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제왕학의 구축에 있어서 李珥「太極」개념의 역할

On Function of Leeyi’s Tai-ji in Structuring of Kingly-study

율곡학연구
약어 : -
2022 vol.47, pp.35 - 69
DOI : 10.35436/yulgok.2022.47..35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사)율곡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 회 열람

이 글은 이이의 ‘획전역(畫前易)’ 개념을 통해 드러나는 태극의 정치적 의미를 논증하는 글이다. (1) 이이가 ‘획전역’ 개념을 통해 드러내는 ‘태극’이 유가실천론, 즉 제왕학 수립에 끼쳤던 인식론적 구조를 드러내고, 나아가 (2) ‘획전역’의 이러한 인식론적 의의가 이이의 정치적 실천에 끼친 영향을 논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3) 이이의 ‘획전역’ 개념이 지닌 정치적 특징을 랑시에르의 정치학 개념에 비추어 규정함으로써 이이의 역학에서 제시하는 ‘획전역’ 개념이 지니는 정치적 위상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4) 이이의 ‘획전역’ 개념이 오늘날에 어떤 정치적 활용도가 있을지를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aim at a purpose on arguing for Leeyi’s political meanings of Tai-ji, which be exposed through his concept Pre-hexagram-Yi. For achieving this purpose, (1) I will discuss on his political meanings of the concept Tai-ji through keeping up with his concept pre-hexagram which influence on recognition process of structuring kingly-learnings in Confucian practice. (2) furthermore, also examine what this cognitional process about Leeyi’s pre-hexagram have affected on his political practice, (3) standing on this basis, I will confirm political status of Leeyi’s concept pre-hexagram through comparing Leeyi’s political meaning with Rancière’s concept ‘policitics’. (4) finally, I also identify what political availability nowadays will be in the Leeyi’s concept pre-hexagram.

이이, 태극, 획괘전역, 제왕학. 랑시에르, 정치. 라캉, 욕망
Leeyi(Lee-er), Tai Ji(the Great ultimate), Yi in Pre-hexagram, Kingly-learnings, Rancière, Politics, Lacan, Desire

