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70~1972)을 데탕트 국면에서 변화해 가는 남북관계와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월남인’의 대응과 문화적 상상으로 독해하였다. 1970년을 전후한 데탕트로 인해 남북관계의 긴장은 완화되었으며, 한국전쟁 중에 월남한 소설가 최인훈은 남북적십자회담이 진행되는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창작하였다. 1960년대 최인훈은 중립과 제3세계를 주제로 한 소설을 통해 냉전체제 너머의 아시아를 상상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의 소설들은 정치적인 주제와 지식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에 쓰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냉전 너머를 향한 최인훈의 상상이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처음에는 느슨한 단편소설의 연작으로 계획되었지만, 최인훈이 월간지에 연재할 기회를 얻게 된 이후, 데탕트 아래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월차보고서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한국전쟁 중에 월남을 했던 주동인물 구보씨는 뉴스와 신문을 통해 냉전체제의 변동과 남북의 접촉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소설가 구보씨의 1년은 뉴스를 통해 기대와 실망, 놀람과 지루함을 거듭 경험하는 나날이었다. 그 결과 구보씨는 통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는데, 통일은 국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민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었다. 그는 한국에서 공공영역이 형성되지 못한 이유를 탐색하면서, 민중의 일상에 대한 존중과 친밀권에 근거한 지역에서의 대안적 공공권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보씨의 결론을 “광장으로 나오는 공공의 통일론”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라는 사회적 영역의 전문가인 구보는, 분단 이후 금지된 월북작가의 작품을 간행하고자 하였다. 그의 시도는 나누어진 문학사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예술의 다양한 영역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전통’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민중의 생활감각과 대안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통일을 이해하고, 사회적 연대로서 평화를 상상한 소설로 독해할 수 있다.이 글은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70~1972)을 데탕트 국면에서 변화해 가는 남북관계와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월남인’의 대응과 문화적 상상으로 독해하였다. 1970년을 전후한 데탕트로 인해 남북관계의 긴장은 완화되었으며, 한국전쟁 중에 월남한 소설가 최인훈은 남북적십자회담이 진행되는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창작하였다. 1960년대 최인훈은 중립과 제3세계를 주제로 한 소설을 통해 냉전체제 너머의 아시아를 상상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의 소설들은 정치적인 주제와 지식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에 쓰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냉전 너머를 향한 최인훈의 상상이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처음에는 느슨한 단편소설의 연작으로 계획되었지만, 최인훈이 월간지에 연재할 기회를 얻게 된 이후, 데탕트 아래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월차보고서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한국전쟁 중에 월남을 했던 주동인물 구보씨는 뉴스와 신문을 통해 냉전체제의 변동과 남북의 접촉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소설가 구보씨의 1년은 뉴스를 통해 기대와 실망, 놀람과 지루함을 거듭 경험하는 나날이었다. 그 결과 구보씨는 통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는데, 통일은 국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민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었다. 그는 한국에서 공공영역이 형성되지 못한 이유를 탐색하면서, 민중의 일상에 대한 존중과 친밀권에 근거한 지역에서의 대안적 공공권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보씨의 결론을 “광장으로 나오는 공공의 통일론”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라는 사회적 영역의 전문가인 구보는, 분단 이후 금지된 월북작가의 작품을 간행하고자 하였다. 그의 시도는 나누어진 문학사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예술의 다양한 영역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전통’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민중의 생활감각과 대안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통일을 이해하고, 사회적 연대로서 평화를 상상한 소설로 독해할 수 있다.

