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학습관점에서 칙센트미하이와 로빈슨(Csikszentmihalyi & Robinson, 1990)의 미적 경험 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한 경험, 미적경험, 관람객(학습자), 교육 전시 등의 선행이론을 검토하여 관람객의 미적 경험 요인을 도출하고(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로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한다. 전시교육이론에 따른 학습과 지식전달로서의 전시유형을 구분하고,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찾았다. 전시하는 오브제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학습하는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구조는 유사하며, 동적이며 현장적인 입체적 전시의 증가와 ‘이벤트’적인 감각의 소통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에버스만(Eversmann, 2004)의 미적 경험의 영역별 4가지 구조영역의 세부측정항목인 지각적 영역(자발적인 신체의 반응, 관람지속시간, 전시요소들 간의 지각 결합), 감정적 영역(내러티브에 대한 감정이입, 주제와의 감정교류, 감정을 동반한 신체적 반응), 인지적(지적) 영역(전시의미에 대한 이해, 지적인 자극, 작품/오브제 또는 주제에 대한 인식, 설명문에 대한 인식), 소통적 영역(작가 또는 기획자와의 의사소통, 관람객과의 의사소통, 집단성의 느낌)으로 도출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 문항은 전문가와 일반관람객을 상대로 안면타당도와 통계적으로 내적 일관성을 예비 검증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설명/해설 전시와 구성주의 전시 관람객을 우리나라의 미술관 평균관람객 프로필을 근거하여 표집한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으로 2016년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26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시유형과 상관없이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하였고 4가지 영역별 유의수준은 구성주의 전시에서 지각, 인지, 소통적 영역이 높은 영향을 주었다. 설명/해설 전시에서는 지각과 인지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선행연구와 다르게 감정적 영역은 동반가족여부와 전시디자인이 주는 영향으로 낮은 수준의 유의를 보였다. 연구결과 검증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측정 틀로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학습의 질을 대안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관람객의 수준 높은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키워드

미적 경험, 관람객 연구, 미술관 전시, 미술관 교육, 경험 연구

참고문헌(58)open

  1. [학위논문] 강석태 / 2015 / 미술품 전시과정에서 참여자 경험의 상호작용 연구

  2. [학위논문] 고아랑 / 2015 / 울산박물관 관람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3. [학위논문] 권혁미 / 2002 / 미적경험에 따른 미적 인식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4. [학위논문] 권혜미 / 2011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전시커뮤니케이션 증진 방안 연구

  5. [학술지] 김세준 / 2005 / 미술관 교육 전시모형 / 미술교육연구논총 18 (1) : 25 ~ 47

  6. [학위논문] 김영은 / 2016 / 관람객경험 향상을 위한 전시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 고객여정지도를 활용하여

  7. [학위논문] 김유정 / 2016 /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미적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8. [학위논문] 김정은 / 2005 / 전시 관람객 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관람객 행동, 경험이론을 기반으로

  9. [학술지] 김정희 / 1987 / 미적 체험과 예술교육 / 교육연구 5 : 239 ~ 253

  10. [학위논문] 金春一 / 1987 / 美術敎育의 現象學的 接近

  11. [학위논문] 김향빈 / 2011 / 박물관 전시구성 분석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사립 테마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12. [학위논문] 김홍희 / 2012 /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해 본 박물관 관람환경이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전쟁기념관 방문객을 대상으로

  13. [학술지] 김황기 / 2007 / 몰입 이론으로 본 듀이의 미적 경험 / 미술교육논총 21 (1) : 307 ~ 326

  14. [학술지] 문창일 / 2005 / 한국판 스포츠 동기 척도(KSM_27)의 통계적 타당성 검증 /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6 (2) : 49 ~ 70

  15. [학위논문] 박주희 / 2015 / 존 듀이의 미적 경험에 토대한 예술교육 연구

  16. [학위논문] 박지혜 / 2012 / 박물관 전시 매체의 특성에 따른 관람객 경험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안동지역 박물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17. [학술지] 박철홍 / 1995 / 듀이의 ‘하나의 경험’에 비추어 본 교육적 경험의 성격 : 수단으로서의 지식과내재적 가치의 의미 / 교육철학 13 : 81 ~ 109

  18. [학술지] 성희자 / 2010 / 사회복지사의 직무긴장 척도의 타당성 연구 - 대구지역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 직업능력개발연구 13 (3) : 147 ~ 171

  19. [학위논문] 송한나 / 2014 /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소통적 역할로서의 재현과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

  20. [학위논문] 안혜경 / 2000 / 뮤지엄 전시의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 : 다양한 관람자와의 전시 소통을 위하여

  21. [학술지] 양지연 / 2001 / 미술관 마케팅을 위한 관람객 연구 : 덕수궁미술관 관람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예술경영연구 1 : 55 ~ 56

