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불교의 보석론

Theory of a Jewel of Buddhism

불교문예연구
약어 : 불교문예연구
2017 vol.8, pp.239 - 282
DOI : 10.35388/buddhi..8.201702.007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연구분야 : 불교학
Copyright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174 회 열람

불전에는 희귀하고, 빛나고, 청정하며, 강하고 불변하는 최상의 존재로서 보석을 자주 언급한다. 불전에서 보석은 대상을 빛내고 장엄하는 메타포로 쓰이는 경우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보석이 등장한다. 유무형의 보(寶) 일반을 가리키는 원어가 라트나(ratna)인 반면 유형의 보석은 마니(maṇi)가 주로 쓰인다. 이 보석들은 크게 7보와 4보로 분류된다. 7보는 금ㆍ은ㆍ유리ㆍ수정(파리)ㆍ차거ㆍ적진주, 마노이고, 4보는 다이아몬드ㆍ에메랄드ㆍ사파이어ㆍ루비이다. 7보에서 금ㆍ은ㆍ유리ㆍ수정은 따로 4보로서 자주 언급되는데, 이것과 뒤의 4보(다이아몬드ㆍ에메랄드ㆍ사파이어ㆍ루비)와는 다르다. 그 이유는 불전이 발생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유통되던 보석이 달랐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7보의 개념은 불교의 발생지인 웃다르 프라데쉬(Uttar Pradesh)의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지역에서 형성되었고, 4보(다이아몬드ㆍ에메랄드ㆍ사파이어ㆍ루비)는 후대의 인도 남부지역에서 유통되어 각광받은 보석이다. 초기불전에서는 승려들의 보석 소지나 착용이 금지되었던 데 비해 대승과 밀교에서는 보살의 보석ㆍ영락의 착용이 많이 발견된다. 이런 대승의 탄생 이후 보석의 중시는 힌두 문화의 유입으로 인하여 다양한 의례와 수행에서 보석을 활용하는 데 이르렀기 때문으로 보인다. 밀교에서는 7보와 4보뿐만 아니라, 여의주와 같은 신화적인 보석 또한 의례와 관상에 이용되었다.

In Buddhism, Jewels are often mentioned as being rare, shiny, clean, strong, and unchangeable. In Buddhism, jewelry is not only used as a metaphor for glowing and majestic objects, but there are also various types. While the original word used to describe these jewels is ‘Ratna’, they are usually referred to by the term ‘Mani’. These gem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groups of 7 and 4. Amongst the group of the 7 treasures are gold, silver, glass, crystal, chalcedony, red pearl, and agate, while the group of 4 consists of diamond, emerald, sapphire, and ruby. Gold, silver, glass, and crystals of the original 7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4 jewel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group of 4 consisting of diamond, emerald, sapphire, and ruby. This distinction between the jewel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jewels that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age and area in which the Buddha was born. The concept of 7 treasures was formed in the Kapila Bath area of Uddar Pradesh, the birthplace of Buddhism however the four jewels (diamond, emerald, sapphire and ruby) later became the focus of attention in southern India. In the early Buddhist period, Buddhist monks were prohibited from wearing jewelry. It seems that the importance of the gems has come about in various ceremonies, which have been passed on through the influx of Hindu culture. In esoteric Buddhism, not only the jewels that haven been described here are used, but also mythical jewels known as Yeoju are used in ritual practices.

보(寶), 마니(摩尼), 삼보(三寶), 사보(四寶), 오보(五寶), 칠보(七寶), 금(金), 은(銀), 유리(琉璃), 파리(玻璃).
ratna(gem), maṇi, tri-ratna(tree gems), four gems, five gems, sapta ratrāni(seven gems), gold, silver, vāiḍūrya, sphaṭika(crystal)

  • 1. [기타] / 觀無量壽佛經 / 大正藏 12
  • 2. [기타] / 俱舍論 / 大正藏 29
  • 3. [기타] / 起世人本經 / 大正藏 1
  • 4. [기타] / 金剛般若經疏論纂要 / 大正藏 33
  • 5. [기타] / 金輪呪王經 / 大正藏 19
  • 6. [기타] / 大方廣佛華嚴經疏 / 大正藏 35
  • 7. [기타] / 大乘悲分陀利經 / 大正藏 3
  • 8. [기타] / 大智度論 / 大正藏 25
  • 9. [기타] / 大品般若經 / 大正藏 8
  • 10. [기타] / 飜譯名義集 / 大正藏 54
  • 11. [기타] / 法句經 / 大正藏 4
  • 12. [기타] / 法苑珠林 / 大正藏 53
  • 13. [기타] / 寶性論 / 大正藏 31
  • 14. [기타] / 四分律名義標釋 / 卍續藏 70
  • 15. [기타] / 蘇悉地 羅經 / 大正藏 18
  • 16. [기타] / 新華嚴經論 / 大正藏 36
  • 17. [기타] / 阿彌陀經 / 大正藏 12
  • 18. [기타] / 蕤呬耶經 / 大正藏 18
  • 19. [기타] / 一切經音義 / 大正藏 54
  • 20. [기타] / 雜阿含經 / 大正藏 2
  • 21. [기타] / 祖庭事苑 / 卍續藏 13
  • 22. [기타] / 中阿含經 / 大正藏 1
  • 23. [기타] / 添品妙法蓮華經 / 大正藏 9
  • 24. [기타] / 華嚴經 / 大正藏 9
  • 25. [단행본] 亮三郞日 / 1981 / 梵藏漢和四譯對校飜譯名義大集(Maha-vyutpatti; Tib. Bye-brag-tu rtogspar byed-pa chen-po) / 國書刊行會
  • 26. [단행본] Arthas´astra / 2000 / The Kautiliya arthasastra, Part1: Sanskrit text with a glossary / Motilal Banarsidass Publ
  • 27. [기타] / AN. An. guttaranika-ya, Pali Text Society
  • 28. [기타] / MN. Majjhimanika-ya, Pali Text Society
  • 29. [기타] / SN. Sam.yuttanika-ya, Pali Text Society
  • 30. [기타] / Sn. Sutta nipatha-, Pali Text Society
  • 31. [기타] / Th. Theraga-tha-, Pali Text Society
  • 32. [기타] / Vin. Vinaya, Pali Text Society
  • 33. [단행본] 佛光大藏經編修委員會 / 1989 / 佛光大辭典2 / 佛光出版社
  • 34. [단행본] 雲井昭善 / 2008 / パ一リ佛敎語 典 / 山喜房佛書林
  • 35. [단행본] 荻原雲來 / 1986 / 梵和大辭典 / 講談寺
  • 36. [학술지] 宮坂有勝 / 初期パ一リ 典にみられる古代インドの金 文化 / 密敎文化 (48-50)
  • 37. [학술지] 定方晟 / 1975 / 七 について / 印度學佛敎學硏究 / 24 (1)
  • 38. [단행본] Winder, Marianne / 2001 / Studies on Indian Medical History, ed Gerrit Jan Meulenbeld & Dominik Wujastyk / Motilal Banarsidass Pu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