키워드

데탕트, 남북적십자회담, 7·4남북공동성명, 통일, 지역, 민중, 친밀권, 대안적 공공권, “광장으로 나오는 공공의 통일론”, 월남인, 월북작가, 박태원, 김윤식, 전통, 사회적 연대, 평화

참고문헌(92)open

  1. [학술지] 공임순 / 2014 / 1960년과 김구 -추모·진상규명·통일론의 다이어그램- / 한국학연구 (35) : 67 ~ 122

  2. [학술지] 구재진 / 2012 / 최인훈의 고현학, ‘소설노동자’의 위치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 한국현대문학연구 (38) : 305 ~ 340

  3. [학술지] 권보드래 / 1997 / 최인훈의 『회색인』 연구 / 민족문학사연구 10

  4. [학술지] 권보드래 / 2012 /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 상허학보 34 : 261 ~ 314

  5. [단행본] 권보드래 / 2012 / 1960년을 묻다: 박정희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 천년의상상

  6. [학술지] 권은 / 2015 / 피난민 산책자와 1970년대 서울-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론- / 시학과 언어학 (30) : 97 ~ 120

  7. [학술지] 권헌익 / 2013 / 냉전의 다양한 모습 / 역사비평 (105) : 221 ~ 235

  8. [단행본] 권헌익 / 2013 / 또 하나의 냉전 / 민음사

  9. [단행본] 김건우 / 2017 /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 학병세대와 한국 우익의 기원 / 느티나무책방

  10. [학술지] 김병로 / 2013 / 분단체제와 분단효과: 남북관계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향 분석 / 통일문제연구 25 (1) : 77 ~ 112

  11. [학술지] 김병로 / 2014 / 한반도 통일과 평화구축의 과제 / 평화학연구 15 (1) : 7 ~ 28

  12. [학술지] 김연철 / 2012 / 7.4남북공동성명의 재해석: 데탕트와 유신체제의 관계 / 역사비평 (99) : 220 ~ 260

  13. [단행본] 김우창 / 1976 / 최인훈 전집 4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문학과지성사

  14. [단행본] 김윤식 / 1996 / 작가와의 대화 / 문학동네

  15. [단행본] 김윤식 / 2005 /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 – 갈 수 있고, 가야 할 길, 가버린 길 / 문학사상

  16. [학술지] 김윤진 / 2016 / 해방기 엄흥섭의 언어의식과 공동체의 구상 / 민족문학사연구 (60) : 405 ~ 444

  17. [학술지] 김인호 / 1998 / 신 없는 시대의 서사적 몸부림 – 최인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논집 33

  18. [학술지] 김지형 / 2008 / 7ㆍ4공동성명 전후의 남북대화 / 사림 (30) : 27 ~ 49

  19. [학위논문] 김진규 / 2017 / 한국 전후소설에 나타난 자기소외의 극복 모색 - 행동과 주체 정립을 중심으로

  20. [단행본] 김학동 / 1996 / 『광장』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 / 문학과지성사

  21. [단행본] 김학재 / 2015 / 판문점 체제의 기원 : 한국전쟁과 자유주의 평화기획 / 후마니타스

  22. [학술지] 박광득 / 2014 / 7․4 남북공동성명(1972)의주요내용과 쟁점분석 / 통일전략 14 (3) : 9 ~ 39

  23. [학술지] 박정진 / 2012 / 냉전시대 한반도 갈등 관리의 첫 실험, 7.4 남북공동성명 / 북한연구학회보 16 (1) : 293 ~ 320

  24. [학술지] 방민호 / 2015 / 월남문학의 세 유형: 선우휘, 이호철, 최인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 통일과평화 7 (2) : 158 ~ 212

  25. [학술지] 복도훈 / 2013 / 범속한 세계에서의 교양의 (불)가능성에 대한 서사적 모험- 교양소설로서의 『광장』에 대하여 / 비교문학 (61) : 97 ~ 124

  26. [단행본] 사이토 준이치 / 2009 / 민주적 공공성 / 이음

  27. [학위논문] 서세림 / 2016 / 월남 작가 소설 연구 - ‘고향’의 의미를 중심으로

  28. [학위논문] 서은주 / 2000 / 최인훈 소설 연구 : 인식 태도와 서술방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29. [학술지] 서은주 / 2011 /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 작문연구 (12) : 43 ~ 75

  30. [학술지] 서호철 / 2012 / 루멀랜드의 신기료장수 누니옥 (NOOHNIIOHC)씨 – 최인훈과 식민지 / 근대의 극복 / 실천문학 (여름)

