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60.13
18.216.60.13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Happiness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주연 ( Kim Juyun ) , 강영심 ( Kang Youngsim )
지적장애연구 24권 2호 117-145(29pages)
DOI 10.35361/KJID.24.2.6
UCI I410-ECN-0102-2023-300-00056558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학생이 행복 수업을 통해 생길 수 있는 긍정적 변화를 염두에 두고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을 위한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내적, 외적 타당화를 거쳐 최종 수업설계 모형을 확정하였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행복 수업의 구성요소, 수업설계 원리, 수업의 절차를 분석하여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초기 모형의 내적 타당화를 위해 10명의 전문가가 3차례에 거쳐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검증하였고 수업설계 모형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 특수교사 5명이 사용성 평가에 참여하였다. 이후 고등학교 특수교사 1인과 2개의 특수학급 소속 지적장애학생 7명이 참여한 현장적용평가를 통해 외적타당화를 실시하였다. 교수자 반응 평가에서는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정도를 알아보았고 행복 수업에 참여한 지적장애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면담을 통해 학생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을 적용한 행복 수업 후 지적장애학생 7명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는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면담 분석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의미 발견’, ‘수업을 경험하며 가지게 된 행복에 대한 관심’, ‘친구의 감정에 대한 이해’. ‘일상생활에서 실천’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최종수업설계모형은 5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설계 원리, 26개의 상세 지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행복 수업을 제도적 변화 없이 즉시 실시할 수 있고 지적장애학생이 스스로의 행복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appiness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an initi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classes was developed with the positive changes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make through happiness classes, and the fi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confirm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First, an initi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mponents of happiness classes,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procedures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e internal validation of the initial model, 10 experts verified the initi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ree times, and five field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fter that, ex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site application evaluation involving one high school special teacher and seven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from two special classes. In the instructor's response evaluati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special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examined, and changes in student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rough pre-post tests and interviews of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fter the happiness class using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class design model, th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7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discovery of interest and meaning in class", "interest in happiness gained from clas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friends' feelings". The result of 'practice in everyday life' was derived. The fi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nsisted of 5 components, 11 design principles, and 26 detailed guidelines.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happiness class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can be conducted immediately without institutional chang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to pay attention to their own happiness and practice it in their daily liv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