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서 역량 맵핑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고 비교과프로그램의 내실화와 평가·환류체계를 고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 기반 프로그램에 맵핑된 역량에 대한 타당성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기반 프로그램별로 만족도 실태조사를 통한 정량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 프로그램에서 운영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맵핑된 역량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총 59개 프로그램 중 38개 프로그램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21개 프로그램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 맵핑이 적합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역량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학생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 별로 맵핑한 역량을 교육성과와 이어질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결과이다. 또한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평가·환류체계를 고도화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역량기반, 질 관리, 비교과프로그램, 역량, 평가·환류

참고문헌(10)open

  1. [보고서] Sungkyunkwan University / 2011 / Sungkyun Core Competencies Analysis Research

  2. [학술지] 김수동 / 2017 / 한국의 D대학교에서의 역량기반 교육 사례 연구를 통한 한국 대학교육 변화에 대한 이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 (6) : 1 ~ 8

  3. [학술지] White, R. W / 1959 /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 Psychological Review 66 (5) : 297 ~ 333

  4. [학술지] McClelland, D. C / 1973 /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 American Psychologist 28 (1) : 1 ~ 14

  5. [학술지] 소경희 / 2007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비교교육연구 17 (4) : 105 ~ 128

  6. [보고서]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 2008 / A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Which are needed in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of the Future

  7. [인터넷자료] DeSeCo /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8. [학술지] 소경희 / 2007 /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 교육과정연구 25 (3) : 1 ~ 22

  9. [학술지] Westera, W / 2001 / Competences in education: a confusion of tongues /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 (1) : 75 ~ 88

  10. [학술지] 김대중 / 2017 /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 핵심역량교육연구 2 (1) : 23 ~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