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중국의 대 아프리카 진출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위협인가 아니면 기회인가? 이 질문은 서방국가들의 끊임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중국형 모델이 중국에 적용될 수 없으며 자신들의 필요에 맞는 독자적인 개발 전략을 만들어가야 한다는데 입을 모은다. 중국은 <상호존중>과 <윈-윈>이라는 경제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주장하지만 서방의 전문가들은 특히 두 대륙 간의 무역 불균형 때문에 중-아프리카 관계를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관계라고 보는 데는 회의적이다. 게다가 중국의 원조는 원자재와 석유를 수출하는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에 집중되어 있다. 그렇다고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중국의 행보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아프리카 50여개의 국가들이 중국의 원조와 투자의 혜택을 입고 있다. 중국은 아프리카의 재정적, 물질적 원조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 내 인프라 구축은 물론 통신기술 현대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아프리카에 진출해 있는 대표적인 중국의 기업들로는 ZTE와 화웨이를 꼽을 수 있는데, 이 두 기업은 이미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를 잡았다. 또한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 트랜션 (Transsion)은 삼성을 제치고 아프리카 대륙에서 스마트폰과 피처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오늘날 프랑스아프리크(Françafrique)라는 명칭보다 차이나아프리카(Chinafrica)라는 명칭을 더 자주 접하게 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귀결처럼 보인다.

키워드

중국형 모델, 상호존중, 중-아프리카 관계, 원자재, 인프라 구축

참고문헌(23)open

  1. [학술지] 박종돈 / 2014 / 아프리카에 진출한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연구 / 통상정보연구 16 (1) : 25 ~ 42

  2. [학술지] 최동주 / 2008 / 21세기 중국-아프리카 관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28 (1) : 221 ~ 240

  3. [학술지] 황규득 / 2017 / 인도의 대 아프리카 접근 전략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52 (1) : 189 ~ 218

  4. [인터넷자료] Barma A.Y. / "Chine-Afrique : un partenariat largement sous-estimé selon McKinsey", Afrique du Nord

  5. [학술지] Beuret M. / 2008 / La Chine a-t-elle un plan en Afrique? / Afrique contemporaine 4 (228) : 49 ~ 68

  6. [학술지] Chaponnière J.-R. / 2008 / Un demi-siècle de relations Chine-Afrique. Evolution des analyses / Afrique contemporaine 4 (228) : 35 ~ 48

  7. [학술지] Chaponnière J.-R. / 2008 / L'aide chinoise à l'Afrique, origines, modalités et enjeux / L'Economie politique 38 : 7 ~ 28

  8. [학술지] Chen, W. / 2018 / Why is China investing in Africa? Evidence from the firm level / The World Bank Economic Review 32 (3) : 610 ~ 632

  9. [보고서] / 2010 / Chinese Trade and Investment Activities in Africa

  10. [인터넷자료] Delcourt, L. / La Chine en Afrique : avantages ou inconvénients pour le développement / CETRI

  11. [학술지] Delcourt, L. / 2011 / La Chine en Afrique : enjeux et perspectives / Alternatives Sud 18 : 7 ~ 31

  12. [기타] Hellendorff B. / 2010 / La Chine en Afrique. Survol des enjeux / Note d'analyse du GRIP

  13. [기타] Hellendorff B. / 2011 / La Chine face aux menaces sécuritaires africaines / Note d'analyse du GRIP

  14. [학술지] Johnston L. A. / 2016 / L'Afrique et l'initiative chinois «One Belt, One road» : pourquoi maintenant, et quel avenir / Cacid, Passerelles 17

  15. [학술지] Lafargue, F. / 2005 / La Chine, une puissance africaine, perspectives chinoises / Varia 90 : 1 ~ 12

  16. [학술지] LI Jun-Kai / 2016 / L'investissement des Entreprises Chinoises en Afrique : le cas de Madagascar / Canadian Social Science 12 (10) : 90 ~ 96

  17. [학술지] Ling, J. / 2010 / L'aide de la Chine de l'Union Européenne à l'Afrique : complémentarité ou contradiction ? / Les temps modernes 657 : 82 ~ 109

  18. [단행본] Michel S. / 2008 / La Chinafrique. Pékin à la conquête du continent noir ? / Grasset

  19. [학술지] Ming, Z. / 2010 / Politique africaine de la Chine : perspective et devenir / Les temps modernes 657 : 190 ~ 204

  20. [인터넷자료] Pilling, D. / Que cherche la Chine en investissant autant en Afrique ? / Jeune Afrique

  21. [학술지] Soulé-Kohndou, F. / 2013 / Histoire contemporaine des relations Sud-Sud. Les contours d'une évolution graduelle / Afrique contemporaine 248 : 4

  22. [기타] Shaye Lu / 2008 / La Chine, une opportunité et non une menace pour l'Afrique / Fondation Gabriel Péri

  23. [인터넷자료] Tedika, O.K. / "Pauvreté en Afrique : la faute aux seuls plans d'ajustement structurel ?", Un Monde Lib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