, 유명인과 전문가 집단의 프리젠터를 선호했다. 여섯째, 색다른 경험. 역할 바꾸기 아이디어도 사용했다. 일곱 번째, 대중적인 소재에서 아이디어를 채택하려는 경향이 컸다. 여덟 번째, 리 메이크할 수 있는 모든 소재는 리메이크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있었다. 아홉 번째, 현실이 투영된 공익적 성격의 프로그램 제작이다. 열 번째, 개인의 사생활과 인간적인 공감대를 가질 수 있는 가 정과 개인에게서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있었다. 다만, 다양한 SNS을 이용한 디지털 환경의 콘셉트를 이용 하여 현대인의 삶을 조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선행연구
Ⅱ. 이론적 배경
1. 근거이론
2.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Ⅲ. 분석 방법
1. 연구 참여자 선정
2. 자료 수집 및 분석 기술
Ⅳ. 연구결과
1. Coding Process: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
2. 초점코딩: 연구자의 해석적 관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신민정 [ Sin-Min-Jeong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극작과 강사(Lecturer,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 송보나 [ Bona Song | 동서울대학교 디지털방송콘텐츠학과 강사 (Lecturer, Dong-Seoul University)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Korean Edutainment Society]
  • 설립연도
    2019
  • 분야
    복합학>학제간연구
  • 소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는 에듀케이션(education)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의 합성어로 게임을 하듯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에듀테인먼트는 학습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수업에서의 오락성 즉, 도전성, 몰입, 모험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에듀테인먼트 영역에서는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재미요소를 통해 학습동기를 강화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전략의 사용을 강조한다. 그 동안 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엄청나게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이나 평생교육에서는 강의중심 수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실질적인 변화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는 고대부터 중시되어 왔던 암기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즐겁고 흥미로운 교육 즉, 엔터테인먼트를 지향하는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학교와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에서 학습자에게는 흥미와 재미, 즐거움을 통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루며, 교수자에게는 즐거움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다룬다. 또한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영역에서 오락성 즉, 엔터테인먼트를 강조하고, 이를 통한 학습효과를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학회이다.

간행물

  • 간행물명
    에듀테인먼트연구 [Journal of the Edutainment]
  • 간기
    계간
  • pISSN
    2671-9789
  • eISSN
    2672-0329
  • 수록기간
    2019~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70 DDC 37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에듀테인먼트연구 Vol. 6 No. 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