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서구 근대법의 수용 이후 우리나라 법인·단체법의 변천과정, 현행법 시행상의 주요 쟁점(학설, 판례), 나아가 법인관련 민법개정안을 비롯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의 앞으로의 과제 등을 검토함으로써, 법인·단체법의 과거, 현재, 미래를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법제상 법인 및 단체에 관한 법규는 특별법상의 법인을 포함할 경우 무수히 많이 존재하지만, 이 글은 일반 법인법의 지위에 있는 민법상의 법인 관련규
정과 이른바 비법인 사단·재단에 대한 규율 문제를 주된 검토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비영리법인에 대한 특별법 가운데서는 실질적으로 민법의 특별법의 지위에 있는 공익법인과 학교법인 관련 법규(공익법인에 관한 법률, 사립학교법 등)를 검토한다.
먼저 민법 법인편의 변천과 관련해서는 현행 민법과 의용민법(일본 민법)의 차이점 및 제정 과정에서의 논의, 현행 민법 시행 후의 주요 쟁점(제48조, 제60조) 등에 관해 살펴 본 다음, 두 차례에 걸친 민법 개정안(2004년, 2013년)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권리능력 없는 사단·재단에 대한 현재의 규율상황(판례)과 그 문제점을 종중, 개신교회, 사찰, 동·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특별법에 의해 규율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영리 법인인 공익법인과 학교법인에 대한 현행의 법적 규율(공익법인법, 사립학교법 등) 및 그 문제점도 검토하였다.
나아가 이 글은 법인·단체법 분야의 향후의 검토과제로서 우선, 민법 분야에서는 권리능력 없는 사단·재단에 관한 규정의 신설, 법인의 합병 및 분할, 정관목적에 따른 권리능력 제한여부, 외국법인에 관한 규정의 신설, 기관(지배구조)의 개편, 기금 제도의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그밖에 현행 공익법인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개정방향을 제시함과 아울러, 권리능력 없는 사단·재단 가운데 종래 많은 분쟁을 야기해 온 종중과 종교단체를 규율하기 위해 중중관리법과 종교법인법을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ntends to survey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law of juristic person and entity by reviewing the history and the major theories and precedents regarding Korean law of juristic person and entity as well as the Korean Civil Code Amendment Draft. While the number of juristic persons would be numerous if juristic persons regulated by Special Acts were to be included, this paper intends to mainly focus on those juristic persons and legal entities regulated by the Korean Civil Code. As for the Special Acts regulating non-profit juristic persons,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acts that are of special status vis-à-vis the Korean Civil Code, namely,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Interest Corporation and the Private School Act. However, this paper has excluded laws regulating profit-making corporations (Company Law section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from review.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chapter of juristic person in the Korean Civil Code, this paper has review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and the Meiji Civil Code (which was implemented in Korea prior to 1959), issues reviewed during the enactment of the Korean Civil Code, important articles within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specifically Articles 48 and 60) and the Civil Code Amendment Drafts of 2004 and 2013.
This paper has also focused on precedents and problems regarding incorporate bodies and foundations without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by reviewing problems associated with families of the same clan, Protestant churches, temples, Dongs, and Ris. Also, this paper has reviewed prominent laws that are regulated by Special Acts such as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t and the Private School Act.
Finally this paper has laid out suggestions regarding Korean law of juristic person and entity law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section on incorporate bodies and foundations without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merger and division of juristic person, limitation of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by articles of association, acts on foreign juristic person, reorganization of corporation structures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a funds system. In addition,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direction of such changes in order to resolve problems regarding the current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t as well as introducing laws regulating families of the same clan and Protestant churches which has historically created a number of legal disputes in Korea.

