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실천현장에서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복귀 지원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의료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재활의료기관에서 최소 3년 이상 재직 경험이 있는 의료사회복지사 9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Colazzi의 분석 방법에 따라 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복귀 의지 동기화의 어려움’, ‘가족과의 협력적 관계형성의 난관’, ‘의료시스템의 굴레에 갇힌 사회복귀 지원’, ‘병원과 지역사회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의 제약’의 4개의 대주제와 15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재활의료기관 의료사회복지사의 척수손상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귀 지원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문직 간 연계교육, 사회복귀 전문 의료사회복지사 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수련교육체계, 의료사회복지사 수가체계 개선, 의료사회복지사 배치기준 법제화, 퇴원 척수손상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의 확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키워드

의료사회복지사, 척수손상 장애인, 재활의료기관, 사회복귀

참고문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