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117.172
18.225.117.172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조 김시습론과 절의론: 남효온, 윤춘년, 이이, 박세당의 김시습 전기를 중심으로
The Reviews on Kim Si-sup’s Life and Political Fidelity in Chosŏn Dynasty: Focusing on the Biographies of Nam Hyo-on, Yun Chun-yeon, Yi, and Park Se-dang on Kim Si-sup
김영수 ( Kim Young Soo )
UCI I410-ECN-0102-2021-300-001153232

본고의 목적은 김시습의 삶에 대한 후대의 평가를 통해 조선 전기의 절의론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김시습론은 남효온, 윤춘년, 이이, 박세당의 논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김시습의 삶을 바라보는 조선조의 핵심 패러다임은 유교적 절의론이다. 그런데 절의론의 구체적 내용을 보면, 유교가 현실정치에서 직면하는 긴장과 충돌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조선조 절의론을 대표하는 정몽주, 길재, 김시습, 조광조 등의 공통점은 현실정치의 부조리에 저항했지만 좌절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들은 유교의 순수가치에 헌신하다가 처형되거나 추방된 순교자들로서 인식되었고, 유교의 진정한 정신적 영웅으로 평가되었다. 그래서 이들 대부분은 유교의 전당인 문묘에 종사되었다. 이 때문에 김시습에 대한 절의론을 검토해보면 조선의 정치사상과 정치현실, 그리고 지식인의 정치참여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광기와 풍자를 통한 김시습의 독특한 권력비판의 형식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not only the political fidelity, but also the tension between Confucianism and politics in Early Chosŏn Dynasty through understanding on Kim Si-sup’s life. Specifically, Nam Hyo-on, Yun Chun-Yeon, Yi, and Park Se-Dang’s will be reviewed. In Chosŏn Dynasty, political fidelity was the core paradigm to interpret Kim’s life, Then, the concrete contents of political fidelity suggest the fact that Confucianism faced tension and conflict in real politics. The most famous persons of political fidelity in Chosŏn Dynasty are Chung Mong-ju (鄭夢周), Gil-jae (吉再), Kim Si-sup, and Cho Kwang-jo (趙光祖). All of them resisted and failed in real politics. But they were recognized as the true spiritual heroes of Confucianism, because they were martyrs who had been devoted to the pure value of Confucianism and executed or deported by real politic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concrete understanding of political ideology, political reality, and participation of intellectuals in Chosŏn dynasty. One also could understand Kim’s unique form of criticism on political power through his madness and satire.

I. 절의론에 나타난 ‘유교-정치’의 대립
II. 김시습에 대한 평가(1): 절의, 그리고 변용된 절의
III. 김시습에 대한 평가(2): 광대와 철인, 그리고 만대의 스승 이이(李珥), 「김시습전」
IV. 김시습에 대한 평가(3): 성인(聖人) 박세당, 「매월당영당권연문(梅月堂影堂勸緣文)」
V. 결론: 무엇이 참다운 절의인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