목차

국문초록
Ⅰ. 서설
Ⅱ. 민법
Ⅲ. 권리능력 없는 사단·재단
Ⅳ. 공익법인
Ⅴ. 학교법인
Ⅵ. 향후의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30)

  • 대법원 1995. 9. 26. 선고 94다41508 판결

    사찰이 이미 독립된 단체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구 불교재산관리법(1987.11.28. 법률 제3974호 전통사찰보존법에 의하여 폐지)에 따른 사찰 및 주지취임 등록처분의 유무에 의하여 그 사찰의 실체가 좌우되는 것이 아니지만, 아직 독립된 단체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물적 시설에 불과한 개인 사찰의 소유자가 그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5. 4. 22. 선고 74다410 판결

    민법상의 사단법인에 있어서는 비록 재산이 중요하고 유일한 것이라 하여도 그 처분에 있어 반드시 사원총회의 결의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재산의 처분에 총회의 결의가 있어야 유효하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주장하려면 법인대표자의 대표권을 제한하여 총회의 결의를 필요로 하는 취지의 대표권제한을 등기하여야 한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3. 2. 28. 선고 72다2344,2345 판결

    재단법인의 발기인은 법인설립인가를 받기 위한 준비행위로 재산의 증여를 받을 수 있고 그 등기의 명의신탁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법률행위의 효과는 그 법인이 법인격을 취득함과 동시에 당연히 이를 계승한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5. 6. 9. 선고 2005다2554 판결

    [1] 구 신용협동조합법(1998. 1. 13. 법률 제550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은 이사회의 결의를 요하는 사항만을 규정하고 있을 뿐 이사회의 결의 방법에 관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이사회결의를 요하는 사항에 관하여 이사들에게 개별적으로 결의사항의 내용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미리 작성한 이사회회의록에 날인받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2. 9. 12. 선고 72다1090 판결

    종중은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종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족의 자연적 집단으로서 그 공동선조를 정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대소종중으로 구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성립된 종중의 공동선조의 후손 중의 한 사람을 공동선조로 하여 또 하나의 종중이 성립될 수도 있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3. 9. 14. 선고 93다8054 판결

    가. 민법 제48조는 재단법인 성립에 있어서 재산출연자와 법인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출연재산의 귀속에 관한 규정이고, 이 규정은 그 기능에 있어서 출연재산의 귀속에 관하여 출연자와 법인과의 관계를 상대적으로 결정함에 있어서의 기준이 되는 것에 불과하여, 출연재산은 출연자와 법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그 출연행위에 터잡아 법인이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6. 10. 25. 선고 95다56866 판결

    [1] 주택건설촉진법에 의하여 설립된 재건축조합은 민법상의 비법인사단에 해당하므로, 민법의 법인에 관한 규정 중 법인격을 전제로 하는 조항을 제외한 나머지 조항이 원칙적으로 준용되고, 민법상 법인과 그 기관인 이사와의 관계는 위임자와 수임자의 법률관계와 같은 것으로서 이사의 임기가 만료되면 일단 그 위임관계는 종료되는 것이 원칙이나, 그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9. 10. 10. 선고 89다카2902 판결

    가. 우리 불교계의 조계종과 태고종에 있어서 사찰이 특정종단과 법률관계를 맺어 그에 소속하게 되면 그 사단의 구성분자로 되는 것이고 이러한 구성분자에 대한 사단의 자치법규인 당해 종단의 종헌, 종법 등이 소속사찰에 적용되게 됨에 따라 소속사찰의 주지 자율임면권은 상실되고 주지임면권은 당해 종단에 귀속된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7. 9. 26. 선고 95다6205 판결

    [1] 구 삼림령 제7조에 의하여 조선총독이 조림을 위하여 국유 산림의 대부를 받은 자에게 사업이 성공한 경우에 그 산림을 양여하는 행위는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법률행위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4. 12. 13. 선고 93다43545 판결

    가. 종래부터 존재하여 오던 사찰의 재산을 기초로 구 불교재산관리법(1987.11.28. 법률 제3974호 전통사찰보존법 시행으로 폐지)에 따라 불교단체등록을 한 사찰은 권리능력 없는 재단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것이므로, 비록 그 신도들이 그 사찰의 재산을 조성하는 데 공헌을 하였다 할지라도 그 사찰의 재산은 신도와 승려의 총유에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6. 4. 20. 선고 2004다37775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우리 민법이 사단법인에 있어서 구성원의 탈퇴나 해산은 인정하지만 사단법인의 구성원들이 2개의 법인으로 나뉘어 각각 독립한 법인으로 존속하면서 종전 사단법인에게 귀속되었던 재산을 소유하는 방식의 사단법인의 분열은 인정하지 아니한다. 그 법리는 법인 아닌 사단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법인 아닌 사단의 구성원들의 집단적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5다44283 판결