  31. [단행본] 손유경 / 2016 / 슬픈 사회주의자 : 미학적 실천으로서의 한국 근대문학 / 소명출판

  32. [학술지] 손유경 / 2017 / 혁명과 문장 / 민족문학사연구 (63) : 323 ~ 347

  33. [학술지] 송민호 / 2014 / 도시공간에 대한 미디어적 인식과 소설의 서사-박태원의 소설과 공간으로서의 서울 / 구보학보 (11) : 145 ~ 170

  34. [학술지] 송하춘 / 2008 / 한자어를 우리말로 풀어쓴 소설 – 최인훈의 『광장』 / 새국어생활 18 (3)

  35. [학술지] 심연수 / 2003 / ‘7?4남북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의 배경에 관한 체계론적 분석 / 윤리연구 52 (1) : 9 ~ 188

  36. [학술지] 아이카와 타쿠야 / 2015 / 경성 소설가의 글쓰기 - 박태원의 초기 소설가 소설 - / 반교어문연구 (41) : 397 ~ 436

  37. [단행본] 안경환 / 2013 / 황용주 – 그와 박정희의 시대 / 까치

  38. [학술지] 야나가와 요스케 / 2017 / 창작과 편집: 이문구의 편집자 시절을 중심으로 / 상허학보 49 : 307 ~ 349

  39. [학술지] 오창은 / 2016 / 결여의 증언, 보편을 향한 투쟁 - 1960년대 비동맹 중립화 논의와 민족적 민주주의 / 한국문학논총 (72) : 5 ~ 39

  40. [학술지] 우승지 / 2004 / 남북화해와 한미동맹관계의 이해, 1969-1973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 (1) : 91 ~ 126

  41. [학술지] 우승지 / 2008 / 남북한 관계 60년 분석: 1948~2008 / 국제.지역연구 17 (2) : 121 ~ 156

  42. [학위논문] 유예현 / 2016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공포와 죄의식 연구

  43. [학술지] 윤대석 / 2006 /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 국어국문학 (144) : 91 ~ 112

  44. [단행본] 이남희 / 2015 / 민중 만들기 / 후마니타스

  45. [학술지] 이민영 / 2015 /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 ‘구보’의 서명과 ‘후진국민’의 정체성 - / 현대소설연구 (58) : 359 ~ 386

  46. [학위논문] 이소영 / 2016 / 김원일·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고아의 형상화 연구 – 민주주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47. [학술지] 이소영 / 2016 / 1930년대 후반 김남천 소설의 이체(異體) -「장날」과 「이리」에 나타난 몽타주(montage)와 구상력(構想力)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 71 : 275 ~ 322

  48. [학술지] 이찬수 / 2013 / 한국 종교의 평화 인식과 통일 운동: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 종교문화비평 23 (23) : 266 ~ 306

  49. [학술지] 임미주 / 2014 / 『천변풍경』의 정치성 연구 / 구보학보 (10) : 229 ~ 247

  50. [학술지] 장문석 / 2014 / ‘우리 말’로 ‘사상(思想)’하기?! -후기식민지 한국과 『광장』의 다시 쓰기- / 사이間SAI (17) : 377 ~ 435

  51. [학술지] 장문석 / 2016 /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學の會)’-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교수에게 질문하다- / 한국학연구 (40) : 171 ~ 218

  52. [학술지] 장문석 / 2016 / 밤의 침묵과 자유의 타수 - 김수영의 해방공간과 임화의 4.19 - / 반교어문연구 (44) : 313 ~ 374

  53. [학술지] 장문석 / 2017 / 냉전 너머의 아시아를 상상하기?! - 최인훈과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의 어긋난 마주침에 관한 몇 개의 주석 / 한국언어문화 (62) : 5 ~ 38

  54. [학위논문] 장성규 / 2006 / 김남천 소설의 서술 기법 연구

  55. [학술지] 장세진 / 2013 / 안티테제로서의 ‘반둥정신(Bandung Spirit)’과 한국의 아시아 상상(1955~1965) / 사이間SAI (15) : 135 ~ 169

