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 도상의 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제석천이 나한전에 봉안된 기원을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석천이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석굴암 주실(主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태안사 적인선사 승탑 등에 범천과 쌍으로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제석천 단독으로 등장하며 왕의 모습과 보살 도상이 융합된 형태로 조각 및 회화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천 도상은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제석천은 상원사 문수전 제석천상처럼 왕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단독으로 제석전(帝釋殿)에 봉안되었거나 석가삼존 및 16나한과 함께 영산전[나한전]에 모셔졌다. 이 공간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독존으로 안치되다가 후기에는 좌우 2위로 봉안되었다. ‘제석굴 설법’의 장소인 제석굴은 석가여래께서 법화경을 설한 영축산 근처에 있고, 간다라의 모하메드 나리(Mohamed Nari)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대승설법 장면에도 제석굴 설법으로 해석되는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영산전[나한전]에 제석천이 봉안된 것은, 제석천이 석가여래께 법을 청한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의 영향으로 추론하였다.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에 조성되었고, 영산전 소조제석천상은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16나한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상원사 창건과 관련된 보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보천이 신성굴에서 수행한 에피소드 또한 석가여래가 제석천에게 설법한 장소인 제석굴과 상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은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하였다.본 논문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 도상의 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제석천이 나한전에 봉안된 기원을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석천이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석굴암 주실(主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태안사 적인선사 승탑 등에 범천과 쌍으로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제석천 단독으로 등장하며 왕의 모습과 보살 도상이 융합된 형태로 조각 및 회화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천 도상은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제석천은 상원사 문수전 제석천상처럼 왕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단독으로 제석전(帝釋殿)에 봉안되었거나 석가삼존 및 16나한과 함께 영산전[나한전]에 모셔졌다. 이 공간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독존으로 안치되다가 후기에는 좌우 2위로 봉안되었다. ‘제석굴 설법’의 장소인 제석굴은 석가여래께서 법화경을 설한 영축산 근처에 있고, 간다라의 모하메드 나리(Mohamed Nari)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대승설법 장면에도 제석굴 설법으로 해석되는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영산전[나한전]에 제석천이 봉안된 것은, 제석천이 석가여래께 법을 청한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의 영향으로 추론하였다.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에 조성되었고, 영산전 소조제석천상은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16나한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상원사 창건과 관련된 보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보천이 신성굴에서 수행한 에피소드 또한 석가여래가 제석천에게 설법한 장소인 제석굴과 상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은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키워드

상원사, 신성굴, 제석천, 제석굴, 제석굴 설법, 보천

참고문헌(55)open

  1. [기타] / 高麗史

  2. [기타] / 高麗史節要

  3. [기타] / 高僧法顯傳

  4. [기타] / 陀羅尼集經

  5. [기타] / 大唐西域記

  6. [기타] / 東國李相國集

  7. [기타] / 佛說帝釋所問經

  8. [기타] / 釋門儀範

  9. [기타] / 拭疣集

  10. [기타] / 朝鮮王朝實錄

  11. [기타] / 混元集

  12. [단행본] 각묵스님 / 2005 / 디가니까야 2 / 초기불전연구원

  13. [단행본] 菊竹淳一 / 1996 / 高麗時代의 佛畵 / 시공사

  14. [단행본] 菊竹淳一 / 1996 / 高麗時代의 佛畵 : 해설편 / 시공사

  15. [학술지] 宮治昭 / 2002 / 「舍衛城の神変」と大乘佛敎美術の起源-硏究史と展望- / 美學美術史硏究論集 20

  16. [단행본] 宮治昭 / 2004 / 仏像学入門 / 春秋社

  17. [단행본] 宮治昭 / 2004 / 大乘仏敎美術の源流-ガンダ-ラ", "仏像学入門 / 春秋社

  18. [단행본] 宮治昭 / 2010 / インド仏敎美術史論 / 中央公論美術出版

  19. [학술지] 김리나 / 1991 / 維摩詰經의 螺髻梵王과 그 圖像 / 진단학보 71-72

  20. [학술지] 김은화 / 2015 / 토함산 석굴의 帝釋天像과 梵天像 / 강좌미술사 (44) : 121 ~ 148

  21. [학술지] 김정희 / 2011 / 범천 도상의 형성과 전개 -인도에서 중국까지- / 강좌미술사 (36) : 455 ~ 486

  22. [단행본] 김정희 / 2019 / 왕실, 권력 그리고 불화 / 세창출판사

  23. [단행본]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 2021 / 역주 대둔사지 / 동국대학교 출판부

