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비교 문법을 기초로 삼고, 제도이론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중국어에 내현적 양태사와 내현적 서법 표지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점이 바로 언어유형론상의 현저한 특징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본고가 제시한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맨수량 구문의 양태적 속성에는 용량 표현뿐만 아니라, 의무 양태 및 명령법도 종종 이 구문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중국어의 가정법 보어절과 외부 의문부사어 및 비전형적 의문 구문 등에서 내현적 양태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보면 내현적 양태사 역시 중국어의 특징 중 하나이며, 서법과 양태의 운용이 시제보다 훨씬 중요하다. 이를 통해, 양태사가 대명사 및 화제와 마찬가지로, 역시 내현과 외현의 구별이 존재한다고 본다. 또한 내현적 양태사는 음운 층위상의 실현 과정만 없을 뿐, 외현적 양태사와 동일하게 형태적, 통사적, 그리고 화용론적 제약을 준수한다고 주장한다.

Under the cartographic approach,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syntactic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od and tense-aspect system in Chinese. Furthermore, a silent category is taken to encode the prominence of certain morpho-syntactic properties. In other words, less is more in typological terms. On empirical grounds, we examine solid evidence from the bare quantity construction, subjunctive complements, outer wh-adverbials, and non-canonical ques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close tie between silent modals and the mood prominence with respect to finiteness encoding across languages.

목차

국문제요
1. 서법의 현저성(Mood Prominence)이란 무엇인가
2. 기능범주의 내 · 외현성에 관한 문제
3. 맨수량 구문과 용량 양태
4. 내현적 양태 범주의 외현적 효과
5. 중국어 통사의 유형론적 비교: 합구필분, 분구필합
6. 용량 양태의 통사적 제한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820-001875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