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건강장애를 가진 학생 또는 아동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학술지와 국제학술지에 2010년 이후 발표된 문헌들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헌 수집 절차에 따라 문헌들을 선정한 결과 국내 논문 14편, 외국 논문 3편이 문헌검토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문헌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 학생 또는 아동과 관련된 논문들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보다는 2014년 이후에 보다 많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논문들의 경우 건강장애를 가진 학생의 교육을 주로 다루는 경향이 있지만, 외국 논문들의 경우 건강장애를 가진 아동의 건강을 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들은 건강장애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육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건강장애 학생들이 경험하는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서도 폭넓게 다룰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건강장애, 학생, 아동, 문헌검토, 교육, 건강

참고문헌(20)open

  1. [보고서] Ministry of Education / 2015 / Special education annual report

  2. [학술지] 이미숙 / 2016 / 건강장애학생 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의 동향 / 교육혁신연구 26 (1) : 149 ~ 168

  3. [학술지] 김남진 / 2011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화상강의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연구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2 (2) : 69 ~ 89

  4. [학술지] 박재국 / 2012 / 일반학교에 있어서 건강장애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3 (1) : 123 ~ 144

  5. [학술지] 김혜리 / 2012 / 일본의 건강장애학생 교육전달체계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적 시사점 탐색 / 특수아동교육연구 14 (4) : 483 ~ 503

  6. [학술지] 김은주 / 2013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운영 지원체계의 타당화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6 (3) : 109 ~ 132

  7. [학술지] 최영민 / 2013 / 건강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에 관한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6 (1) : 237 ~ 255

  8. [학술지] 강윤정 / 2014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특수아동교육연구 16 (3) : 83 ~ 100

  9. [학술지] 김정연 / 2014 / 병원학교와 화상강의 시스템 교육에 대한 건강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 (3) : 231 ~ 250

  10. [학술지] 김혜리 / 2014 / 터미널(Terminal)기 중증 건강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 탐색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 (3) : 205 ~ 229

  11. [학술지] 류근재 / 2014 / 건강장애 학생의 상호소통 및 교육을 위한 로봇 개발에 대한 연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9 (5) : 15 ~ 24

  12. [학술지] 임혜경 / 2014 / 건강장애학생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 (1) : 139 ~ 163

  13. [학술지] 한은미 / 2015 / 건강장애학생 어머니의 자아태도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특성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 (3) : 465 ~ 489

  14. [학술지] 김영표 / 2015 / 병원학교 특수교사가 가지는 건강장애학생 및 건강장애학생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 (1) : 95 ~ 117

  15. [학술지] 임혜경 / 2015 /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 / 특수아동교육연구 17 (1) : 317 ~ 346

  16. [학술지] 윤현정 / 2015 / 건강장애아동의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병원학교 참여경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 (3) : 515 ~ 527

  17. [학술지] C, Krupa / 2010 / Sexual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Talking about sex is not enough /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4 (6) : 327 ~ 337

  18. [학술지] M, Tarren-Sweeney / 2010 / Concordance of mental health impairment and service utilization among children in care /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5 (4) : 481 ~ 495

  19. [학술지] T, R. Coker / 2011 / The association of health insurance and disease impairment with reported asthma prevalence in U.S. children / Health Research and Educational Trust 47 (1) : 431 ~ 445

  20. [학술지] J, G. Berry / 2012 / Trends in resource utilization by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in the United States inpatient health care system: A repeat cross-sectional study / Neurological Impairment Trends 9 (1) : 1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