  24. [단행본] 동국역경원 / 2013 / 한글대장경 高僧傳 外 / 동국대학교 출판부

  25. [학술지] 류정해 / 2020 / 일본 善覺寺(젠가쿠지) 소장 1583년 <제석천도 (帝釋天圖)> 연구 / 불교미술사학 30 : 7 ~ 32

  26. [학술지] 문명대 / 2019 / 서울 보타사(普陀寺) 고려 마애보살상(磨崖菩薩像)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강좌미술사 (52) : 295 ~ 315

  27. [학술지] 문무왕 / 2020 / 보타사 마애보살좌상과 제석신앙의 문화사적 고찰 / 강좌미술사 (55) : 185 ~ 196

  28. [단행본] 박은경 / 2008 / 조선 전기 불화 연구 / 시공사

  29. [학술지] 박은경 / 2019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 석당논총 (73) : 85 ~ 102

  30. [학술지] 서윤길 / 1978 / 高麗의 帝釋信仰 / 불교학보 15

  31. [기타] 禪雲寺 / 2003 / 兜率山禪雲寺誌

  32. [학술지] 손연칠 / 1997 / 浮石寺 祖師堂 壁畵 / 문화사학 6-7

  33. [학술지] 손영문 / 2011 / 海印寺 法寶殿 및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像의 硏究 / 미술사학연구 270 (270) : 5 ~ 34

  34. [학술지] 신은미 / 2006 / 조선후기 十六羅漢圖 연구 / 강좌미술사 27

  35. [학술지] 안양규 / 2004 / 붓다의 탄생 전설에 관한 고찰- 팔리어 문헌을 중심으로 - / 한국불교학 (39) : 223 ~ 253

  36. [학술지] 안지원 / 1997 / 고려시대 帝釋信仰의 양상과 그 변화 / 국사관논총 78

  37. [단행본] 유근자 / 2000 / 부모은중경을 중심으로 부처님이 들려주는 孝 이야기 / 조계종출판사

  38. [학술지] 유근자 / 2012 / 佛傳美術에 나타난 부처님의 전법행-굽타시대의 八相圖를 중심으로- / 전법학연구 2

  39. [단행본] 유근자 / 2017 /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 불광출판사

  40. [학술지] 유근자 / 2020 / 석가여래 탄생기에 관한 간다라 불전도상(佛傳圖像)의 해석 / 동양미술사학 10 : 165 ~ 197

  41. [학술지] 유근자 / 2021 /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연구 / 禪文化硏究 (30) : 251 ~ 304

  42. [학술지] 유근자 / 2021 /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연구 / 국학연구 (45) : 191 ~ 229

  43. [단행본] 유근자 / 2022 /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 불광출판사

  44. [학술지] 이분희 / 2013 / 金山寺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考察 - 탑 안에 봉안된 불상을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 (15) : 117 ~ 143

  45. [학술지] 이선이(태경) / 2016 / ‘사위성 신변’과 대승불교미술의 기원-연구사와 전망[번역] / 불교학리뷰 (20) : 201 ~ 251

  46. [학술지] 이승희 / 2001 / 조선후기 신중탱화 도상의 연구 / 미술사학연구 228-229

  47. [학술지] 이승희 / 2019 / 당진 성당사 제석천도 연구 / 인문과학연구 (28) : 61 ~ 84

  48. [학술지] 이주형 / 2009 / 인도 불교 문헌과 미술에 보이는 <제석굴 삼매/설법> / 중앙아시아연구 14 : 109 ~ 140

  49. [학위논문] Rhi, Juhyung / 1991 / Gandharan Images of the ‘Śravastī Miracle’: An Iconographic Reassessment

  50. [학술지] 주수완 / 2006 / 대승설법도상의 두 계보 연구 / 강좌미술사 (26) : 309 ~ 332

  51. [학술지] 주수완 / 2013 / 영산회상도상의 기원과 전파 / 강좌미술사 (41) : 59 ~ 86

  52. [단행본] 中村元 / 2002 / 帝釋天 / 東京書籍

  53. [학술지] 肥塚隆 / 1978 / 「從三十三天降下」図の図像 / 大兼山論叢 11

  54. [학술지] 허형욱 / 2005 / 석굴암 梵天, 帝釋天像 도상의 기원과 성립 / 미술사학연구 (246) : 5 ~ 46

  55. [학술지] 허형욱 / 2005 / 實相寺百丈庵석탑의 五方神像에 관한 고찰 / 미술사연구 (19) : 3 ~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