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이른바 ‘혐중’의 시대 우리의 공부를 점검해보고 시진핑 시대 중국에 대한 실학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독일의 중국학자 세바스찬 하일만의 《Red Swan》을 방법적 레퍼런스로 요청했다. 이 논문집은 ‘소급적 정책연구’를 통해 중국 혁명전통에 내재된 ‘정치적 회복탄력성’과 ‘적응성 거버넌스’를 복구해내어 이를 시진핑 시대까지 연결시킨다. 이리하여 현재의 중국문제에 대한 최소한의 인식틀이 가능해지는데, 이는 본고의 문제의식과 관련해서도 계시적 의미가 적지 않다. 본고는 이를 두 가지 지평에서 검토해보았다. 중국이라는 학문대상의 볼륨 복원 문제와 시진핑 시대 중국에 대한 합리적 설명 체계 확보 문제가 그것이다. 나아가 이 문제를 한국의 지식사회학적 생태계로 연장해, 향후 중국 공부의 방향을 고민하는 한편 실질적 학문의 가능성을 탐문해 보았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examining the direction of Chinese study in the era of so-called “Anti China”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studying China in the era of Xi Jin-ping. To this end, the German Chinese scholar Sebastian Hailmann’s “Red Swan” was requested as a method reference.
Through “retrospective policy studies,” this collection restores the “political resilience” and “adaptive governance” inherent in the Chinese revolutionary tradition and connects them to the Xi Jinping era. In this way, a minimum framework of awareness of the current Chinese problem is possible, which has a lot of revelatory meaning in relation to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paper.
This paper examined this from two perspectives. These are the problems of restoring the volume of the academic subject of China and securing a rational explanation system for China during the Xi Jinping era. Furthermore, by extending this problem to Korea’s knowledge-sociological ecosystem, the future direction of Chinese study was considered,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learning was explored.

목차

국문제요
1. 들어가며
2. 문제의식의 소재
3. 레퍼런스로서의 《Red Swan》
4. 레퍼런스의 효용에 관하여
5.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