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미술치료연구
약어 : -
2010 vol.17, no.2, pp.339 - 361
DOI : 10.35594/kata.2010.17.2.009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미술치료학회
125 회 열람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study subject was 18 childcar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in J city. Among them, 9 teachers were arrang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e other 9 teachers were arranged as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want to.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1 sessions for 12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scale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and then their result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The data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ver. 12.0 for Windows), and by which ANCOVA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fter this program,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s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after this program, the occupational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reduces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two results mean that this program helps childcare teachers to undergo a positive change in thei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stress.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is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chlidcare teachers. And further this program is expected to help chlidcare teachers to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also to be a stepping stone for the efficiency in the teachings of childcare teachers.

유아교사, 집단미술치료,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Childcare teacher, Group art therapy, Self-efficacy, Occupational stress

  • 1. [학위논문] 권기태 / 1990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 2. [학위논문] 김영미 / 2007 /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 3. [학술지] 김유경 / 2006 /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연구 / 13 (1) : 73 ~ 1 kci
  • 4. [학위논문] 김옥선 / 1989 / 교사 스트레스 요인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 5. [학위논문] 김정휘 / 1991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 건강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 6. [학위논문] 김혜정 / 2002 / 유치원의 조직풍토·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 7. [학위논문] 문기라 / 2007 / 모자상호작용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8. [학위논문] 박경민 / 1994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 9. [학위논문] 박관성 / 1999 / 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 10. [학술지] 박영아 / 2005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연구 / 12 (3) : 635 ~ 3 kci
  • 11. [학위논문] 신수라 / 2007 / ADHD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12. [학위논문] 신혜영 / 2004 /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 13. [학위논문] 윤여진 / 2007 / 유아교사 대상 미술치료 사례연구
  • 14. [학위논문] 이경숙 / 2005 /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15. [단행본] 이민규 / 2001 / 현대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 교육과학사
  • 16. [학술지] 이은림 / 2005 /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미혼모의 자기효능감에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연구 / 12 (4) : 845 ~ 4 kci
  • 17. [학위논문] 이은영 / 2001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18. [학위논문] 이정원 / 2007 /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19. [학위논문] 이현정 / 1998 / 교사효능감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20. [학위논문] 임진형 / 1999 /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 21. [학위논문] 장미아 / 1996 /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방법
  • 22. [학위논문] 전미향 / 1997 /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23. [학술지] 전종국 / 2007 / 집단미술치료와 치료적 요인의 연구 경향과 향후 과제 / 미술치료연구 / 14 (3) : 577 ~ 3 kci
  • 24. [학술지] 최선남 / 2001 /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수용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연구 / 8 (2) : 25 ~ 2
  • 25. [학위논문] 최영희 / 2002 / 조소활동을 통한 집단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26. [학술지] 최외선 / 1996 / 아동의 부적응행동 개선에 미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미술치료연구 / 3 (1) : 83 ~ 1
  • 27. [학술지] 최외선 / 2009 / 교류분석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연구 / 16 (6) : 1029 ~ 6 kci
  • 28. [학위논문] 팽은경 / 2005 / 분노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표현 미술매체 활동이 분노 억제 집단의 분노정서와 생리적 각성에 미치는 효과
  • 29. [학술지] Bandura. A. / 1977 /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Psychological Review / 84 (2) : 191 ~ 2
  • 30. [학술지] Boyle, G. J. / 1995 / A structural model. of the dimensions of teacher strees /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65 : 45 ~
  • 31. [학위논문] Clark, E. H. / 1980 /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 32. [단행본] D'Arienzo, R.V. / 1982 / Stress ij teaching: A copparison of percei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 33. [학술지] Fowler, W. / 1997 / The effects of enriching language in infancy on the early and later development of competence / Early Child Development & Care / 135 : 41 ~
  • 34. [학술지] Gibson, S. / 1984 / Th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79 : 569 ~
  • 35. [단행본] Lazarus, R. S. / 1984 / Stress, appraisal and coping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36. [단행본] Liebmann, M. A. / 1986 / Art Therapy for Groups / Nrookline
  • 37. [학술지] NICHD / 2000 / Early Care Research Network.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hild care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 4 : 116 ~
  • 38. [단행본] Phillips, D. A. / 1987 / Dimensions and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The Bermuda study. in: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 43 ~
  • 39. [학술지] Schweinhart, L. J. / 1986 / Consequences of three preschool curriculum models through age 15 / Early childgood Research Quarterly / 1 : 15 ~
  • 40. [학술지] Wilhelm, K. / 2000 / Teacher Stress? An analysis of why teachers leave and why they stay /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 6 : 2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