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存在와 幸福- 목회상담학적 접근

Being and Happiness

신학사상
약어 : 신상
2009 no.144, pp.283 - 312
DOI : 10.35858/sinhak.2009..144.010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연구분야 : 기독교신학
Copyright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77 회 열람

성서에서 하나님이 인간에게 최초로 하신 선언(창1:28)은 아리스토텔레스적으로 해석하면 <행복하게 살라>는 말씀이다. 인간의 존재 이유는 행복을 누리며 사는 것이다. 그것이 곧 참 자기를 실현하는 길이며, 하나님의 의도하신 바, 인간의 원초적 운명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인간의 존재 이유는 행복이며 우리가 추구해 가야 할 삶의 궁극적 목적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至福을 말한다. 그러나 그 지복은 우리의 능력을 초월해 있기 때문에 이성의 빛에 의해서가 아니라, 은총의 빛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정신분석학자 프로이드에 의하면 종교는 정신 건강을 와해시키는 환상이며 일종의 질병이다. 죄책감, 억제된 성욕, 억눌린 정서 등을 수반하는 강박노이로제일 수 있다. 사회심리학자 데이비드 마이어스에 의하면 행복은 일시적인 희열이 아니다. 비록 겉으로 흐르는 거품이 있다 해도 강물 밑바닥에 흔들리지 않고 도도하게 흐르는 물줄기에 행복의 근원이 존재한다. 틸리히는 우리들의 시대를 위한 기독교 메시지를 <새로운 존재>라 하였다. 그 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더불어 가능하다. 기독자가 추구하는 행복은 그 새로운 존재와 더불어 가능하다. 본 논문은 행복의 제 요소를 <사랑> <자유> 그리고 <자기실현>으로 요약하려 한다. 그리고 그 요소들을 목회 상담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하는 바를 조명하려 한다.

The first proclamation of God for human being written in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Aristotele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Do live happy life. It is the way of actualizing the true self and the original fate of human being destined by God. According to Aristoteles, the raison detre of the human being is happiness and it is also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with which we should pursue. Thomas Aquinas says the bliss. However, it transcends over our capac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the bliss not by the light of the reason but by the light of the Grace. Freud, a psychoanalyst, sees the religion as an illusion and a disease to collapse human mental health. It could be a compulsive neuroses accompanied with the guilty, the oppressed sexuality, and the oppressed emotion. David Myers, a social psychologist sees the happiness as not a transient joy. Even though a lots of lather is worked up outside, there exists a stream as the fountain of happiness flowing a rush under the river, without any shaking up. Paul Tillich delivered a message for our age: New Being. It is possible with Jesus Christ. The happiness pursued by Christian is possible only with the New Being. Based upon such an idea, this essay will summarize the three elements of the happiness as follows: Love, Freedom and Self-actualization. These three elements will be pursued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존재, 행복, 사랑, 자유, 자기실현
Being, Happiness, Love, Freedom, Self-actualization

  • 1. [단행본] 고범서 / 1994 / 행복의 윤리학 / 소화
  • 2. [단행본] 김남조 / 1991 / 사랑합니다 in: 김남조 시선집 / 서문당
  • 3. [단행본] 김상욱 / 1993 / 시의 길을 여는 새벽별 하나 / 친구
  • 4. [학술지] 김양현 / 1999 / 행복에 대한 서양인의 고전적 이해 / 용봉논총 / 28
  • 5. [단행본] 김희보 / 1986 / 세계의 명시 / 종로서적
  • 6. [단행본] 버트란드 러셀 / 2004 / 행복의 정복 / 사회평론
  • 7. [학술지] 이문호 / 1996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과 토마스의 지복 / 중세철학 (2)
  • 8. [단행본] 이정기 / 2007 / 맑은 혼으로 꿈꾸기 / 상담신학 연구소
  • 9. [단행본] 캘빈 S. 홀 / 2006 / 프로이트 심리학 / 정민 미디어
  • 10. [단행본] 한승원 / 1995 / 미망의 밤 in: 열애일기 / 문학과 지성사
  • 11. [단행본] Argyle, Michael / 2001 / 행복의 심리학 / 학지사
  • 12. [단행본] Aristoteles / 2008 / 니코마코스 윤리학 / 창
  • 13. [단행본] Berry, Jan / 1996 / God Dances With Us in: Dancing on Mountai / HarperCollins Publishers
  • 14. [단행본] Borysenko, Joan / 1994 / Fire in the Soul: A New Psychology of Spiritual Optimism / Warner Books
  • 15. [단행본] Bugenthal, J. F. T. / 1981 / The Search for Authenticity: An Existential-Analytic Approach to Psychotherapy / Irvington
  • 16. [단행본] Clinebell, Howard / 2005 / 전인건강 / 장로교 출판사
  • 17. [단행본] Frank,l Victor E. / 1967 / The Doctor and the Soul / Bantam
  • 18. [단행본] Frank,l Victor E. / 2005 / 삶의 의미를 찾아서 / 청아 출판사
  • 19. [단행본] Hands, Donald R. / 2002 / 성직자를 위한 건강한 영성 / 예영미디어
  • 20. [단행본] Hora, Thomas / 2002 / Existential Metapsychiatry / The PAGL Foundation
  • 21. [단행본] Hora, Thomas / 1987 / Self-Transcendence / PAGL Press
  • 22. [단행본] Hunter, Rodney J. / 1990 /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Abingdon Press
  • 23. [단행본] James / 1987 / Born to Win / Addison Wesley,
  • 24. [단행본] Jung, C. G. / 1973 / Memories, Dreams, Reflections / Vintage Books
  • 25. [단행본] Moody, Harry R. / 1997 / The Five Stages of the Soul / Doubleday
  • 26. [단행본] Myers, David G. / 2001 / The Pursuit of Happiness in: 주머니 속의 행복 / 시그마프레스
  • 27. [단행본] Nouwen, Henri / 1975 / Reaching Out / Doubleday & Company, Inc.
  • 28. [단행본] Ofman, William V. / 1976 / Affirmation and Reality / WPS
  • 29. [단행본] Osbon, Diane K. / 1991 / Reflections on the Art of Living: A Joseph Campbell Companion / HarperCollins Publishers
  • 30. [단행본] Osho / 1999 / Courage: The Joy of Living Dangerously / St. Martin's Griffin
  • 31. [단행본] Spinelle, Ernesto / 2007 / Practicing Existential Psychotherapy / SAGE Publications
  • 32. [단행본] Tillich, Paul / 1955 / The New Being / The Scribner's Library
  • 33. [단행본] Tyrrell, Bernard / 2005 / Christotherapy in: 그리스도 요법 / 상담신학 연구소
  • 34. [단행본] Welwood, John / 1990 / Journey of the Heart / Harper Perenn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