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포스트사회주의적 변화에서의 민간(民間)의 역동성과 선행성(先行性)

Minjian Dynamism and Its Leading Role in Postsocialist Transformation : a Comparative Research on Borderland Areas of China and North Korea

통일과 평화
약어 : -
2019 vol.11, no.2, pp.217 - 268
DOI : 10.35369/jpus.11.2.201912.217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111 회 열람

본 논문은 중국과 북한의 포스트사회주의적 변화에서 민간이 담당하는 선행(先行)적 역할과 이 역할이 형성되고 지속되어 온 역사적·사회문화적 배경을 조명하고, 민간과 국가기구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정부와 당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백성(民)과 관리(官)의 이분법적 구분을 답습하여, 민간을 사회주의 체제 외부(体制外)에 있는 모든 것과 연관시켰다. 연구자는 민간개념을 시민 혹은 시민사회에 대한서구 정치이론의 규범적 전제들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개념으로 간주한다. 기존의이론적 전제들로부터 자유로운 민간개념은 포스트사회주의적인 변화에서 개인 혹은 집단들이 행하는 실제 역할과 이들이 국가기구와 맺는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중국의 포스트사회주의적 변화는 1980년대 중반 덩샤오핑으로 대표되는중앙정부의 지도력에 의해 추동되었다고 이해되며, 북한의 변화 역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이 이끄는 강력한 중앙권력에 의해 지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중앙권력의 정치적 결단에 중점을 두어 포스트사회주의적 변화를 설명하는 접근법의 유효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북한에서 공식적인 포스트사회주의적 변화가 나타나기 이전 시기에 민간의 영역에서 이와 유사한 변화의 움직임이 나타났는지를 분석한다. 연구자가 가정한 ‘선(先) 민간, 후(後) 정부’ 모형에 따르면, 중국과 북한의 변화는정부가 아닌 민간이 비공식 차원에서 비(非)사회주의적 관행을 만들어 내고, 이것이 일정한 성과를 거두자 정부가 해당 관행을 추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eading role of minjian in postsocialist transformations of China and North Korea and illuminates the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that have contributed to its initial formation and survival under the socialist government. By understanding key characteristics of minjian, we can understan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tate apparatuses and minjian. According to the general explanation, China’s postsocialist changes began in the mid-1980s with the central party-state’s leadership symbolized by Deng Xiaoping. Similarly, North Korea’s postsocialist transformation is also believed to advance under the supreme leader Kim Jong-un’s leadership. I cri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focuses on the central government’s political decision and leadership in explaining postsocialist transforma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grassroots changes in minjian such as unofficial domestic and overseas trades and ordinary people’s growing participation in various non-socialist activities, which appeared before the official initiation of postsocialist policies. Following this research’s model of “minjian prior to the government,” not the party-state but minjian first formed non-socialist practices. Only after the practices had generated certain positive outcomes, the party-state recognized the minjian practices and started the official version of postsocialist reform.

탈사회주의, 사회주의, 중국, 광둥성, 북한, 시장, 민간(民間), 시민사회
Post-socialism, Socialism, China, Guangdong, North Korea, Market, Minjian, Civil Society

