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중장년부모-미혼성인자녀 가족의 정서표현과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Use of Satir Experiential Family Art Therapy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Communication of Elderly Parents and Their Premarital Adult Children

미술치료연구
약어 : -
2015 vol.22, no.6, pp.1715 - 1742
DOI : 10.35594/kata.2015.22.6.008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미술치료학회
277 회 열람

본 연구는 중장년부모와 미혼성인자녀로 구성된 가족에게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정서표현과 의사소통 개선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A시에 소재한 S심리상담센터에 상담 의뢰를 한 중장년부모와 미혼성인자녀로 구성된 4명의 가족으로, 2014년 8월부터 2015년 3월에 걸쳐 상담실에서 주 1회, 회기 당 60~90분씩 총 25회기의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평가 척도는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와 Satir 의사소통 유형검사(SCTS)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정서표현과 의사소통 및 행동 변화과정 등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가 중장년부모-미혼성인자녀 가족의 정서표현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가 중장년부모-미혼성인자녀 가족의 의사소통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가 중장년부모-미혼성인자녀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표현과 의사소통 개선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심리치료 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 및 경험적 사례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atir experiential family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communication in a fami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family of four, composed of elderly parents and two premarital adult children who sought counseling at the S Psychology Counseling Center in A cit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atir experiential family art therapy session, once a week, for 60-90 minutes per session, from August 2014 to March 2015, for a total of 25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herap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on Questionnaire(AEQ-K) and the Satir communication type scale(SCTS) in pre-and post-test. Also,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behavior change process, this research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atir experiential family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communication within a family comprised of elderly parents and -premarital adult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Satir experiential family art therapy. The results may also find applicability in the psychotherapy field and empirical case research if the study is to be repeated with a larger sample.

중장년부모-미혼성인자녀 가족, 정서표현, 의사소통, Satir 경험적 가족미술치료
Elderly parents-premarital adult children family, Emotion expression, Communication, Satir experiential family art therapy

  • 1. [학위논문] 구미례 / 2008 / 가족미술치료가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존중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2. [학위논문] 권유화 / 2014 / 모-자 미술치료가 의사소통 및 자녀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사티어 가족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 3. [학술지] 기윤영 / 2014 / 의사소통 중심의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 9 (3) : 19 ~ 3 kci
  • 4. [학위논문] 김숙희 / 2013 / 정서중심 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상호작용 및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 5. [학위논문] 김우석 / 2004 / 정서표현성, 자아방어기제 및 대처방식간의 관계
  • 6. [학술지] 김정미 / 2007 /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영향 / 예술심리치료연구 / 3 (1) : 61 ~ 1
  • 7. [단행본] 김혜숙 / 2004 /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 학지사
  • 8. [학위논문] 김효숙 / 2008 / 가족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9. [학위논문] 노연희 / 2002 / Satir 가족치료이론을 바탕으로 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대인관계 및 학급 응집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 10. [학술지] 박민자 / 2006 / 미술치료를 활용한 Satir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가족과 가족치료 / 14 (1) : 21 ~ 1 kci
  • 11. [학술지] 박태영 / 2013 / 양극성장애를 겪고 있는 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가족상호작용방식을중심으로 / 가족과 가족치료 / 21 (2) : 147 ~ 2 kci
  • 12. [학술지] 송성자 / 1993 / Satir모델의 가치체계와 치료적 개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1 (1) : 47 ~ 1
  • 13. [단행본] 송성자 / 1997 / 가족관계와 가족치료 / 홍익제
  • 14. [학위논문] 유수경 / 1996 / Satir 가족치료이론을 바탕으로 한 집단상담 효과 분석
  • 15. [학위논문] 이동주 / 2012 /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16. [학위논문] 이상순 / 1998 / 심리경향에 따른 의사소통유형 분석 : Jung과 Satir의 이론을 중심으로
  • 17. [학위논문] 이승희 / 2007 / 경험적 가족놀이치료가 아동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효과
  • 18. [학위논문] 이현미 / 2014 / 가족미술치료가 재혼가정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19. [학위논문] 임영아 / 2010 / 가족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 20. [학위논문] 전홍자 / 2010 / Satir 경험적 가족치료와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접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일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21. [단행본] 정문자 / 2003 /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 학지사
  • 22. [학위논문] 정지혜 / 2013 / 거절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 23. [학술지] 최선남 / 1997 / 적응장애 아동의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 4 (2) : 151 ~ 2
  • 24. [학술지] 최해연 / 2007 /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1 (4) : 71 ~ 4 kci
  • 25. [학위논문] 홍윤기 / 2009 / 어머니 자녀간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련성
  • 26. [학술지] Ackerman, N. W. / 1967 / The emergence of family diagnosis and treatment : A personal view /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 4 (3) : 125 ~ 3
  • 27. [단행본] Beck, A. T. / 1976 /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 New American Library
  • 28. [단행본] Corey, G. / 2005 /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Brooks/Cole
  • 29. [학술지] Denham, S. A. / 1989 / Maternal affect and toddlers‘ social-emotional competence /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 59 (3) : 368 ~ 3
  • 30. [학술지] Eisenberg, N. / 1998 /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 Psychological Inquiry / 9 (4) : 241 ~ 4
  • 31. [학술지] Emmons, R. / 1995 /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68 (5) : 947 ~ 5
  • 32. [단행본] Galvin, K. M. / 1982 / Family Communication / Scott, Foresman Company
  • 33. [학술지] Halberstadt, A. G. / 1995 /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 Psychological Assessment / 7 (1) : 93 ~ 1
  • 34. [학술지] Innes, M. / 2002 / Satir's therapeutically oriental educational process : A critical appreciation / Contemporary Family Therapy / 24 (1) : 35 ~ 1
  • 35. [학술지] King, L. A. / 1990 /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8 (5) : 864 ~ 5
  • 36. [학술지] Kobak, R. R. / 1984 / Family therapy as a rite of passage : Play's the thing / Family Process / 23 (1) : 89 ~ 1
  • 37. [학술지] Kwiatkowska, H. Y. / 2001 / Family Art Therapy / American Journal of Art Therapy / 40 (1) : 27 ~ 1
  • 38. [단행본] Malchiodi, C. A. / 2003 / Hand Book of Art Therapy / Guilford Press
  • 39. [단행본] Nichols, M. / 2007 / The essentials of family therapy / Pearson
  • 40. [학술지] Pennebaker, J. W. / 1987 / The Psychophysiology of Confession : Linking Inhibitory and Psychisomatic Processe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2 (4) : 781 ~ 4
  • 41. [단행본] Salovey, P. / 1995 / Emotion, disclosour, and health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42. [단행본] Satir, V. / 1972 / People making / Science and Behavior Books
  • 43. [단행본] Satir, V. / 1991 / 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 Science and Behavio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