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17세기 襄陽地域에서 창작된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을 예로 하여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을 모색해본 것이다. 여기서 특히 주목한 것은 李海朝의 지리인식과 양양지역의 사회적 상징성이다. 사회적 공간의 생성과 변화는 지리적 공간 위에서 이루지기 때문에 문학작품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襄陽’ ‘峴山’과 관련된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李海朝는 1709년 50세에 襄陽府使가 되어 설악산과 금강산을 유람 했는데, 「峴山三十詠」은 이때 지은 시이다. 이 시는 세속에 따르지 않고 스스로 풍격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李海朝는 『輿地勝覽』을 참조하고 양양지역 노인들을 탐문하여 서른 곳의 승경을 선정하고, 풍부한 典故와 양양지역 민간설화를 활용하여 聯想을 통한 시·공간 범위를 확대해가는 방식으로 ‘양양’ ‘현산’을 하나의 의미망으로 연결하여 사회적 상징성을 지닌 새로운 공간으로 재발견했다.

키워드

李海朝, 「峴山三十詠」, 襄陽, 峴山, 지역문학, 문학지리, 민간설화

참고문헌(24)open

  1. [기타] / 新增東國輿地勝覽

  2. [기타] / 朝鮮王朝實錄

  3. [기타] 李海朝 / 鳴巖集

  4. [기타] 金昌翕 / 三淵集

  5. [학술지] 권경록 / 2011 / ‘太白五賢’의 삶을 통해 본 奉化地域의 文學地理 / 한국학연구 (38) : 7 ~ 43

  6. [단행본] 기꾸치 도시오 / 1995 / 역사지리학방법론 / 이회

  7. [학술지] 김춘식 / 2010 /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 한국문학연구 (38) : 43 ~ 66

  8. [단행본] 김태준 / 2005 /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 논형

  9. [단행본] 심정보 / 2010 / 공간의 정치지리 / 푸른길

  10. [학술지] 박무영 / 2010 /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 고전문학연구 (38) : 179 ~ 211

  11. [학위논문] 송은영 / 2007 / 현대도시 서울의 형성과 1960-70년대 소설의 문화지리학

  12. [학술지] 신은경 / 2009 / 地理空間의 談論化 과정에 대한 - 『新增東國輿地勝覽』과 『擇里志』를 중심으로 - / 정신문화연구 32 (1) : 313 ~ 343

  13. [단행본] 안스가 뉘닝 / 2008 / 문화이론과 문학연구 / 연세대학교 출판부

  14. [단행본] 에드워드 렐프 / 2005 / 장소와 장소상실 / 논형

  15. [학술지] 이승수 / 2010 / 조선시대의 ‘동해’에 대한 지리인식과 문학적 형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 (5) : 441 ~ 456

  16. [학술지] 이은숙 / 2009 / 문학 공간의 인식 체계와 특성 / 현대문학이론연구 (36) : 5 ~ 21

  17. [학술지] 이종묵 / 2008 / 기묘사림과 충주의 문화 공간 / 고전문학연구 (33) : 101 ~ 126

  18. [단행본] 이효덕 / 2002 / 표상 공간의 근대 / 소명

  19. [학술지] 장세룡 / 2006 / 앙리 르페브르와 공간의 생산 - 역사이론적 ‘전유’의 모색 - / 역사와경계 (58) : 293 ~ 325

  20. [학술지] 장유승 / 2006 / 조선 후기 서북 지역 문인 집단의 성격- 평안도와 함경도의 지역 정체성 차이를 중심으로 - / 진단학보 (101) : 391 ~ 425

  21. [단행본] 조동일 / 2006 / 세계․지방화시대의 한국학 1~8 / 계명대학교 출판부

  22. [단행본] 조동일 / 2003 / 지방문학사 /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학술지] 진재교 / 2003 / 이조 후기 문예의 교섭과 공간의 재발견 / 漢文敎育硏究 21

  24. [단행본] 김유경 / 2008 / 문화와 실재 / 경성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