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의 목적은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洪城 神衿城의 初築城壁을 설정하고, 축성주체를 조명함에 있다. 이를 위해 유적의 기초적인 분석에 집중함으로써 그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본래 홍성 신금성은 둘레 645m의 外城과 564m의 內城이 조합된 重郭구조로 알려졌다. 내성은 基壇石列版築城壁이 뚜렷한 반면, 외성은 기단석렬이 확인되지 않은 독특한 구조로 보고되었다. 그런데 내성과 외성의 축조양상이 다른 점에도 불구하고 동시기로 판단한 결론은 의구심을 갖게 한다. 또한 내성의 북벽과 서벽은 성벽축조층 보다 거대한 ‘성벽 아래 層群’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토성의 기저부로 판단하기에는 규모가 너무 크고 토층의 형태 또한 의미심장하여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기초로 토성벽 단면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통일신라시대 성벽 아래에 자리한 층군은 별도의 盛土構造物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 남벽을 제외한 모든 조사지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성토재료로 사용된 흙과 토층양상을 근거로, 성벽 아래 층군과 외성을 연결하여 초축성벽을 설정하였다. 초축성벽은 둘레 645m로 내성 동-북-서벽-외성 남벽을 포괄한다. 이러한 초축성벽이 폐기된 후, 통일신라시대에 기단석렬판축토성(내성)으로 변모한 것이다. 초축성벽의 축조시기는 성벽 출토유물을 비롯해 초축성벽과 유구의 중복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백제 한성기임을 분명히 하였다. 홍성 신금성 출토유물 중 대다수를 점하는 한성양식토기의 연대와 정합적임을 확인한 것이다. 구체적인 축조 및 운영시기는 東晋代 錢文陶器와 백제토기의 최근 연구를 참고하여 5세기 전반에 축조, 한성기 말∼웅진기 초까지 운영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초축성벽 축조 이전에 존재하였던 원삼국∼백제 한성기 취락이 상정된다. 백제 한성기의 홍성 신금성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축조목적과 성격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신금성이 축조되기 이전 주변지역의 물질문화 변화과정에 주목하여, 홍성 석택리유적을 위시한 지역정치체가 소멸하고 지역 내 중심지가 신금성으로 이동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호서 서해안지역은 아산만과 천수만을 잇는 2개의 교통로가 상정되는데, 양 교통로의 합류지점에 신금성이 자리하여 눈에 띤다. 따라서 지방지배의 거점이자, 아산만-호서 서해안지역-서남부 해안지역을 잇는 정치·경제적 요충지로서의 가치를 조명하였다.

키워드

백제, 마한, 토성, 판축, 성토, 지방지배, 영역화

참고문헌(66)open

  1. [학술지] 강민식 / 2010 / 충주 견학리 토성과 중부지역의 판축 토성 / 한국성곽학보 18 : 68 ~ 97

  2. [학술지] 姜元杓 / 2004 / 百濟 三足土器의 擴散·消滅 過程에 대한 一考察 / 湖西考古學 10 : 83 ~ 117

  3. [학술지] 高龍圭 / 2001 / 韓國南部地域 版築土城의 硏究 / 古文化 58 : 25 ~ 81

  4. [학술지] 권오영 / 2001 / 伯濟國에서 百濟로의 전환 / 역사와 현실 40 : 30 ~ 56

  5. [학술지] 권오영 / 2011 /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관한 시론 / 漢江考古 5 : 75 ~ 94

  6. [단행본] 권오영 / 2012 / 백제와 주변세계 / 성주탁 교수 추모논총 간행위원회 : 2 ~ 13

  7. [학술지] 金容民 / 1997 / 扶蘇山城의 城壁築造技法 및 變遷에 대한 考察 / 韓國上古史學報 26 : 89 ~ 140

  8. [학술지] 김성남 / 2004 /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형성과 변천에 대하여 / 고고학 3 (1) : 29 ~ 51

