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s of storytelling based on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bout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미술교육연구논총
약어 : JAE
2008 vol.24, pp.109 - 146
DOI : 10.35657/jae.2008.24..005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94 회 열람

교육에서 학습자의 논리적,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와 상상력이 조화를 이루는 인간을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교육 전반에 걸친 실증주의적 인식으로 인해 학습과 학습자에 대한 조화로운 관점을 갖는데 실패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조화로운 관점에서 학습과 학습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내러티브 사고가 갖는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미술 수업에서 스토리텔링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의미, 교육에서 내러티브 사고의 교육적 의의와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 등을 고찰하였으며 미술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 미술과 수업에서 스토리텔링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셋째, 수업 소재로서 이야기 활용 사례를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에 따라 구분하고, 제시하였으며 이 사례가 갖는 미술 교육적 의미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내러티브 사고에 기반한 스토리텔링은 교육과정 및 수업을 이해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In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bring up not only cognitive and logical thinking but also emotion and imagination for harmonious human. However, because of the positivism which has been grounded in educational field, it has been failed to have harmonious perspectives of learning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the values of narrative modes of thought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storytelling i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possibilities of narrative curriculum. And I provided the two elements of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Second, I surveyed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storytelling in art classroom.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ed the examples of art stories as a teaching medium in art classroom.

스토리텔링, 내러티브 사고, 내러티브, 미술교육
storytelling, narrative modes of thought, narrative, art education

  • 1. [학술지] 강현석 / 2005 /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 교육과정연구 / 23 (2) : 83 ~ 2 kci
  • 2. [학술지] 강현석 / 2006 /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전문성의 재개념화 / 교육과정연구 / 24 (1) : 153 ~ 1 kci
  • 3. [학술지] 김만희 / 2002 / 내러티브 사고의 과학교육적 함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2 (5) : 851 ~ 5 kci
  • 4. [학술지] 김한종 / 1999 / 역사수업 도구로서 내러티브의 구성형식과 원리 / 사회과교육학연구 (3) : 81 ~ 3
  • 5. [학술지] 김한종 / 1999 / 국사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설명방식 / 사회과학교육연구 (3) : 47 ~ 3
  • 6. [학술지] 민덕기 / 2002 /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영어수업 방안 -서사경험의 극대화를 중심으로- / 초등영어교육 / 8 (2) : 175 ~ 2 kci
  • 7. [단행본] 백영균 / 2005 / 에듀테인먼트의 이해와 활용 / 정일
  • 8. [학술지] 안금희 / 2003 / 감상수업에서 언어의 매개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기초 및 교수법 연구 / 미술교육논총 / 16 : 219 ~ kci
  • 9. [학술지] 안금희 / 2008 /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의와 기능 / 미술교육논총 / 22 (3) : 19 ~ 3 kci
  • 10. [학술지] 안금희 / 2007 /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 미술교육논총 / 21 (3) : 51 ~ 3 kci
  • 11. [학술지] 안정애 / 2003 / 내러티브를 활용한 국사 교과서 서술모형 / 전남사학 : 115 ~ kci
  • 12. [학술지] 안정애 / 2007 / 내러티브 교재와 역사 학습 / 역사교육 / 103 : 35 ~ kci
  • 13. [단행본] 오주석 / 1999 /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 솔
  • 14. [단행본] 유영만 / 2002 / 추락하는 e-learning에도 날개가 있다 / 문음사
  • 15. [학술지] 유정애 / 2003 /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수업모형의 개발 적용 / 現場硏究 / 24 : 329 ~
  • 16. [단행본] 이주헌 / 2002 / 느낌 있는 그림 이야기 / 보림
  • 17. [학술지] 이흔정 / 2004 /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 한국교육학연구 / 10 (1) : 151 ~ 1 kci
  • 18. [학술지] 전은실 / 2006 / 초등 영어교육을 위한 동화의 활용 / 교과교육학연구 / 10 (1) : 55 ~ 1
  • 19. [학술지] 정행 / 2003 / 이야기를 통합한 초등영어 수업 효과 /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0 (2) : 251 ~ 2
  • 20. [학술지] 정혜승 / 2002 / 인터넷 환경에서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디자인포럼21 / 5 : 237 ~
  • 21. [단행본] 최예정 / 2005 /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 글누림
  • 22. [학술지] 한승희 / 2000 / 교육학의 새로운 지표로서 내러티브 / 교육학연구 / 38 (4) : 259 ~ 4
  • 23. [학술지] 허희옥 / 2006 / 내러티브 사고 양식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 개발 / 교육공학연구 / 22 (1) : 195 ~ 1 kci
  • 24. [단행본] 나카야 미와 / 2002 / 까만 크레파스 / 웅진닷컴
  • 25. [학술지] Al-Jafar, A. / 2004 / The art of storytelling for cross cultural understand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 36 (1) : 35 ~ 1
  • 26. [단행본] Bausch, W. / 1984 / Storytelling: Imagination and faith / Twenty-Third Publications
  • 27. [학술지] Bruner, J. S. / 1987 / Life as Narrative / Social Research / 54 (1) : 11 ~ 1
  • 28. [단행본] Bruner, J. S. / 1996 /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 Harvard Univ. Press
  • 29. [단행본] Clandinin, J / 1992 / Teacher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 of experience / Teachers College Press
  • 30. [단행본] Egan, K. / 1986 / Teaching as story telling-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 Chicago University press
  • 31. [학술지] Egan, K. / 1989 / Layer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 17 (4) : 280 ~ 4
  • 32. [단행본] Gudmundsottir, S. / 1995 / The narrative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arrative in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 Teachers College Press : 24 ~
  • 33. [단행본] Moore, M. E. / 1991 / Teaching from the heart / Fortress Press
  • 34. [단행본] Ong, W. / 1995 / Orality and Literacy,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문예출판사
  • 35. [단행본] Polanyi, M. / 1958 /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 London
  • 36. [학술지] Zander, M. J. / 2007 / Tell me a story: the power of narrative in the practice of teaching art / Studies in art education / 48 (2) : 189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