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 수업이 학습자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크아트와 환경미술 관련 교육 및 환경감수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정크아트 제작 활동을 통한 환경미술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파주시 소재 S중학교 1학년 단일집단 남학생 37명, 여학생 33명 총 70명으로 선정하였다. 학습주제는 ‘정크아트로 살리는 멸종위기동물’로 본 수업은 멸종위기동물을 정크아트로 만들어보면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크아트에 대해 탐색해보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환경문제와 정크아트를 탐색하고 멸종위기동물을 만들어보는 활동이 환경감 수성의 함양을 확인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하였다. 연구 수업은 총 6차시의 수업으로 계획되었지만,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2차시로 단축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여 실험집단의 환경감수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도구로 이재붕, 이두곤(2006)이 개발한 환경감수성 검사지 가 사용되었다. 검사지는 사전 · 사후 검사로 총 2회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 Ver 26.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Paired t-test(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환경감수성 변화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헙집단의 환경감수성의 사전 · 사후 결과 전체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수업 이 중학교 1학년의 환경감수성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환경감수성 하위 영역 사전 · 사후 검사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연환경’의 경우 하위 영역 중 가장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자연환경에서의 활동’, ‘인공환경’, ‘환경파괴’ 순으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키워드

환경감수성, 정크아트, 환경미술수업

참고문헌(28)open

  1. [학술지] 공완욱 / 2021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교육에서 관계 미술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미술교육연구논총 65 : 27 ~ 57

  2. [기타] 교육부 / 2018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1]

  3. [학위논문] 김대성 / 1995 / 환경적 형태의 경정요인과 학교 환경교육의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4. [학술대회] 김정화 / 2010 / 중학생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120 ~ 128

  5. [학위논문] 노영화 / 2014 / 정크아트를 적용한 자기 주도적 미술 수업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6. [학술지] 박진희 / 1996 / 환경 감수성 함양을 위한 학습 전략의 개발과 그 효과 / 생물교육(구생물교육학회지) 24 (1) : 1 ~ 7

  7. [학위논문] 손진희 / 2018 / 생태학적 접근의 미술활동을 통한 환경감수성 함양 프로그램 연구

  8. [학위논문] 양수진 / 2019 / 재활용품을 활용한 입체형 정크아트 제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9. [학술지] 양진숙 / 2012 / 폐기물을 오브제로 재활용한 정크아트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 (3) : 262 ~ 273

  10. [학위논문] 오해섭 / 1998 / 청소년의 환경책임성 행동에 관한 연구

  11. [학술지] 우석규 / 2008 /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특활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 (4) : 377 ~ 386

  12. [단행본] 월간미술 / 2017 / 세계미술용어사전 / 월간미술

  13. [학위논문] 육혜경 / 2012 / 고등학교 환경교육을 통한 청소년 리더십 함양 :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14. [학술지] 이성덕 / 2010 /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47 (2) : 65 ~ 88

  15. [학술지] 이수연 / 2012 / 환경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 / 환경교육 25 (4) : 438 ~ 450

  16. [학술지] 이재붕 / 2006 / 환경감수성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과 이를 이용한 환경감수성 측정- 중등학교 환경반을 대상으로 - / 환경교육 19 (3) : 138 ~ 149

  17. [학술지] 임혜원 / 2017 / 미술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함의와 실행 방안 제안 / 미술교육연구논총 51 : 27 ~ 61

  18. [학술지] 장연자 / 2017 /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 미술교육 - ‘살아있는 생명 표현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 / 미술교육연구논총 51 : 63 ~ 87

  19. [단행본] 최돈형 / 2007 /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 교육과학사

  20. [보고서] 최돈형 / 2001 / 제2차 중장기 환경교육 강화방안 연구

  21. [단행본] 한국조형교육학회 / 2016 / 미술교육의 기초 / 교육과학사

  22. [단행본] 한국조형교육학회 / 2019 / 미술교육으로 삶·사회 가로지르기 / 교육과학사

  23. [단행본] Carson, R. / 1962 / Silent spring / Houghton Mifflin Company

  24. [학술지] Chawla L. / 1998 /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Revisited : A Review of Research on Source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 (3) : 11 ~ 22

  25. [학술지] Cole, E. / 1992 / Art and learning : Fostering ecological awareness / childhood education 68 (5) : 285 ~ 289

  26. [학술지] Hungerford, H. R. / 1990 /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 (3) : 8 ~ 21

  27. [학술지] Iozzi, L. A. / 1989 /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part one :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effective domain /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 (3) : 3 ~ 9

  28. [학술지] Tanner, T. / 1980 /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 A new research area in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 (4) : 20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