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재한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멘토링 활동 경험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I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멘토링 프로그램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양한 외국인 국적을 가지고 있는 학부생 14명이다. 이들은 모두 D2비자(유학)를 받고 한국에서 유학 생활을 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외국인 학생들은 발표와 팀워크중심의 한국식 수업방식에 당혹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학생들은 처음 수업을 시작할 때 논문검색, 학문적 글쓰기, 문법 등 공부하는 방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외국인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글쓰기와 토론에 참여하기 위한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스콜라특강' 이라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신감을 얻었으며, 학업을 잘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도 이러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통해 한국 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갖는 유학생 들에게 지속적으로 학습과 정서적, 그리고 진로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멘토링, 학습지원, 정서적 지원, 진로지원, 외국인 유학생

참고문헌(10)open

  1. [학위논문] 구윤희 / 2007 / 대학생의 전공선택유형과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

  2. [기타] National University / 2009 / Tutor system, institutional supplement needed

  3. [기타] Kyunghyang Newspaper / 2007 / New students 'science mathematics', '' Average 48 points '' I'm worried! / Kyunghyang Newspaper(April 12, 2007)

  4. [학술지] 김인수 / 2010 /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13 (3) : 1 ~ 32

  5. [기타] / Effects of tutoring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ility of tutor and tuti / Incident development : 49 ~ 62

  6. [학술지] 선복근 / 2009 /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 공학교육연구 12 (4) : 126 ~ 134

  7. [보고서] Tom Minho / 2008 /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 19 ~ 248

  8. [학술지] 염민호 / 2012 / 대학 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 전남대학교 사례 / 교육행정학연구 30 (2) : 207 ~ 232

  9. [학술지] 이은준 / 2011 / 대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과학연구 42 (2) : 235 ~ 262

  10. [학술지] Choung-Hee Lee / 2010 / The experience of a pre-school teacher participating in a tutoring program / Ope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239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