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태권도 지도자의 태권도 역사인식과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aekwondo Leaders’ Historical Awareness and Education

대한무도학회지
약어 : JKAMA
2019 vol.21, no.3, pp.155 - 167
DOI : 10.35277/kama.2019.21.3.155
발행기관 : 대한무도학회
연구분야 : 체육
Copyright © 대한무도학회
26 회 열람

그동안 한국의 국기(國技)로 인식되고 있던 태권도가 마침내 올해 3월에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다. 태권도 국기 지정은 태권도 동북공정에 대응하고, 태권도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지도자의 태권도 역사 인식과 교육에 대한 사례를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G광역시 태권도 관련 기관에 근무하며 10년 이상의 지도자 경력을 가진 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태권도 지도자 실태의 문제점은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 부족, 편협적인 선수 육성, 신체활동 중심의 스포츠 문화, 태권도 역사 교육프로그램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는 자격제도의 변화와 역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태권도 문화유산 구축, 정규 교육과정을 통한 태권도 역사 교육 그리고 태권도 역사 인식의 전환과 같은 의미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태권도장과 대학 그리고 태권도 단체의 지도자에게 실질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교육 정책 구성에도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aekwondo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national flag of Korea, was finally recognized for its legal status in March of this year. The designation of the Taekwondo flag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Northeast Asia Project an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aekwon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aekwondo leaders based on their examples of Taekwondo history recognition and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experts who have worked in Taekwondo-related institutions in G Metropolitan City and have more than 10 years of leadership experience. Problems of Taekwondo leaders were the lack of interest and interest in history, the development of athletes for the performance and qualification, the sports culture based on physical activity, and the lack of a standardized Taekwondo history education program. Also, the solution was to find meaningful measures such as change of qualification system,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program, establishment of Taekwondo cultural heritage, Taekwondo history education through formal curriculum, and conversion of Taekwondo history awareness. This effor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the leaders of Taekwondo hall, universities, and Taekwondo organization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constructing educational policies.

태권도 지도자, 역사인식, 교육, 사례연구
Taekwondo Leader, Historical Awareness, Education,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