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역사와 성격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불교문예연구
약어 : 불교문예연구
2020 vol.15, pp.51 - 112
DOI : 10.35388/buddhi.15..202006.002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연구분야 : 불교학
Copyright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13 회 열람

현재 한국불교에서 ‘법화계 불교종단’이란 ‘법화’라는 이름을 종단명칭에 사용하거나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단 일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넓은 범위에서 상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되게 동일한 연혁을 공유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던 한국불교법화종, 대한불교법화종, 일승종, 불입종, 관음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 사이의 분종의 역사와 각 종단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대체로 『법화경』의 회삼귀일 및 일불승 사상의 중시,『법화경』 제목 봉창의 강조, 합장불의 불단 안치, 기도의 생활화 경향 등을 초창기의 공통된 특징으로 지닌다. 이 중 제목 봉창의 강조에 대해서는 다분히 일본 법화계 종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종단들이 가꿔 온 전통에 대한 인식과 미래에 대한 비전들은 이들이 일본 법화종단으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인지하면서도 동시에 그로부터 벗어나야 된다는 깊은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현대 한국불교는 새로운 종파불교의 부활인 것처럼 보이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종교 내적인 원인에 의하기보다는 국가권력에 의해 추동된 제도와 법령으로부터 동인된 것일지도 모른다. 한편 현대의 새로운 종파 중 일부는 오롯이 한국의 종교문화 전통에서 자생하였다기보다 상당 부분 근대성 또는 외래문화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탄생의 당위를 얻은 것일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모멘텀에 의하여 어떤 경위로 시작되었던 간에, 그 익숙한듯 새로운 종단들이 이 땅의 민중 속에 어떻게 뿌리 내리며 성장해 가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전통을 가꾸어 가고자 하는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오래된 미래는 지켜볼 가치가 있다.

Contemporary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 is defined as the name of Buddhist orders whose names include ‘Lotus’ or whose main sutra is Lotus-Sutra. I chooses Korea Buddhism (Hankuk-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Daehan- 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Il Seung Order, Korea Buddhism Bul Ip Order and Korea Buddhism Guan Eum Order. They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common history in their early times in proceeding studies. I am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their schisms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each order. They have the common features, especially of their early times, in that they attach importance to the idea of ‘All the people are possible to be Buddha’(一佛乘),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the statue of Buddha with his hands clasped in prayer, and the daily sincere prayer.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has been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from Japanese Lotus-Sutra Buddhism by many scholars. It may be true, but at the same tim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have consciously endeavored to overcome the Japanese influences and to excavate and cultivate the Korean traditional Lotus-Sutra belie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as many Buddhist orders and thus seems to restore the condition of Order-Buddhism of the pre-modern times. But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like that may be the result of the official systems and the official laws made by the state authority. Or it may be the result of the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cultures. The important is that the old new orders should grow up in the people of this country as the new old tradition. So the probable growth of th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deserves watching.

법화계 불교종단, 『법화경』, 법화신앙, 제목봉창, 합장불, 기도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Lotus-Sutra, Lotus-Sutra belief,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the statue of Buddha with his hands clasped in prayer, daily sincere prayer

