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과 교과역량인 정보활용능력이 시민성(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청소년정책연구원 패널조사 데이터를 통계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미디어에 대한 신뢰, 과제목표 설정, 진로 설계, 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기기 활용 등의 정보활용능력은 시민성 신장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이는 정보활용능력이 민주시민교육이 목적인 사회과 교과역량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둘째, 정보활용능력의 하위능력유형과 학년에 따라 시민성의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다양한 정보활용유형의 특성과 성장발달 중인 학년별 특성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위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정의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컴퓨터 인터넷 이용과 스마트기기의 단순한 활용보다는 과제목표 설정, 진로 설계를 위한 정보활용능력이 시민성 신장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즉 어떤 목적으로 정보를 활용하는지가 시민성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전통적 시민성과 디지털 시민성의 통합을 위해서는 다른 교과역량에 비해 최근에 강조된 정보활용능력의 내용 구성과 체계화가 시급하다.

키워드

정보활용능력, 전통적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교과역량, 초등사회과

참고문헌(24)open

  1. [보고서] 김태준 / 2016 /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Ⅲ:IEA ICCS 2016 사회참여역량 측정 및 분석연구

  2. [학술지] 박기범 / 2014 /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 탐색 / 한국초등교육 25 (4) : 33 ~ 46

  3. [학술지] 박보람 / 2019 / 초․중학교 디지털 시민성 교육과정 개발 / 초등도덕교육 (66) : 243 ~ 277

  4. [학술지] 배서현 / 2019 / 디지털 시민에 관한 초등학생의 개념 분석 / 초등도덕교육 (66) : 141 ~ 180

  5. [보고서] 백병부 / 2020 / 코로나 19와 교육 : 교육체제 전환에 주는 시사점

  6. [학술지] 오관석 / 2015 / 디지털 정치참여와 시민성 교육에 관한 연구 / 대한정치학회보 23 (1) : 51 ~ 70

  7. [학술지] 안정임 / 2013 /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와 교육경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45 (2) : 161 ~ 191

  8. [학술지] 양정애 / 2017 / 인격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미디어와 인격권 3 (2) : 85 ~ 125

  9. [학술지] 옥일남 / 2017 / 시민성 교육을 위한 참여의 유형 탐색 / 시민교육연구 49 (2) : 55 ~ 88

  10. [보고서] 옥일남 / 2018 / 충북 학교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1. [학술지] 이준 / 2021 /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국어수업이 디지털 시민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교육문화연구 27 (3) : 265 ~ 287

  12. [학술지] 임영식 / 2019 / 청소년 디지털 시민성 척도 개발 / 청소년학연구 26 (9) : 495 ~ 522

  13. [학술지] 전정화 / 2021 /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을 위한 교육 방안: 자유학년제 활용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과정 탐구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 (3) : 817 ~ 842

  14. [학술지] 정문성 / 2022 /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 열린교육연구 30 (3) : 79 ~ 100

  15. [보고서] 정문성 / 2018 /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16. [학술지] 최문선 / 2015 /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 타당화 연구 / 시민교육연구 47 (4) : 273 ~ 297

  17. [학술지] 최현희 / 2018 / 초등학교 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 시민교육연구 50 (1) : 171 ~ 189

  18. [학술지] 최윤정 / 2021 / 예비교사 Big five 시민성 조사 결과 분석 / 도덕윤리과교육 (71) : 1 ~ 22

  19. [학술지] 황용석 / 2014 / 디지털 시민성의 위계적 조건이 온·오프라인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시민능력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5 (2) : 493 ~ 520

  20. [보고서] James, C. / 2019 / Teaching digital citizens in today's world: Research and insights behind the Common Sense K–12 Digital Citizenship Curriculum

  21. [단행본] Law, N. W. Y. / 2018 / Second handbook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22. [학술지] Hughson, T. A. / 2020 /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and the future of disciplinary learning: A bernsteinian critique / Journal of Education Policy : 1 ~ 21

  23. [단행본] Richardson, J. / 2019 /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handbook: Being online, well-being online, and rights online / Council of Europe

  24. [단행본] Ribble, M. / 2015 / Digital citizenship in schools: Nine elements all students should know /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