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오늘날 지구온난화 문제와 관련해서 기상과 기후의 장기적 변동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역사학 쪽에서도 장기간의 기상 및 기후 변동과 그것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기시작했다. 이런 학술적 경향은 산업화가 빨랐던 유럽과 미국에서는1960년대 이후 시작되었고, 한국도 최근 그런 경향의 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전근대의 기상 및 기후 연구와 관련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국가적 수준에서 기상 및 기후현상을500년 넘게 지속적으로 축적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이 가지는 이러한 가치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조실록의 기상 및 기후기록을 그대로 오늘날의 통계수치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조선왕조실록의 기상 및 기후 기록은 오늘날과는 다른 목적에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록을 우리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려면 일종의전환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수많은 기후 및 기상 기록 중에서특히 가뭄현상에 관한 기록에 주목했다. 그 일차적 이유는 전체 기후및 기상 기록 중에서 가뭄 기록이 절반을 넘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갖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은 가뭄 기록 그 자체보다 가뭄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부의 대응에도 수 십 가지 방식이있었지만, 여기서는 특히 기우제‧금주령‧관형‧사시라는 4가지 방식에초점을 맞추었다. 이 4가지는 가뭄이 지속되는 기간 중에 취해지는 조치였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며 태조‧정종연간에는 가뭄이 흉년으로 이어진 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태종연간에도 태종4년까지는 그러한 흐름이계속되었다. 하지만 태종5‧ 7년에는 가뭄이 흉년으로 이어졌으며, 태종11년부터는 태종12~13년을 제외하고 가뭄에서 자유로운 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태종11‧15~16년에는 가뭄이 심각한흉년으로 이어졌다.

키워드

태종, 태조, 정종, 가뭄, 기우제, 관형, 사시, 금주령, 기근, 재이관, 조선왕조실록, 천인합일, 천인감응

참고문헌(10)open

  1. [학술지] 권연웅 / 1990 / 조선전기 經筵의 災異論 / 역사교육논집 13

  2. [보고서] 기상연구소 / 2003 /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한반도 주변의 기후변화 탐지

  3. [학술지] 김기봉 / 1999 / 환경사 ―‘성찰적 현대화’를 위한 역사 / 역사비평 46

  4. [학술지] 김기봉 / 2009 / 환경사란 무엇인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사론 (100) : 5 ~ 37

  5. [학술지] 김도균 / 2008 /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 ECO 12 (1) : 217 ~ 249

  6. [학술지] 박원재 / 2012 / ≪조선왕조실록≫ 천문기상기록의 자료적 한계와 보완 방안-문종과 세조대의 재이/상서 기록을 중심으로- / 동아인문학 (21) : 133 ~ 153

  7. [학술지] 오종록 / 1991 / 15세기 자연재해의 특성과 대책 / 역사와 현실 5

  8. [학술지] 이욱 / 2012 / 15세기 후반 기후특성의 비교사적 고찰 ― 『조선왕조실록』 기후 관련 기록 신빙성 검토의 한 사례 / 국학연구 (21) : 389 ~ 416

  9. [학술지] 이상호 / 2012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성종기成宗期 재이관災異觀의 특징 / 국학연구 (21) : 357 ~ 388

  10. [학술지] 이석규 / 1996 / 조선초기의 天人合一論과 災異論 / 진단학보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