  • 1. [단행본] 이이 / 2019 / 교감본 율곡전서 / 율곡연구원
  • 2. [단행본] / 1997 / 重栞宋本十三經注疏 / 藝文印書館
  • 3. [단행본] 黎靖德 / 1986 / 朱子語類 / 中華書局
  • 4. [단행본] 程頤 / 2011 / 周易程氏傳 / 中華書局
  • 5. [단행본] 朱熹 / 2009 / 周易本義 / 中華書局
  • 6. [단행본] 금장태 / 2003 / 한국의 탐구 5 / 서울대학교 출판부
  • 7. [단행본] 엄연석 / 2014 / 朝鮮前期易哲學史 / 학자원
  • 8. [단행본] 이동준 / 2011 / 한국사상의 방향 : 성찰과 전망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9. [단행본] 자크 라캉 / 2019 / 에크리 / 새물결출판사
  • 10. [단행본] 자크 라캉 / 2008 / 세미나 11권-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 새물결
  • 11. [단행본] 자크 랑시에르 / 2016 / 불화 : 정치와 철학 / 도서출판길
  • 12. [단행본] G. 레이코프 / 2016 / 삶으로서의 은유 / 도서출판 박이정
  • 13. [단행본] 토마스 쿤 / 1995 / 과학혁명의 구조 / 동아출판사
  • 14. [단행본] 艾爾曼 / 2005 / 經學, 政治和宗教 : 中華帝國晚期常州金文學派研究 / 江蘇人民出版社
  • 15. [단행본] 黑格爾(Hegel) / 1979 / 精神現象學(上) / 商務印書館
  • 16. [단행본] Lakoff / 2003 / Metaphors we live by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7. [단행본] George Lakoff / 1999 / Philosophy in the flesh: the embodied mind and its challenge to the western thought / Basic Books, A member of the Perseus Books Group
  • 18. [단행본] George Lakoff / 1987 /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9. [단행본] George Lakoff / 1993 / Metaphor and Though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 [단행본] Mark Johnson / 1987 /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21. [단행본] Zoltán Kövecses / 2010 / Metaphor: a practical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22. [단행본] Zoltán Kövecses / 2006 / Language, mind, and culture: a practical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23. [단행본] Gabriel Rockhill / 2021 / The Politics of aesthetics / Bloomsbury Academic
  • 24. [단행본] Jacques Lacan / 2006 / Écrits, the first complete edition in English / W. W. Norton & Company
  • 25. [단행본] Jacques Rancière / 1999 / Disagreement: politics and philosophy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26. [단행본] Jacques Lancière / 2004 /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 Bloomsbury Academic
  • 27. [단행본] Jacques Rancière / 2010 / Dissensus: on politics and aesthetics / Continuum
  • 28. [단행본] Benjamin A. Elman / 1990 / Classicism, politics and kinship: the Chang-chou school of new text confucianism in late imperial Chin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9. [학술지] 윤사순 / 1999 / 栗谷 李珥의 도학적 인간관 / 율곡학보 / 12
  • 30. [학술지] 윤사순 / 2000 / 栗谷思想과 21 世紀 / 율곡학보 / 15
  • 31. [학술지] 장숙필 / 2001 / 율곡 경세설의 특징 : 무실론과 경장론을 중심으로 / 율곡학연구 / 4
  • 32. [학술지] 장숙필 / 2005 / 율곡 경장론의 특징과 그 현대적 의의 / 율곡사상연구 / 10
  • 33. [학술지] 金璟鎬 / 1998 / 李珥哲學의 존재 근거와 그 실현의 문제-太極陰陽과 氣發一途를 중심으로 / 율곡학보 / 8
  • 34. [학술지] 김한상 / 2018 / 體用論과 朱熹 철학의 太極 개념에 대한 고찰 / 유교사상문화연구 (74) : 255 ~ 74 kci
  • 35. [학술지] 곽신환 / 2011 / 율곡 이이의 소강절 역학 이해 − <畫前有易賦>와 <空中樓閣賦>를 중심으로 − / 동양철학연구 (65) : 129 ~ 65 kci
  • 36. [학술지] 곽신환 / 2020 / 율곡 이이의 時宜와 對策 / 율곡학연구 / 42 : 5 ~ kci
  • 37. [학술지] 곽신환 / 1994 / 李栗谷의 策文 硏究 / 유교사상문화연구 / 7
  • 38. [학술지] 손흥철 / 2018 / 栗谷의 太極論 硏究 / 율곡학연구 / 36 : 37 ~ kci
  • 39. [학술지] 손흥철 / 2013 / 栗谷의 經世論과 疏通의 精神 / 율곡학연구 / 27 : 37 ~ kci
  • 40. [학술지] 장숙필 / 2011 / 율곡 경세설의 특징-무실론과 경장론을 중심으로 / 율곡학연구 / 4
  • 41. [학술지] 주광호 / 2013 / 주자학적 구조에서 본 栗谷 易學의 특징 / 동양철학 (40) : 59 ~ 40 kci
  • 42. [학술지] 崔承洵 / 1997 / 栗谷의 東湖問答考 / 율곡사상연구 / 3
  • 43. [학술지] 남명진 / 2006 / 율곡의 역학관에 관한 연구 / 율곡사상연구 / 12
  • 44. [학술지] 崔英辰 / 1987 / 栗谷 易數策의 體系的 理解 / 인문논총 / 17
  • 45. [학술지] 임채우 / 2004 / 역수책에 보이는 율곡의 역학관 / 율곡학연구 / 8
  • 46. [학술지] 임헌규 / 2004 / 율곡의 심성론과 심신수반테제 / 대동철학 (25) : 79 ~ 25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