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의 목적은 담론 전개의 형식적 측면에 주목하여 『만세보』의 교육 담론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만세보』가 교육 담론을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하였는지, 각각의 기사가 담당했던 역할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만세보』를 대상 텍스트로 삼은 까닭은 표기문자에 따라 독자층을 구분했던 당대의 신문과 달리, 『만세보』는 부속국문체를 도입하여 한글과 한문 독자층을 동시에 흡수하여 근대 시기 매체의 문체 선택에 따른 담론의 전개 양상 및 전개 전략을 살피기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만세보』는 일제가 을사조약 이후 대한제국을 식민화하기 위해 정부의 각 분야를 강점해 가던 시기에 창간되었다. 천도교 지도부는 낮은 국민 의식으로 인해 대한제국의 국운이 쇠퇴했다고 판단하고, 국민 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였다. 천도교는 지식 및 학문 계발의 수단으로 매체의 파급력에 주목하고 직접 『만세보』를 발행하여 교육 담론을 전개하였다. 『만세보』는 논설뿐만 아니라 잡보와 국문독자구락부 등 다른 유형의 기사까지 동원하여 적극적으로 교육 담론을 펼쳐 나갔다. 『만세보』는 기사별로 교육 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차별화하여 담론 전개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논설은 국한문체를 채택하여 지식인 독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한편 부속국문체를 도입하여 일반 대중의 계몽도 동시에 꾀하였다. 논설의 논조는 구학문을 비판하고 신학문을 지지하는 것이었으며, 정부의 교육 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입장 표명을 하였다. 잡보도 한문 독자와 한글 독자를 대상으로 교육 담론을 전개하였다. 다만 잡보는 논설과 달리 교육 관련 정책 및 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보도에 치중함으로써 정부의 교육 제도가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정보를 제공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국문독자구락부는 주로 한글 독자를 대상으로 교육 담론을 전개하였으며, 가공된 대화체를 활용하여 일반 대중을 계몽하는 동시에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 연구는 매체가 수행한 근대 계몽 담론의 전개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근대 초기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매체가 독자층에 따라 문체 전략을 다양하게 구사했으며, 하위 기사별로 교육 담론 전개 전략을 차별화하여 담론 전개의 효과를 극대화했음을 증명한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키워드

만세보, 교육 담론, 부속국문체, 논설, 잡보, 국문독자구락부

참고문헌(19)open

  1. [기타] / 만세보

  2. [기타] / 제국신문

  3. [기타] / 황성신문

  4. [기타] / 대한매일신보

  5. [단행본] 김민환 / 1996 / 한국언론사 / 나남출판

  6. [단행본] 김영민 / 1997 / 한국근대소설사 / 솔

  7. [단행본] 김영민 / 2014 /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3-만세보 / 소명출판

  8. [단행본] 손동호 / 2020 / '만세보' 논설 자료집 / 소명출판

  9. [학술지] 송명진 / 2006 / 개화기 대화체 서사와 계몽의 수사학 / 시학과 언어학 (12) : 159 ~ 190

  10. [단행본] 신용하 / 2000 / 한국근대사회변동사 강의 / 지식산업사

  11. [학술지] 안희열 / 2010 /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와 존 모트의 선교동원 / 복음과 선교 13 (1) : 41 ~ 70

  12. [학술지] 임희모 / 2010 / 존 모트와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 선교신학 24 (24) : 65 ~ 84

  13. [학술지] 전은경 / 2011 /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 어문학 (111) : 359 ~ 388

  14. [학술지] 정혜정 / 2010 / 개화기『萬世報』에 나타난 국민교육론 연구 / 한국교육사학 32 (2) : 45 ~ 69

  15. [학술지] 정혜정 / 2010 /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 천도교 기관지『만세보(萬世報)』를 중심으로 / 교육철학연구 (49) : 155 ~ 178

  16. [학술지] 조경덕 / 2012 / 근대 소설사에서 한글 전도문서의 위상 / 현대소설연구 (50) : 511 ~ 535

  17. [단행본] 최기영 / 1991 / 대한제국시기 신문연구 / 일조각

  18. [단행본] 최 준 / 1987 / 한국신문사 / 일조각

  19. [단행본] 한원영 / 2002 / 한국신문 한세기 / 푸른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