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고발성법과 언어분석을 활용한 TV 홈쇼핑 광고의 효과측정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TV Home Shopping Advertising Using think aloud and linguistic Analysis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약어 : AJMAHS
2019 vol.9, no.9, pp.797 - 808
DOI : 10.35873/ajmahs.2019.9.9.068
발행기관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100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TV홈쇼핑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일어나는 심리적 반응을 언어적 형태로 수집하고, 수집된 언어자료를 분석하여 광고효과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부와 여자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나타난 심리적 반응을 사고발성법을 이용하여 언어자료의 형태로 수집하고, 자기보고식 측정으로 광고효과변인들과 광고반응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언어자료를 KLIW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긍부정평가 광고 간의 차이와 자기보고식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 간에 심리사회학적 변인뿐만 아니라 언어학적 변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KLIWC의 다양한 변인들과 광고효과 변인들(구매자극도,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 그리고 광고반응 변인들 간에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고발성법과 KLIWC의 언어분석을 이용하여 TV홈쇼핑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심리적 반응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psychological responses that occur while watching TV home shopping ads in verbal form,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V home shopping ads using linguistic analysis. The psychological responses during watching positive and negative ads of participants(40 housewive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in a linguistic form using a think aloud and self-report measurement. It was analyzed by KLIWC, a Korean language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psychosocial variables as well as linguistic variabl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ads. Also, various variables of KLIWC were correlated with the variabl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purchase stimulus, ad attitude,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psychological response profile and measuremen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language analysis.

TV홈쇼핑, 광고효과, 사고발성법, 언어분석, LIWC, KLIWC
TV home shopp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think aloud, linguistic analysis, LIWC, KLIW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