    [1] 종중이라 함은 원래 공동 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종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족의 자연발생적 집단으로서 그 선조의 사망과 동시에 그 자손에 의하여 성립하는 것이고 그 성립을 위하여 특별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다만 그 목적인 공동 선조의 분묘 수호, 제사 봉행, 종원 상호간의 친목을 위한 활동을 규율하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4. 14. 선고 91다26850 판결

    가. 골프장을 관리 운영하는 법인이 그 골프장시설공사의 자금이 부족하게 되어 그 자금조달방법으로 기존회원에게 부과하게 된 공사부담금은 골프장을 건설하여 골프 보급 및 발달, 국제친선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위 법인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법인의 정관상 총회의 심의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는 중요사업계획 내지 기타 중요사항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7. 10. 선고 92다2431 판결

    가. 민법상의 조합과 법인격은 없으나 사단성이 인정되는 비법인사단을 구별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그 단체성의 강약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는바, 조합은 2인 이상이 상호간에 금전 기타 재산 또는 노무를 출자하여 공동사업을 경영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관계에 의하여 성립하므로( 민법 제703조) 어느 정도 단체성에서 오는 제약을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7. 5. 17. 선고 2006다19054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가) 일단 기존 정식이사의 퇴임이 확정되고 구 사립학교법(2005. 12. 29. 법률 제78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의 절차에 따라 임시이사가 적법하게 선임되었다면 그 선임사유가 무엇이든 통상적인 업무에 관한 이사로서의 권한은 임시이사에게 속하게 되므로, 민법 제691조를 유추하여 그 퇴임이사에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5. 12. 12. 선고 95다31348 판결

    민법상의 법인이나 법인이 아닌 사단 또는 재단의 대표자를 선출한 결의의 무효 또는 부존재 확인을 구하는 소송에서 그 단체를 대표할 자는 의연히 무효 또는 부존재 확인 청구의 대상이 된 결의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이나, 그 대표자에 대해 직무집행정지 및 직무대행자선임 가처분이 된 경우에는, 그 가처분에 특별한 정함이 없는 한 그 대표자는 그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12. 11. 선고 92다18146 판결

    가. 종중대표자의 선임에 있어서 종중규약이나 일반관례가 있으면 그에 따라 선임하고 그것이 없다면 종장 또는 문장이 종족 중 성년이상의 남자를 소집하여 출석자의 과반수결의로 선출하며, 평소에 종장이나 문장이 선임되어 있지 아니하고 선임에 관한 규약이나 일반관례가 없으면 현존하는 종원 중 항렬이 가장 높고 나이가 많은 사람이 종장이나 문장이 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9. 12. 11. 선고 78다481,482 전원합의체 판결

    재단법인의 설립함에 있어서 출연재산은 그 법인이 성립된 때로부터 법인에 귀속된다는 민법 제48조의 규정은 출연자와 법인과의 관계를 상대적으로 결정하는 기준에 불과하여 출연재산이 부동산인 경우에도 출연자와 법인 사이에는 법인의 성립 외에 등기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3자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출연행위는 법률행위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3. 2. 22. 선고 81다584 판결

    가. 종중은 관습상 당연히 성립하는 것으로 그 성립을 위하여 어떠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또 종중이 공동선조의 제사봉행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과 종래의 양자제도의 목적등에 비추어 보면 타가에 출계한 자와 그 자손은 친가의 생부를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2. 2. 23. 선고 81누42 판결

    가. 사찰이 상위종단에 종속되어 그 재산의 처분에 대하여 종단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관계등은 종단과 사찰간의 계약의 존부 및 그 내용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원고가 경상북도 지사를 상대로 제기한 사찰등록(원고 사찰의 소속중단을 태고종으로 하는 사찰등록) 처분의 무효확적 소송의 결과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 아니므로 종단은 피고 경상북도 지사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8. 9. 6. 선고 87다카514 판결