  • 1. [기타] 노상추 / 노상추일기
  • 2. [기타] 엔 닌 / 입당구법순례기
  • 3. [학술지] 강돈구 / 2014 / 대한불교 천태종의 정체성 형성 과정 / 신종교연구 / 31 (31) : 49 ~ 31 kci
  • 4. [단행본] 고병철 / 2008 / 한국종교연구교단 IV / 한국학중앙연구원
  • 5. [학술지] 고병철 / 2014 / 대한불교천태종의 종교 정체성과 수행 / 한국학 / 37 (4) : 137 ~ 4 kci
  • 6. [보고서] 고병철 / 2018 / 2018년 한국의 종교현황
  • 7. [학술지] 고영섭 / 2011 / 태허(太虛) 홍선(泓宣)의 생애와 사상:-한국불교사적 지위와 한국불학사적 위상- / 한국사상사학 (39) : 303 ~ 39 kci
  • 8. [학술지] 고영섭 / 2018 / 태허 홍선의 현실 인식과 불입종 창종 / 진단학보 (130) : 109 ~ 130 kci
  • 9. [학위논문] 金台姬 / 1988 / 韓國僧服의 歷史的 硏究: 韓國公認 十八個 宗團을 中心으로
  • 10. [보고서] 김홍철 / 1997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
  • 11. [기타] 대한불교불입종 총무원 / 2012 / 대한불교불입종 / 대한불교불입종 총무원 세간불교사
  • 12. [학술지] 민순의 / 2006 / 조선 초 법화신앙과 천도의례 / 역사민속학 (22) : 87 ~ 22 kci
  • 13. [학술지] 민순의 / 2016 / 근대 전환기 민간 불교경험의 양태와 유산: 대한불교진각종과 대한불교천태종을 중심으로 / 종교문화비평 / 30 (30) : 50 ~ 30 kci
  • 14. [학술지] 박규태 / 2001 / 창가학회(創價學會)에 대한 일고찰 -불교혁신운동의 측면을 중심으로- / 종교학연구 / 20
  • 15. [학위논문] 辛容泰 / 1981 / 大韓佛敎一乘宗의 人事制度에 관한 硏究
  • 16. [단행본] 윤기엽 / 2008 / 일본불교사 근대 / 동국대학교출판부
  • 17. [단행본] 윤용복 / 2007 / 한국 종교교단 연구 3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 18. [단행본] 이강오 / 1992 / 한국신흥종교총람 / 한국신흥종교연구소
  • 19. [학술지] 이경우 / 1984 / 법화계열 종단들 / 불교사상 / 9
  • 20. [단행본] 이법화 / 1974 / 創價學會를 折伏한다 / 영산법화사 출판부
  • 21. [학술지] 이병욱 / 1991 / 요세사상의 특징-지눌과의 비교를 통해서- / 석림 / 24
  • 22. [학위논문] 李丙旭 / 1995 / 天台智의 철학사상 논구 : 「法華玄義」·「摩詞止觀」와 「維摩經玄疎」의 비교를 중심으로
  • 23. [학술지] 정영식 / 2009 / 한일 양국의 근대불교와 신흥종교의 성립에 관한 비교연구 ― 법화경신앙을 중심으로 ― / 한국사상과 문화 (46) : 39 ~ 46 kci
  • 24. [학위논문] 진경찬 / 2012 / 한국법화신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25. [학술지] 진 리브스 / 2001 / 법화경과 종교적 관용 / 불교평론 / 8
  • 26. [학술지] 진철승 / 2001 / 해방 후 불교계 종단의 변천과 현황 2 / 법회와 설법 / 2001 (2)
  • 27. [단행본] 차용준 / 2002 / 종교문화의 이해 : 제4권 인도종교문화편 / 전주대학교출판부
  • 28. [학술지] 차차석 / 2015 / 관음종의 개창 조사 태허의 법통 인식과 그 특징 / 禪學(선학) (41) : 227 ~ 41 kci
  • 29. [단행본] 한국불교총람 편찬위원회 / 1993 / 한국불교총람 / 재단법인 대한불교진흥원
  • 30. [보고서] 한국종교연구회 / 1996 / 한국신종교조사연구보고서
  • 31. [기타] / 2016 / 주지 연임 대가 금품수수 의혹 총무원장 수사 / MBN 뉴스, 2016.3.1.
  • 32. [기타] / 2016 / 스님이 택시기사?…‘경력’ 문제로 소송 중인 법화종 총무원장 / MBN 뉴스, 2016.8.5.
  • 33. [기타] 허광무 / 2017 / 수행‧실천하는 종단으로 거듭날 것 / 법보신문, 2017.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