  22. [학술지] 양지연 / 2003 / 미술관 관람객 연구의 성과와 과제 : 20세기 이후 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 예술경영연구 3 : 68 ~ 97

  23. [학위논문] 오승희 / 2012 / 체험전시 사례를 통한 전시의 몰입 방법 연구

  24. [학위논문] 유채린 / 2006 / 관람객 연구를 통한 전시의 학습 효과 평가 사례 연구

  25. [단행본] 윤병화 / 2011 / 학예사를 위한 전시기획 입문 / 예문사

  26. [학위논문] 윤세희 / 2013 / 미술관 관람객의 방문동기, 경험, 만족간의 영향관계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문화역서울284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27. [학위논문] 윤해영 / 2010 / 자연과학계 박물관 전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28. [단행본] 이보아 / 2003 / 성공한 박물관 성공한 마케팅 / 역사넷

  29. [학위논문] 임승희 / 2009 / 몰입(flow)이론을 적용한 주관적 경험 측정 : 체험전시 콘텐츠를 중심으로

  30. [학술지] 정순복 / 2004 / 존 듀이(J. Dewey)의 프래그마티즘 미학에서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의 의미론적 함의 / 美學(미학) (37)

  31. [학술지] 정익준 / 2008 / 박물관 관람객의 몰입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실천민속학 연구 12 : 331 ~ 352

  32. [단행본] 한명희 / 2002 / 교육의 미학적 탐구 / 집문당

  33. [학위논문] 허정임 / 2013 / 존 듀이의 경험주의 미학에 입각한 예술교육

  34. [단행본] 현창혁 / 2001 / 경험가치 마케팅, Japan Economic Brief / 현대 경제 연구원

  35. [학위논문] 호정현 / 2011 / J. Dewey 경험이론이 미술교육에 미친 영향

  36. [학술지] 홍기태 / 2008 / 미학의 관점에서 본 (심)미적 태도 / 미술교육논총 22 (3) : 49 ~ 82

  37. [학위논문] 홍샛별 / 2013 / 전시회 몰입이 전시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Off-shore Korea 2012 전시회를 중심으로

  38. [학위논문] 황은경 / 2005 / 과학관의 전시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과학관의 상설전시관을 중심으로

  39. [단행본] Beardsley, M. C. / 1966 / Aesthetic / Macmillan Co

  40. [학술지] Boerner, S. / 2010 / Exploring the Theatrical Experienc: Results from an Empirical Investigation /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4 (3) : 173 ~ 180

  41. [단행본] Csikszentmihalyi, M. / 1990 /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 Harper&Row

  42. [단행본] Csikszentmihalyi, M. / 2003 / 몰입의 기술 / 더불어책

  43. [단행본] Csikszentmihalyi, M. / 1990 / The art of seeing : An interpretation of an aesthetic encounter / A joint publication of the Paul Getty Museum and the Getty

  44. [학술지] De Rojas / 2006 /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museums and cultural exhibitions / International Review on Public and Non Profit Marketing 3 (1) : 49 ~ 65

  45. [단행본] Dean, D. / 1998 / 미술관 전시, 이론에서 실천까지 / 학고재

  46. [단행본] Dewey, J. / 1996 / 민주주의와 교육 / 교육과 과학사

  47. [단행본] Dewey, J. / 1980 / Art as experience / Capricorn Books. G. T. Putnam’s Son

  48. [단행본] DiMaggio, P. J. / 1991 / The economics of art museums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학술지] Doering, D. / 1999 / Exploring satisfying experiences in museums / Curator : The Museum Journal 42 (2) : 43 ~ 67

  50. [단행본] Eversmann, P. / 2004 / Theatrical events: Borders, dynamics, frames / Rodopi

  51. [단행본] Falk, J. / 2000 / Learning from Museums : Visitor Experiencs and the Making of Meaning / AltaMira Press/Rowman and Littlefield

  52. [단행본] Gans, H. J. / 1975 /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 / Basic books

  53. [단행본] Gardener, J. / 1960 / Exhibition and Display / Batsford

  54. [단행본] Hein, G. / 2015 / 박물관 교육론 / 학지사

  55. [학술지] Kirchberg, V. / 2012 / Experiencing Exhibitions : A Review of Studies on Visitor Experiences in Museum / Curator : The Museum Journal 55 (4) : 64 ~ 97

  56. [학술지] Packer, J. / 2008 / Beyond Learning : Exploring visitors’ perception of the values and benefits of museum experiences / Curator : The Museum Journal 51 (1) : 33 ~ 54

  57. [학위논문] Renz, S. / 2006 / Evaluation in nonprofit organization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reception of performance quality in music theater

  58. [학술지] Vallernand, R. J. / 1989 / Toward a methology of cross-cultural validation of psychological questionnaires :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French / Psychologie Canadienne 30 : 662 ~ 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