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57.43
18.224.57.43
close menu
KCI 등재
전통, 민족, 지역: 한국 현대음악의 정체성 담론 변화
Tradition, Nationalism, and Locality: A Study on Identity Discourses in Korean Contemporary Music
이희경 ( Lee Heekyung )
음악과 현실 59권 5-34(30pages)
DOI 10.35441/MNK.59.2.1.5
UCI I410-ECN-0102-2021-600-000939862

한국 현대음악의 역사에서 정체성 문제는 피해갈 수 없는 본질적인 물음이었다. 서양음악 도입 이후 등장한 ‘작곡가’라는 존재가 정착해가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음악적 고유함을 만들어내는 일은 모든 작곡가의 화두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이 드러나는 방식은 시대에 따라, 개인에 따라, 또 그 문제가 다뤄지는 맥락과 층위에 따라 복잡다단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분단과 한국전쟁을 지난 후 남한에 본격적인 작곡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한국 작곡가들은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처한 조건에서 이 문제를 고민해왔다. 작곡이란 자기 자신과 오롯이 대면하는 데서 시작되는 행위인바, 작곡가들의 정체성 담론을 살피는 일은 한국 현대음악의 주요 이슈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하는 데 필요한 과정이다. 이 논문은 한국 현대음악의 역사에서 정체성 담론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그 흐름을 되짚어보려는 시도다. 나운영 세대부터 최근 30대 작곡가들까지 정체성에 대한 생각들을 검토하며 그 역사적 맥락과 내용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한국 작곡가들의 정체성 인식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이들의 문제의식이 서로 어떤 연관 관계를 맺고 있는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앞서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전제로서 정체성 담론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을 살펴보았고, 전통인식·민족주의·로컬리티라는 세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 현대음악 속 정체성 담론을 재구성해 보았다.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identity’ was an important issue that most composers inevitably had to face: Korean composers meant to find their own musical styles, while appropriating Western new music trends and contemplating their identity as Korean. Through the harsh post-war period, experiencing modernization and modernism during the 1960-70s, the democratic movements in the 1980s, and fast incorporation into the global neo-liberal system since the late 1990s, Korean composers revealed their musical identities in diverse ways, according to their socio-cultural conditions and individual concerns.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how Korean composers’ ‘identity’ discourses have changed in Korean contemporary music, from the post-war generation like Unyung La to young composers in their thirties, focusing on three issues: tradition, nationalism, and locality. As a result, I argue that the identities of Korean composers are thoroughly individualized, hybridized, and multi-faceted in the globalized new music scene, both transgressing boundaries and connecting the locals.

Ⅰ. 들어가며
Ⅱ. 정체성 논의를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
Ⅲ. 전통인식, 민족주의, 로컬리티
Ⅳ.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