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대학생들의 취업 조언 공유관계와 투모드 네트워크 영향력 있는 위치 특성 연구

A Study about Structural Position of Network of Advisers' Sharing Relationship by Students of University in China: Job Information and Two-mode Network

중국지식네트워크
약어 : 중국지식
2014 vol.4, no.4, pp.135 - 154
DOI : 10.35389/ckn..4.201403.135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연구분야 : 지역학
Copyright ©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80 회 열람

대학생들은 다양한 취업정보 등을 얻기 위하여 다양한 조언이 필요하다. 이런 조언을구하기 위해서는 대학생들 개인의 다양한 요구와 상황에 때라서 조언자를 선택한다. 이로 인해서 대학생들과 조언자 사이에는 사회네트워크 형성된다. 대학생과 조언자 등의서로 다른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투모드 네트워크라 부른다. 사회네트워크분석방법 중에서 많이 적용되고 활용되는 연구 중에 하나가 네트워크내의 영향력 있는위치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이를 발전시켜 네트워크 내의 영향력 있는 위치와 이위치와 가장 강하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와의 관계분성을 통해 대학생들이 조언자의 공유선택행위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분석결과는 대학생 전체적으로는 중심위치에 있는 조언자는 선후배이다. 선후배와 함께 많이 조언해주는 조언자는 친구이다. 대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조언자 관계의 변화는 1학년은 학교취업센터이고, 2학년은 선후배, 3학년은 친구, 4학년은 학교취업센터이다.

Students of University in China get a variety information of jobs through many advisers. Selection acts primarily by college students to seek advisers are formed two-mode network. The structure of two-mode network by the choice of Students was to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Widely applied research of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was a influenced position on social network. The results are entirely undergraduate advisor in the center position of network. The advisor in an adjacency position with a lot of advice is friend. The results by changing grade is the first grade school's career center, and two grade undergraduate advisor, third grade friends, and the fourth year school's career center.

사회네트워크분석, 투모드 네트워크, 구조와 위치, 중심성과 집중도, 조언자
SNA: Social Network Analysis, two-mode Network, structure and postions, centrality and centralization, advisors

  • 1. [학위논문] 김병석 / 2011 / 온라인 댓글 토론 구조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 2. [학술지] 김용학 / 1987 / 사회연결망 분석의 이론 틀: 구조와 행위의 연결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학 / 21 (1) : 1031 ~ 1
  • 3. [단행본] 장덕진 / 2003 / 연결망과 사회이론 / 사회와 이론 : 13 ~
  • 4. [학술지] 황용석 / 2003 / 인터넷 토론 활성화를 위한 ‘상호작용성’ 개념 탐구 / 언론과 사회 / 11 (2) : 111 ~ 2 kci
  • 5. [단행본] Carrington, P. J. / 2008 / Model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 6. [단행본] Freeman, L. C. / 1979 / Social Networks vol 1 / Social Networks : 215 ~
  • 7. [학술지] Jepsen, A. L. / 2006 / Information Search in Virtual Communities: Is it Replacing Use of Off-line Communication? /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 12 (4) : 247 ~ 4
  • 8. [학술지] Koskinen, J. / 2012 / Modeling the Evolution of Bipartite Network-Peer Referral in Interlocking Directorates / 34 : 309 ~
  • 9. [학술지] Mizruchi, M. / 1998 / Centralty and power revisited: Actor success in group decision making / Sicial Networks / 20 : 353 ~
  • 10. [학술대회] Wasserman, S. / Sensitivity Analysis of Social Networks Data and Methods: Some Preliminary Results in Dynamic Social Networks Modeling and Analysis / Workshop Summary and 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