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혼 여성의 우울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게슈탈트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Gestalt Art Therapy to Improve the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 of A Married Woman

미술치료연구
약어 : -
2012 vol.19, no.3, pp.677 - 701
DOI : 10.35594/kata.2012.19.3.012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미술치료학회
87 회 열람

본 연구는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기혼 여성의 우울과 가족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A시의 가족상담센터에서 38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10일부터 2012년 1월 14일까지 주 1회 60분 씩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개인 게슈탈트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는 2012년 1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는 MMPI-2와 KFD를 실시하였고, 자기보고식 검사를 보완하기 위해 매 회기 녹음 및 관찰내용을 기록하여 행동에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기혼여성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가족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FD에서는 사전검사에서 인물의 포위가 있고, 인물상의 거리가 멀게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포위가 사라지고, 인물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상호작용이 묘사되었다. 회기별 진행내용에서 초기에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원망과 피해의식이 많았으나, 후기에는 가족구성원의 긍정적인 면을 많이 찾고, 친밀감 표현이 증가되어 가족관계가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대상자가 개인 사례에 제한되어있어,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연구 대상자의 우울요인이 모든 기혼 여성의 우울요인과는 개인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효과성을 입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stalt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 of a married woman. The participant for this study, a 38 year-old married woman received 16 sessions of Gestalt art therapy from August 10th 2011 to January 14th 2012,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on January 21st 2012. The pre and post-test included MMPI-2 and KFD. Each session was observed and videotaped to complement the self-report measures and to detect any change in behavior. The study found that Gestal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 of the participant. While the participant's KFD in the pre-test showed the enclosures of figures and the far distance between the figures, her KFD in the post-test showed shortened distance between the figures, interactions among the figures, and no enclosures. In the early phase of the sessions the participant expressed her resentment towards her family members and identified herself as a victim. In the later sessions, she could improve her relations with her family, endeavoring to look on the positive qualities in her family members and developing more intimacy with her family member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s. One is that the findings were only from one case study, which makes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difficult. Another limit is that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depression could be different from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other married women, which may limit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게슈탈트 미술치료, 기혼 여성, 우울, 가족관계
Gestalt Art Therapy, A Married Woman, Depression, Family Relation

  • 1. [학위논문] 권영혜 / 2007 / 정신분석적 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 2. [학위논문] 김미례 / 2006 /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 3. [학위논문] 김민정 / 2003 / 게슈탈트 집단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기개념,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 4. [단행본] 김정규 / 1995 / 게슈탈트 심리치료 / 학지사
  • 5. [학위논문] 김정란 / 2006 /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 역기능적 태도, 부부갈등, 우울 및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6. [학위논문] 김효숙 / 2008 / 가족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7. [학위논문] 남기세 / 2007 / 가족에 의한 주부 우울증 치료에 대하여 목회상담학의 제안
  • 8. [학위논문] 민대희 / 2010 / 여성 우울증환자에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
  • 9. [학위논문] 민현정 / 2003 / 우울 성향 아동에 대한 게슈탈트 집단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10. [학위논문] 박기정 / 2009 / 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11. [학위논문] 배전호 / 2010 / 양육효능감·자기효능감·자기조절감 및 우울이 자녀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12. [학위논문] 성숙향 / 2001 /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 13. [학술지] 손귀주 / 2007 / 미술치료가 중년주부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연구 / 14 (3) : 533 ~ 3 kci
  • 14. [학술지] 신경림 / 2001 / 한국여성의 우울증상 실태조사 연구 / 대한간호학회지 / 31 (3) : 391 ~ 3
  • 15. [단행본] 신민섭 / 2002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HTP, KFD를 중심으로 / 학지사
  • 16. [학위논문] 신희석 / 2001 / 생의 의미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 17. [학위논문] 윤미자 / 2008 / 미술치료가 주부 우울감과 직장여성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 18. [학위논문] 은옥주 / 2000 / 중년 여성 우울증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 정신역동적 접근
  • 19. [학위논문] 이미경 / 2011 /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가 우울증여성의 자아존중감, 우울증 및 자기대상영역에 미치는 영향
  • 20. [학위논문] 이병주 / 2007 / 우울증과 자존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우울증 치유 연구 : 총신대학교 대학 및 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 21. [학위논문] 이보슬 / 2011 /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22. [학위논문] 임정민 / 2003 / 노인 우울 감소 게슈탈트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 23. [학위논문] 정경란 / 2008 / 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과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 24. [학위논문] 장경혜 / 2004 / 도시 빈곤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게슈탈트 집단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 25. [학위논문] 張炳玉 / 1985 / 都市主婦의 스트레스 認知水準 및 適應方法에 關한 硏究
  • 26. [학위논문] 장은정 / 2008 /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정신역동적 집단미술치료
  • 27. [학위논문] 정지은 / 2004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우울증과 자기지각에 미치는 효과
  • 28. [학위논문] 장진영 / 2011 /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29. [학위논문] 정지은 / 2004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우울증과 자기지각에 미치는 효과
  • 30. [학위논문] 천세경 / 2008 / 주부 우울증을 가진 중년 여성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 31. [학위논문] 최재희 / 2008 / 꼴라쥬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32. [단행본] 한국미술치료학회 / 1994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동아문화사
  • 33. [기타] 한숙자 / 2003 / 미술치료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미간행 교수논문집 : 241 ~
  • 34. [학위논문] 현숙쉬로키 / 2009 / 중년기 여성의 우울증에 관한 연구
  • 35. [학술지] Bromberger, J. T. / 1996 / A Feminine Model Of Vulnerability To Depressive Symptom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70 (3) : 591 ~ 3
  • 36. [단행본] Burns, R. C. / 1970 / Kinetic Family Drawing(K-F-D): An introduction to understanding children through kinetic drawings / Brunner/Mazel
  • 37. [단행본] Burns, R. C. / 1972 / Action, style, a and symbols in kinetic family drawing(K-F-D) / Brunner/Mazel
  • 38. [단행본] Naranjo, C. / 1971 / Present centeredness: technique, prescription and ideal, In Gestalt Therapy Now / Harper Colophon Books
  • 39. [단행본] Petruska Clarkson / 2010 / 게슈탈트 상담의 이론과 실제 / 학지사
  • 40. [단행본] Perls, F. S. / 1969 / Ego, hunger and aggressive / Vintage Books
  • 41. [단행본] Perls, F. S. / 1976 / The gestalt approach & eyewitness to therapy / Bantom Books
  • 42. [학술지] Tyson G. M. / 1981 / Depression. A Cpmparison and other views / The Gestal Journal / 4 (1) : 57 ~ 1
  • 43. [학술지] Yontef, G. / 1979 / Gestalt Therapy : Clinical Phenomenology / The Gestalt Journal / 21 (1) : 27 ~ 1
  • 44. [단행본] Zinker, J. / 1977 /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 Vintage Books
  • 45. [인터넷자료] 보건복지부 / 2008년 국민건강통계: 제4기 2차년도(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 46. [인터넷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05년~2009년 5개년의 '우울증'에 대한 심사결정자료 분석결과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