  56. [학술지] 장세진 / 2016 / 강박으로서의 식민(지), 금기로서의 제국을 넘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4 (3) : 167 ~ 213

  57. [학술지] 장세진 / 2016 / 은유로서의 포로: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 상허학보 46 : 9 ~ 61

  58. [학술지] 장용석 / 2010 / 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 개념, 쟁점, 추진방향 - / 통일문제연구 22 (1) : 123 ~ 152

  59. [단행본] 정근식 / 2014 /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2 / 소명출판

  60. [학술지] 정영훈 / 1970 / 1970년대 구보 잇기의 문학사적 맥락 / 구보학보 9

  61. [단행본] 프랑코 모레티 / 2005 / 세상의 이치: 유럽 문화 속의 교양소설 / 문학동네

  62. [학술지] 홍석률 / 2010 / 1970년대 초 남북대화의 종합적 분석 ―남북관계와 미중관계, 남북한 내부 정치의 교차점에서― / 이화사학연구 (40) : 290 ~ 330

  63. [학술지] 홍석률 / 2015 /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 역사비평 (110) : 112 ~ 135

  64. [단행본] 홍종욱 / 2006 / 근대를 다시 읽는다 1권 / 역사비평사

  65. [학술지] 홍종욱 / 2012 /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의 한국 자본주의론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종속 발전'론 / 아세아연구 55 (3) : 7 ~ 36

  66. [학술지] 홍종욱 / 2017 / 일본 지식인의 근대화론 비판과 민중의 발견 - 다케우치 요시미와 가지무라 히데키를 중심으로 - / 사학연구 (125) : 95 ~ 128

  67. [단행본] 梶村秀樹 / 1977 / 朝鮮史 - その発展 / 講談社

  68. [단행본] 下斗米伸夫 / 2004 / アジア冷戦史 / 中央公論社

  69. [단행본] 吉本惣一 / 2016 / 蘇る「社会分業論」 / 創風社

  70. [단행본] ポーラ美術館学芸部 / 2017 / ピカソとシャガール - 愛と平和の讚歌 / ポーラ 美術館

  71. [단행본] E. デュルケム / 1989 / 社会分業論 (上) / 講談社

  72. [단행본] H. アレント / 1972 / 暗い時代の人々 / 河出書房新社

  73. [학술지] 최인훈 / 1959 / GREY俱樂部 顚末記 / 자유문학

  74. [학술지] 최인훈 / 1960 / 作者所感 - 風聞 / 새벽

  75. [단행본] 최인훈 / 1961 / 광장 / 정향사

  76. [학술지] 최인훈 / 1968 / 총독의 소리 II / 월간중앙

  77. [학술지] 최인훈 / 1969 / 주석의 소리 / 월간중앙

  78. [학술지] 최인훈 / 1970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월간중앙

  79. [학술지] 최인훈 / 1970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2 / 창작과비평 (봄)

  80. [학술지] 최인훈 / 1970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3 / 월간중앙

  81. [학술지] 최인훈 / 1970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3 / 신상 (겨울)

  82. [학술지] 최인훈 / 1971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4 / 월간문학

  83. [학술지] 최인훈 / 1971 / 갈대의 사계 1~12 / 월간중앙

  84. [단행본] 최인훈 / 1973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삼성출판사

  85. [단행본] 최인훈 / 1989 / 길에 관한 명상 / 청하

  86. [학술지] 최인훈 / 1991 / [나의 첫 책] 제3국행 선택한 한 ‘전쟁포로’ 이야기 - 개작 거듭한 장편소설 「광장」 / 출판저널 82

  87. [단행본] 최인훈 / 1994 / 화두 2 / 민음사

  88. [학술지] 최인훈 / 2010 / 4·19 정신의 정원을 함께 걷다 / 문학과사회 (봄)

  89. [단행본] 김수영 / 2003 / 김수영 전집 2 / 민음사

  90. [단행본] 임화 / 2009 / 임화문학예술전집5 – 비평2 / 소명출판

  91. [기타] / 경향신문

  92. [기타] /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