  9. [학술지] 김성남 / 2006 / 百濟 漢城時代 南方領域의 擴大過程과 支配形態 試論 / 백제연구 (44) : 35 ~ 84

  10. [학술지] 김호준 / 2007 / 京畿道 平澤地域의 土城 築造方式 硏究 / 문화사학 (27) : 731 ~ 758

  11. [학술지] 김호준 / 2013 / 美湖川 中上流의 百濟土城 現況과 特徵 / 백제학보 (10) : 105 ~ 141

  12. [학술지] 羅東旭 / 1996 / 慶南地域의 土城硏究-基壇石築型 版築土城을 中心으로- / 博物館硏究論集 5 : 15 ~ 109

  13. [학술지] 박순발 / 2004 / 湖西地域 平地·野山城에 대하여 / 호서고고학 (10집) : 45 ~ 62

  14. [학술지] 박순발 / 2007 /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 한국고대사연구 (48) : 155 ~ 186

  15. [학술지] 박중국 / 2013 /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분포현황 검토-중부지역을 중심으로- / 漢江考古 9 : 31 ~ 48

  16. [학술지] 朴重均 / 2014 / 忠北地域 百濟 初期 山城의 類型 / 韓國城郭學報 26

  17. [학술대회] 박중균 / 2017 / 한성백제 성곽유적의 최근 발굴성과와 과제, 서울지역 고중세 성곽유적에 대한 주요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 제60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 : 25 ~ 43

  18. [학위논문] 박지영 / 2017 / 백제의 확장과 주변부 취락 재조직-방사성탄소연대와 GIS 공간 분석을활용하여-

  19. [학술지] 방병선 / 2006 / 羅末麗初 韓中陶瓷交流 / 韓國史學報 (23) : 341 ~ 380

  20. [학술지] 방병선 / 2009 / 나말여초 청자 제작과 전통기술 / 선사와 고대 (30) : 65 ~ 89

  21. [학술대회] 백영종 / 2011 / 증평 이성산성의 성벽 축조방법과 성내 시설물에 대한 검토 / 증평 이성산성 정비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학술세미나

  22. [학술지] 서정석 / 2012 / 홍성지역의 산성과 백제의 郡縣 / 백제문화 1 (47) : 47 ~ 82

  23. [학술대회] 서정일 / 2014 / 홍성 석택리 원삼국시대 환호취락 검토, 내포신도시 지역의 고고학적성과와 의미 / 제29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 42 ~ 77

  24. [학술지] 成正鏞 / 1994 / 洪城 神衿城址 出土 百濟土器에 대한 考察 / 韓國上古史學報 15 : 37 ~ 100

  25. [학술지] 成正鏞 / 1998 / 錦江流域 4∼5世紀 墳墓 및 土器의 樣相과 變遷 / 百濟硏究 28 : 65 ~ 134

  26. [학술지] 성정용 / 2001 / 大田 九城洞土城 / 백제연구 34 : 175 ~ 202

  27. [학술대회] 成正鏞 / 2007 / 토기 양식으로 본 백제의 고대국가 형성, In 국가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 제31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 83 ~ 95

  28. [학위논문] 孫在賢 / 2015 / 韓國 古代 盛土構造物에서 土塊의 사용과 그 의미

  29. [학술대회] 손희주 / 2001 / 판축을 이용한 구조물 축조법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 21 ~ 22

  30. [학술대회] 申熙權 / 2001 / 風納土城의 축조기법과 그 성격에 대하여, 風納土城의 發掘과 그 成果 / 한밭대학교 개교 제74주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59 ~ 81

  31. [학술대회] 심정보 / 2013 / 증평 이성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하여 / 한국성곽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증평 이성산성의 조사 성과와 사적화 방안-

  32. [단행본] 안성현 / 2012 / 愚堂李榮奭博士停年退任紀念論叢 / 중앙디자인

  33. [학술지] 양기석 / 2012 / 홍성지역의 고대사회-支配勢力의 成長과 變化를 중심으로 / 백제문화 1 (47) : 5 ~ 46

  34. [학위논문] 윤정현 / 2013 / 湖西地域 百濟 領域化에 따른 聚落의 位相變化

  35. [학술지] 이경복 / 2009 / 백제의 태안반도 진출과 서산 부장리 세력 / 한국고대사탐구 (3) : 5 ~ 37

  36. [학위논문] 이인숙 / 2004 /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37. [학술지] 이성준 / 2013 /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보 (88) : 42 ~ 71