  • 1. [학술지] 강철환 / 2013 / 북한의 장마당과 지하경제 실상 / 북한 (504) : 123 ~ 504
  • 2. [학술지] 김상훈 / 2003 / 경제자료: 『조선신보』 ~ 7·1조치 관련 보도 동향 / KDI 북한경제리뷰 / 5 (6) : 25 ~ 6
  • 3. [학술지] 김승 / 2018 / 일제시기 국경도시 신의주의 인구 변동과 도시공간의 변화 / 로컬리티 인문학 (19) : 323 ~ 19 kci
  • 4. [학술지] 김승 / 2018 / 일제시기 다사도항(多獅島港) 개발과 신의주・다사도간의 철도부설 /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8) : 331 ~ 18 kci
  • 5. [단행본] 김일성 / 1983 / 김일성 저작집 23권 / 조선로동당 출판사
  • 6. [학술지] 김재석 / 2018 / 중국 소도시 사구활동(社區活動)과 기억의 정치: 광둥성 푸양시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 비교문화연구 / 24 (3) : 5 ~ 3 kci
  • 7. [단행본] 김종국 / 1995 / 중국 조선족 우열성 연구 / 집문당
  • 8. [학술지] 김주성 / 2017 / 북한이 견제하는 통제구역, 장마당 / 북한 (545) : 119 ~ 545
  • 9. [인터넷자료] 김지은 / 북, 경제특구 신개발계획 발표
  • 10. [학술지] 김태현 / 2018 / ‘신의주・안동’간 밀무역 단속 전개과정과 조선총독부의 대응(1928~1932) / 한국사연구 (183) : 319 ~ 183 kci
  • 11. [학술지] 남궁영 / 2015 / 중국·베트남의 개혁·개방과 북한 / 한국동북아논총 / 20 (3) : 111 ~ 3 kci
  • 12. [단행본] 박은숙 / 2008 / 시장의 역사 / 역사비평사
  • 13. [단행본] 손정목 / 1982 / 한국개항기 도시변화과정 연구 / 일지사
  • 14. [인터넷자료] 안정식 / 북 신의주 특구, 매혹적인 투자 적지...투자유치 홍보
  • 15. [인터넷자료] 윤덕민 / 체제전환의 기로에 선 북한
  • 16. [보고서] 이상준 / 2004 / 동북아 협력시대의 북한 경제특구 활용전략: 경제특구의 수요 및 공급요인 분석을 토대로
  • 17. [보고서] 이석 / 2004 / 1994~2000년 북한 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 18. [보고서] 이석기 / 2014 / 북한 시장실태 분석
  • 19. [학술지] 임강택 / 2018 / 국가 주도 자립 경제 건설? 장마당이 주도 / 北韓 (561) : 37 ~ 561
  • 20. [학술지] 임강택 / 2010 / 변화하는 북한과 교회의 과제 2: 북한 주민 ‘삶의 현장,’ 장마당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 사목정보 / 3 (2) : 99 ~ 2
  • 21. [단행본] 임계순 / 2003 /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 현암사
  • 22. [인터넷자료] 정용수 / 김정은 “돈 출처 안 묻겠다”...그 뒤 100만 달러 돈주 등장
  • 23. [학술지] 정은이 / 2009 / 북한의 자생적 시장발전 연구* -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를 중심으로 - / 통일문제연구 / 21 (2) : 157 ~ 2 kci
  • 24. [학술지] 최봉대 / 2003 / 북한 도시 ‘농민시장’ 형성과정의 이행론적 함의: 1950~1980년대 신의주, 청진, 혜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북한연구 / 6 (2) : 133 ~ 2
  • 25.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의주시
  • 26. [학술지] 한영진 / 2014 / 북한 경제개혁 좌초, 노동자가 공장 간부 벌여 먹여 / 北漢 (510) : 138 ~ 510
  • 27. [학술지] 한영진 / 2009 / 북한 당국의 장마당 통제 무산과 국경 봉쇄 / 北漢 (446) : 99 ~ 446
  • 28. [학술지] 한영진 / 2008 / 북한의 시장단속과 악화된 주민생활: 외부 지원을 주민통제 빌미로 이용, 물자부족에 시장통제까지 연초부터 걱정만 앞서 / 北漢 (454) : 130 ~ 454
  • 29. [인터넷자료] 허완 / 김정은의 핵포기 진정성? 단서는 북한 ‘시장경제’에 있을지 모른다
  • 30. [학술지] 홍성국 / 2009 / 더욱 악화되는 배급사정과 이탈노동력 귀환을 위한 장마당 통제 / 北漢 (450) : 72 ~ 450
  • 31. [인터넷자료] 邓小平 / “關于農村政策問题.” 『邓小平文选』. 第二卷
  • 32. [학위논문] 密珊 / 2013 / 党领导社会管理体制创新研究
  • 33. [단행본] 新義州府 / 1934 / 新義州産業要覽 / 新義州府
  • 34. [단행본] 新義州商工會議所 / 1936 / 新義州商工會議所月報 / 新義州商工會議所
  • 35. [학술지] 王思斌 / 2016 / 三社联动的逻辑与类型 / 中国社会工作 (2) : 61
  • 36. [학술지] 李立勋 / 1997 / 珠江三角洲乡镇企业发展的地域特征 / 热带地理 / 17 (1) : 47 ~ 1
  • 37. [단행본] 杨继绳 / 2008 / 墓碑:中国六十年代 大饥荒纪实 / 天地图书
  • 38. [단행본] 赵紫阳 / 1958 / 雷南县[徐闻县]干部大会解决粮食问题的报告 / 廣東人民出版社
  • 39. [단행본] 郑惠 / 2009 / 六十年国事纪要—经济卷 / 湖南人民出版社
  • 40. [기타] 湛江市 人民政府 / 2004 / 湛江市年鉴 / 湛江市人民政府
  • 41. [단행본] 拓務省 / 1930 / 安東密輸入問題 / 拓務省
  • 42. [보고서] Antony, Robert J. / 2003 / Like Froth Floating on the Sea: The World of Pirates and Seafarers in Late Imperial South China
  • 43. [단행본] Blecher, Marc / 2010 / China Against the Tides: Restructuring through Revolution, Radicalism, and Reform / Continuum
  • 44. [단행본] Bonningue, Alfred / 1931 / La France à Kouang-tchéou-wan / Éditions Berger~Levrault
  • 45. [단행본] Bray, David / 2005 / Social Space and Governance in Urban China: The Danwei System from Origins to Reform / Stanford University Press