    종중은 공동선조의 분묘수호와 제사 및 종중원 상호간의 친목을 목적으로 구성되는 종족의 자연적 집단으로서 특별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소종중의 성립여부가 반드시 대종중 족보의 기재에 의하여 인정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종중의 대표자가 계속하여 선임되어 있지 아니하였다고 해서 종중의 성립과 존속을 부정할 수도 없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1. 6. 14. 선고 91다9336 판결

    가. 전통사찰보존법에 따라 문화공보부에 전통사찰로 등록되어 있고 독립한 사찰로서의 실체도 갖추어 권리능력 없는 재단으로 인정되는 사찰의 경우, 그 사찰 명의로 등기된 재산은 독립한 권리주체인 사찰의 소유인 것이지 그 사찰의 창건 또는 재산관리에 있어서 신도들이 기여한 바가 크다 하더라도 그것이 신도들의 총유물로서 사찰에 명의신탁된 것이라는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3. 1. 19. 선고 91다1226 전원합의체 판결

    가. 동일교단에 소속되어 있던 교회의 일부교인들이 종전의 소속교단에 계속 남아 있기로 하는 데 반하여 나머지 교인들이 교회의 소속교단을 변경하기로 결의하여 새로운 교단에 가입한 경우 종전교회는 새로운 교단에 소속된 교회와 잔류교인들로 이루어진 종전교단에 소속된 교회의 2개로 분열되었다 할것이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6. 1. 26. 선고 94다45562 판결

    사설 사암이나 사설 사찰이 아닌 한국불교 태고종에 등록된 일반적인 사찰은 독자적인 권리능력과 당사자능력을 가진 법인격 없는 사단이나 재단이라 할 것이므로, 그 사찰의 토지 및 건물을 점유하고 있는 자는 사찰 자신이고, 그 주지의 지위에 있는 자가 그 토지와 건물을 점유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2다64780 판결

    [1] 주택건설촉진법에 의하여 설립된 재건축조합은 민법상의 비법인사단에 해당하고, 총유물의 관리 및 처분에 관하여는 정관이나 규약에 정한 바가 있으면 이에 따라야 하고, 그에 관한 정관이나 규약이 없으면 사원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하는 것이므로 정관이나 규약에 정함이 없는 이상 사원총회의 결의를 거치지 않은 총유물의 관리 및 처분행위는 무효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4. 11. 26. 선고 74다310 판결

    법인이 타인간의 계약에 대한 보증을 한 경우에 그 보증행위가 법인의 목적범위내에 속한 여부에 관하여 심리함이 없이 법인의 보증책임을 인정 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66. 7. 26. 선고 66다881 판결

    종중은 공동선조의 후손중성년 이상의 남자를 종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족의 자연적 집단이므로 그 공동선조를 정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대소종중으로 구별되는 것이긴 하나 종중의 성립을 위하여 특별한 조직행위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다만 그 목적인 공동선조의 분묘의 수호, 제사라든가 종원 상호간의 친목을 위한 활동을 규율하기 위하여 규약을 정하는 경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6. 4. 13. 선고 75다2234 판결

    사찰의 주지이었던 사람이 사찰에 출입하기 위하여서는 통과하여야만 하고 사찰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불교재산리법 소정의 경내지이며 자고로 소유하여 왔던 사찰의 가장 중요한 재산인 임야를 학교법인에 증여한 행위가 그 사찰의 목적수행을 불가능케 하고 그 존립자체를 위태롭게 하는 정도의 것인 경우에는 설사 그 증여에 대한 관할청인 문교부장관의 허가를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1. 6. 14. 선고 91다2946,2953(병합) 판결

    가. 종중이라 함은 원래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종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족의 자연발생적인 집단이므로 그 성립을 위하여 특별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다만 그 목적인 공동선조의 분묘수호, 제사봉행, 종원상호간의 친목을 위한 활동을 규율하기 위하여 규약을 정하는 경우가 있고, 또 대외적인 행위를 할 때에는 그 대표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2. 14. 선고 91다24564 판결

    가. 재단법인의 대표자가 그 법인의 채무를 부담하는 계약을 함에 있어서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노회와 설립자의 승인을 얻고 주무관청의 인가를 받도록 정관에 규정되어 있다면 그와 같은 규정은 법인 대표권의 제한에 관한 규정으로서 이러한 제한은 등기하지 아니하면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60-003396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