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사택지적비는 1948년 충청남도 부여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사택지적비에 대한 연구는 1954년 홍사준이 논문을 발표한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동안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사택지적비를 도교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은 1954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사를 검토한 결과 홍사준의 논문을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덧붙여 1937년 시라토리(白鳥庫吉)의 논문에 나오는 음양설을 홍사준의 논문에서 일부 잘못 인용하였는데 이것을 후대 연구자가 시라토리의 논문에서 직접 확인하지 않아 확정되었다. 또한 사택지적비를 불교의 입장에서 언급한 정경희의 1988년 논문이 주목받지 못한 것도 오해를 키웠다. 보통 백제 귀족의 사상적 경향은 유교, 불교, 도교가 어우러져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하여 구체적인 유물에 항상 유불도를 동시에 적용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사택지적비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유불도의 측면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하는 선입견이 작용한 듯하다. 사택지적 개인의 사상경향이 유불도를 모두 갖추었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절과 탑을 지으면서 만든 사택지적비에 뚜렷한 근거 없이 도교나 유교를 무리하게 적용시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주제어: 사택지적비, 홍사준, 시라토리, 정경희, 음양설, 유교, 불교, 도교

참고문헌(35)open

  1. [학술지] 白鳥庫吉 / 1937 / 支那の藝術上に現はれたる陰陽思想 / 考古學雜誌 27 (2)

  2. [단행본] 이홍직 / 1950 / 신발견의 백제단비 / 서울주간

  3. [단행본] 이홍직 / 1954 / 백제인명고; 1987(초판 1971), 한국고대사의연구 / 신구문화사

  4. [학술지] 홍사준 / 1954 / 백제 사택지적비에 대하여 / 역사학보 4

  5. [학술지] 藤澤一夫 / 1971 / 百濟 砂宅智積建堂塔記碑考-貴族造寺事情徵証史料 / アジア文化 8 : 3

  6. [학술지] 조종업 / 1975 / 백제시대 한문학의 경향에 대하여-특히 그 변려체를 중심으로 / 백제연구 6

  7. [단행본] 佐野光一 / 1980 / 金石異體字典 / 雄山閣

  8. [단행본] 허흥식 / 1984 / 한국금석전문(고대) / 아세아문화사

  9. [단행본] 秦 公 / 1985 / 碑別字新編 / 文物出版公社版

  10. [단행본] 정경희 / 1990 / 한국고대사회사연구 / 일지사

  11. [기타] 서영대 / 1992 / 사택지적비, 역주한국고대금석문 (1권)

  12. [단행본] 김영태 / 1992 / 삼국시대불교금석문고증 / 민족사

  13. [학위논문] 조경철 / 1996 / 백제불교의 수용과 전개

  14. [학술지] 조경철 / 1999 / 백제의 지배세력과 법화사상 / 한국사상사학 12

  15. [학술지] 조경철 / 2002 / 백제 성왕대 대통사 창건의 사상적 배경 / 국사관논총 98

  16. [단행본] 조경철 / 2004 / 백제 유민의 숨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 고대로부터의통신 / 푸른역사

  17. [학술지] 조경철 / 2004 / 백제 사택지적비에 나타난 불교신앙 / 역사와 현실 (52) : 149 ~ 177

  18. [학위논문] 조경철 / 2006 / 백제불교사의 전개와 정치변동

  19. [학술지] 조경철 / 2010 / 백제 불교의 중국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국사상사학 (36) : 51 ~ 78

  20. [단행본] 황수영 / 1999 / 황수영전집4 금석유문 / 혜안

  21. [학술지] 황수영 / 2001 / 나의 佛敎美術史 연구 / 韓國史學史學報 (3) : 141 ~ 151

  22.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국사(교과용지도서) / 2002.3.1 초판발행 2004.2.1 인쇄 2004.3.1 발행

  23. [단행본] 이도학 / 2003 / 살아있는 백제사 / humanist

  24. [학술지] 이도학 / 2003 / 사비천도의 재검토 / 동국사학 39

  25. [단행본] 문동석 / 2004 / 백제 노귀족의 불심-사택지적비, 고대로부터의통신 / 푸른역사

  26. [단행본] 신광섭 / 2005 / 백제의 문화유산 / 주류성

  27. [단행본] 김두진 / 2006 / 백제의 정신세계 / 주류성

  28. [학술지] 길기태 / 2006 / 百濟 泗期의 阿彌陀信仰 / 진단학보 102 (102) : 27 ~ 57

  29. [학술지] 이내옥 / 2006 / 백제인의 미의식 / 역사학보 (192) : 1 ~ 33

  30. [학술지] 조경철 / 2007 /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백제 웅진 대통사(大通寺)와 대통신앙(大通信仰) / 백제문화 (36) : 45 ~ 66

  31. [보고서] 박찬규 / 2007 / 한문자의 수용과 한문학, 백제문화사대계12 백제의 문화와 생활

  32. [단행본] 이남석 / 2007 / 백제문화의 이해 / 서경문화사

  33. [학위논문] 박중환 / 2007 / 백제금석문연구

  34. [학술지] 박중환 / 2008 / 사택지적비문(砂宅智積碑文)에 반영된 소승불교적(小乘佛敎的) 성격에 대하여 / 백제문화 (39) : 125 ~ 141

  35. [학술지] 박중환 / 2009 / 미륵사 舍利記를 통해 본 百濟 騈儷文의 發展 / 백제문화 2 (41) : 63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