  • 46. [단행본] Chan, Anita / 2009 / Chen Village: From Revolution to Globaliza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47. [단행본] Cheong, Weng Eang / 1997 / The Hong Merchants of Canton: Chinese Merchants in Sino~Western Trade, 1684~1798 / Routledge
  • 48. [단행본] Dikötter, Frank / 2010 /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1962 / Bloomsbury
  • 49. [단행본] Dikötter, Frank / 2013 / The Tragedy of Liberation: A History of the Chinese Revolution, 1945–1957 / Bloomsbury
  • 50. [단행본] Dorothy J. Solinger / 1984 / Chinese Business Under Socialism: the Politics of Domestic Commerce, 1949~1980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51. [단행본] Fairbank, John K. / 2006 / China: A New History / Harvard University Press
  • 52. [단행본] Gao, Yuan / 1987 / Born Red: A Chronicle of the Cultural Revolution / Stanford University Press
  • 53. [단행본] He, Wenkai / 2013 / Paths towards the Modern Fiscal State: England, Japan, and China / Harvard University Press
  • 54. [단행본] Lee, Ching Kwan / 2007 / Workings in China: Ethnographies of Labor and Workplace Transformation / Routledge : 15 ~
  • 55. [단행본] Link, Perry / 1993 / Evening Chats in Beijing: Probling China’s Predicament / Norton & Company
  • 56. [단행본] Matot, Bertrand / 2013 / Fort Bayard: Quand la france vendait son opium / Éditions François Bourain
  • 57. [단행본] Oi, Jean C. / 1999 / Rural China Takes Off: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Economic Reform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58. [단행본] Oi, Jean C. / 1999 / Property Rights and Economic Reform in China / Stanford University Press
  • 59. [단행본] Pletcher, Kenneth / 2010 / The History of China / The Rosen Publishing Group
  • 60. [단행본] Said, Edward / 1994 / Representations of the Intellectual / Pantheon Books
  • 61. [단행본] Scott, James C. / 1977 / The Moral Economy of the Peasant: Rebellion and Subsistence in Southeast Asia / Yale University Press
  • 62. [단행본] Solinger, Dorothy J. / 1984 / The Politics of Domestic Commerce, 1949–1980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63. [단행본] Steinmüller, Hans / 2016 / Irony, Cynicism and the Chinese State / Routledge
  • 64. [학술지] Thai, Philip / 2017 / Old Menace in New China: Coastal Smuggling, Illicit Markets, and Symbiotic Economies in the Early People’s Republic / Modern Asian Studies / 51 (5) : 1 ~ 5
  • 65. [단행본] Trocki, Carl A. / 2007 / Opium Regimes: China, Britain and Japan, 1839~1952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79 ~
  • 66. [단행본] Veg, Sebatian / 2019 / Minjian: The Rise of China’s Grassroots Intellectuals / Columbia University Press
  • 67. [단행본] Verdery, Katherine / 1996 / What was Socialism, and What Comes Next?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68. [단행본] Vogel, Ezra F. / 2011 / Deng Xiaop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China / Harvard University Press
  • 69. [단행본] Walder, Andrew G. / 1986 / Communist Neo-Traditionalism: Work and Authority in Chinese Industry / Stanford University Press
  • 70. [단행본] Wang, Wensheng / 2014 / White Lotus Rebels and South China Pirates: Crisis and Reform in the Qing Empire / Harvard University Press
  • 71. [단행본] Weber, Max / 1986 / The City / Fress Press
  • 72. [단행본] Zhou, Yongming / 2000 / Opium Regimes: China, Britain, and Japan, 1839–1952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3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