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무도교육이념에 함의된 道義相磨 , 欲而爲人의 원전 및 출처를 찾아 뜻과 의미를 바르게 해석하여 다양한 신체기법을 통한 자아형성과 궁극적 수련 목표인 자기완성에 이르는 교육적 이념으로 활용된 내용과 사상 고찰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무도교육으로서 道義相磨 , 欲而爲人으로 바라본 도의를 도출하자면 서로 갈고 닦아 바라고자 하는바 , 그대로 실천할 수 있는 참다운 사람이 되자는 뜻이 담겨져 있다. 또한 도의를 서로 갈고 닦아 그 도의로써 무엇이든 하고자 한다면 타인을 위해서는 의로운 사람이 되자는 뜻이다. 그러므로 교육으로서 道義相磨 , 欲而爲人 뜻에 충실하자면 무도는 특정한 형과 이론, 신체기법을 체계화하여 수련하며, 修身으로 균형과 조화를 체득 할 때 인간의 질적ㆍ양적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도교육을 통해 타인을 의롭게 하고 誠意와 正心에 중심을 둔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道義相磨 , 欲而爲人의 본질적 가치로 해석된다. 이때는 반드시 예와 도를 중시하고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기성찰의 자세를 견지 할 때 수련의 목적과 의미, 그 가치가 분명해진다. 둘째, 武道敎育觀으로 道義相磨 , 欲而爲人은 무도수행과정을 통한 도덕성 함양에 대하여 도출하면 무도교육의 윤리, 도덕적 품성에 따른 인간의 덕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바르게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무도수행은 일상생활의 규범 그 이상의 엄격한 규율과 규칙성, 성실성, 일관성을 자신의 심신수련에 부여하고 태도와 습관을 형성해야 도의를 연마할 수 있다. 특히 자아를 통해 도덕성을 함양하고 전인된 인간완성을 지향할 때 실천적 의미와 동시에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사람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반면 선의 목표는 미적 탁월성보다 훨씬 성취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선의 수행과 달리 무도수행은 ‘切磋琢磨’하는 마음을 통해 정신을 진정시키며 고양하는 일종의 신체명상이기 때문에 무도교육으로서 道義相磨 , 欲而爲人의 교육적 가치를 터득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무도교육으로서 道義相磨 , 欲而爲人은 실천으로서 완성 할 수 있는데 이는 전인된 인간완성, 자기완성이라 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의 절제된 삶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학습이 평생토록 지속되어야 한다. 자아실현을 이루어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도의의 경지는 곧, 이것의 실천이며 국가와 민족 사회에 봉사하고 이바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무도교육에 있어서 덕성과 품성은 자기 스스로의 절제를 바탕으로 하며, 무도의 수많은 교육적 수행을 통해 절제의 덕성과 품성으로서의 전인된 인간완성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도교육에 있어서는 신중한 노력과 아울러 올바른 방향을 찾는 행위가 선행되고 그러한 방향성은 일생을 성찰하는 멘토이며 멘토링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道義相磨 , 欲而爲人의 심오한 뜻과 해석은 원전에서 충실성을 찾고 교육현장에서 사용되어진 역사적 시간만큼 다양한 문헌 연구를 지속적으로 되새겨 보아야하며 이러한 시도를 통해 그 의미와 명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키워드

道義相磨, 欲而爲人, 무도교육, 도덕성 함양, 무도수행, 전인된 인간완성

참고문헌(21)open

  1. [기타] / 논어

  2. [기타] / 도덕경

  3. [기타] / 孟子

  4. [기타] / 三國史記

  5. [기타] / 三國遺事

  6. [기타] / 花郞世記

  7. [학술대회] 김규수 / 2009 / 전통무예의 역사적 근원과 신체학문실제의 정체성 제시-대한유도회 / 제13회 전통무예시연회 : 97 ~ 116

  8. [단행본] 김대식 / 1987 / 태권도지도이론 / 나남출판사

  9. [학술지] 김의환 / 2005 / 용인대학교 무도교육의 현황과 과제 / 대한무도학회지 7 (2) : 1 ~ 34

  10. [단행본] 김정행 / 1997 / 무도론 / 대한미디어

  11. [단행본] 김정행 / 2007 / 무도지침서 / 대한미디어

  12. [학술지] 박동철 / 2002 / 무도교육의 신체단련 기법과 Somatics / 대한무도학회지 4 (2) : 77 ~ 84

  13. [학술지] 송일훈 / 2005 / 신라시대 화랑도에 나타나는 상무정신과 일본 무사도(Bushido)의 기원에 관한 연구 / 한국 스포츠 리서치 16 (2) : 487 ~ 496

  14. [학술지] 송형석 / 2007 / 무도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9 : 77 ~ 89

  15. [학술지] 신승윤 / 2008 / 무도교육에서의 윤리교육 / 대한무도학회지 10 (2) : 47 ~ 56

  16. [학술지] 여인성 / 2001 / 양무도사상의 소매틱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움직임의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9 (2) : 1 ~ 15

  17. [학위논문] 이성동 / 2010 / 韓·中·日 무예의 流·圓·和 사상에 관한 연구

  18. [학술지] 이정학 / 2009 / 무도수련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 대한무도학회지 11 (1) : 49 ~ 57

  19. [단행본] 이제황 / 1978 / 新柔道 / 受賞界社

  20. [단행본] 이진수 / 2004 / 동양무도연구 / 한양대출판사

  21. [학술대회] Eui Jung Choi / 2000 / 무도의 인성교육적 특성 / 대한무도학회 제2회 국제학술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