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신북방 지역의 한류 및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신북방 지역에서 한류의 영향력과 한국어 교육의 확산 정도는 국가별로 차이가 큰 편이나, 본고에서는 향후 정책 시행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해 보았다. 이어 현황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이 지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지속과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신북방 지역 대상 국가에 대한 기초 연구가 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신북방 지역의 국가별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문화 교육의 블록화[권역화]를 하고, 블록별 거점 지역을 설정하여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해당 국가 혹은 해당 블록에 특화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한류와의 연관성 속에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phase of Korean wave and Korean education in New Northern Areas, and then propose to impleme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regions. Each countries are different from the diffusion of Korean education an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s in New Northern Areas. But this thesis sets up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and so on. This thesis propose implements for Korean education in New Northern Areas. First, basic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for in the New Northern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grouping several areas in New Northern Areas for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basic research. And then establish the hub of Korean education of each areas. Third, it is necessary educational programs for foreign teachers specializing in each area or country. The forth, It is necessary creative teaching methods connecting with Korean wave.

목차

요약
1. 서론
2. 선행연구
3. 한류와 한국어 교육 확산 정도에 따른 국가 분류
4.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09-00003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