  38. [학위논문] 이성준 / 2014 / 漢城期 百濟 地域社會의 相互作用 硏究

  39. [학술지] 이성준 / 2014 / 百濟 漢城樣式 土器複合體의 分布時差 硏究 / 백제연구 (60) : 61 ~ 86

  40. [단행본] 李漢詳 / 2009 / 裝飾具 賜與體制로 본 百濟의 地方支配 / 書景文化社

  41. [학술대회] 이한상 / 2015 / 서산 부장리 고분군의 축조세력과 정체성, 瑞山 富長里 古墳群의 正體性 / 제31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 97 ~ 120

  42. [학위논문] 이혁희 / 2013 / 漢城百濟期 土城의 築造技法

  43. [학술지] 이혁희 / 2013 /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 한국고고학보 (89) : 173 ~ 215

  44. [학술지] 이혁희 / 2014 / 鎭安臥亭土城의 構造와 性格再檢討 / 호서고고학 (31) : 100 ~ 141

  45. [단행본] 이혁희 / 2016 /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성곽 / 국립중앙박물관 : 230 ~ 259

  46. [학술대회] 이현숙 / 2015 / 출토유물로 본 부장리 고분군의 정체성, 瑞山 富長里 古墳群의 正體性 / 제31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 63 ~ 94

  47. [학술지] 李喜寬 / 2004 / 韓國 靑磁製作의 開始時期問題에 대한 諸說의 檢討 / 白山學報 70 : 389 ~ 462

  48. [학위논문] 全赫基 / 2017 / 古代 城郭 集水施設의 性格과 變遷

  49. [학술지] 정재윤 / 2014 / 백제의 서산 지역 진출과 운영 / 역사와 담론 (72) : 367 ~ 405

  50. [학술지] 정종태 / 2003 / 湖西地域 長卵形土器의 變遷樣相 / 호서고고학 (9집) : 13 ~ 36

  51. [보고서] 忠南大學校博物館 / 1987 / 洪城郡 結城地域 地表調査 報告

  52. [보고서] 忠南大學校博物館 / 1994 / 神衿城

  53. [보고서] 忠淸南道歷史文化院 / 2008 / 瑞山 富長里遺蹟

  54. [보고서] 忠淸文化財硏究院 / 2013 / 唐津 城山里遺蹟(3-1地點)

  55. [단행본] 崔鍾圭 / 2005 / 鳳凰土城 / 경남고고학연구소 : 29 ~ 161

  56. [학술대회] 崔鍾圭 / 2007 / 風納土城의 축조기법, 風納土城 500년 백제왕도의 비젼과 과제 / 풍납토성 발굴10주년 기념 제16회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발표요지 : 43 ~ 55

  57. [단행본] 한성백제박물관 / 2016 / 夢村土城Ⅱ

  58. [보고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 2015 / 홍성 석택리유적

  59. [학술지] 한지선 / 2013 / 漢城百濟期 聚落과 土器遺物群의 變遷樣相 -서울·경기권 편년수립을 위하여- / 중앙고고연구 (12) : 1 ~ 59

  60. [학술지] 한지수 / 2010 / 百濟 風納土城 출토 施釉陶器 연구 -경당지구 196호 유구 출토품과 중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백제연구 (51) : 1 ~ 39

  61. [단행본] 韓芝守 / 2011 / 中國 六朝의 陶磁 / 국립공주박물관

  62. [학술대회] 호서고고학회 / 2014 / 내포신도시 지역의 고고학적 성과와 의미 / 제29회 호서고고학회학술대회

  63. [학술대회] 호서고고학회 / 2015 / 瑞山 富長里 古墳群의 正體性 / 제31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64. [학위논문] 土田純子 / 2013 / 百濟土器 編年 硏究

  65. [학술지] 츠치다준코 / 2013 / 馬韓・百濟地域 出土 炊事容器 變遷考 / 백제연구 (58) : 151 ~ 181

  66. [학술대회] 土田純子 / 2015 / 考古資料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領域擴大過程 硏究, 중부지역 한성기 백제 주변 정치체의 동향 / 제12회 매산기념강좌 : 55 ~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