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88.249
18.191.88.249
close menu
KCI 등재
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Dejeong-gyo scholars on Jewangunki in the 1930’s
조남호 ( Cho Nam Ho )
선도문화 28권 125-160(36pages)
DOI 10.35573/JKSC.28.3
UCI I410-ECN-0102-2021-900-000424090

이 글은 대종교를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 학자들의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1930년대 이승휴의 『제왕운기』와 『동안거사집』에 대한 논의는 단군에 대한 잠시 꺼져가던 불을 다시 일으키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제왕운기』와 『동안거사집』의 발견과 발행은 촉매역할을 하였다. 그 중에서도 황의돈과 나카무라 히데타카는 발견과 발행에 역할을 하였고, 최익한은 이승휴에 대해 심도깊은 연구를 하였고, 정인보와 안재홍은 자기만의 역사관을 가지고 이승휴를 논평하였다. 정인보는 『제왕운기』에서 단군의 홍익인간을 말한 점에서 그것을 인정하였지만, 단군을 인간으로 보기 때문에 『제왕운기』에 대해서 비판적이었고, 안재홍은 언어적 관점으로 『제왕운기』를 긍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두 이승휴의 단군 기록이 조선에서도 정통사관이 되었음을 논증한 점에서 일치한다. 고려 말에 이어 일제 강점기가 단군연구의 부흥기가 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반면 나카무라는 일본인 학자 답게 단군전설이 고려 말에 점차로 만들어진 인물이고 『제왕운기』에 나타나는 단군의 강역은 고려시대의 판도를 넓히려는 욕망으로 보고 있는데 비해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은 단군전설과 판도가 전조선에 관계한 존재와 국가로 보고 있다. 이것이 한국인과 일본인이 단군을 다르게 보는 점이다.

This essay focuses on the study of Dejeong-gyo scholars on Jewangunk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iscussion of Jewangunki in the 1930’s helped to re-fire the fire that had been fading away for some time at the parishioner. In particular, the discovery and publication of Jewangunki served as catalysts. Among them, Hwang Yi Dong and Nakamura Hidetaka played a role in discovering and publishing, Choi Yik Han studied Lee Soung Hue deeply, and Jung In Bo and Ahn Jae Hong criticized him with their own historical perspective. Jung In Bo admitted it in point of Hongikyingan, but he was critic in point of view of Tan gun as a human being. Nevertheless, they all agree that Lee Seung Hue’s records have become orthodox views in Chosun. This means that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fter the end of Goryeo has become a period of reconstruction for the study of the Tangun. On the other hand, Nakamura, like a Japanese scholar, said Tangun was created graduall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he was considered a desire to expand the territory of the Goryeo Dynasty. Dejeong-gyo scholars saw him as Tangun Chosun Dynasty. The legend and territory of Tangun Chosun Dynasty is real. This is why Japanese and Koreans look at him differently.

Ⅰ. 서론
Ⅱ. 이승휴의 생애와 저작
Ⅲ. 단군론
Ⅳ. 단군조선이후의 역사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