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취업진로연구
약어 : 취진연
2021 vol.11, no.3, pp.41 - 66
DOI : 10.35273/jec.2021.11.3.003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취업진로학회
5 회 열람

대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생 시기의 진로의식 형성과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관련된 직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즉, 전공만족도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보이고 자신의 역량과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불만족한 대학생에 비해 진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회적 지지는 조직 안에서 부정적 역할에 대한 지각이 낮게 나타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와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며 진로와 관련된 행동이나 인식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0년대 이후 개인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긍정심리학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개념에서 시작된 긍정적 심리자본은 개인의 진취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즉, 긍정적 심리자본 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주어진 환경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위기에 처하거나 기회가 있을 때 심리적 자산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결과 변인인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고, 인지적ㆍ심리적 변인으로서의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긍정적 심리자본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with their major is the largest part of the process of forming a career consciousness in college and there is an increasing possibility of college students choosing a profession related to their major when satisfaction level of their major is higher. Meaning, the more satisfied the college students are with their major, the more active they are in learning, and makes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mpare to dissatisfied college students because they can increase their competence and value.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are less stressed about their career and employment and has been shown that they make more career-related behaviors or perceptions when social support,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low perception of negative roles in an organization, is higher. Also,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y has been raised as interest in psychological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individual adaptation began to increase after the 2000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t starts from this concept results in individuals conducting initiative thinking and behavior that will lead to positive results. Meaning, college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 the given environment positively, and take advantage of their psychological assets and act actively when they are in crisis or have a chance. Therefore,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sulting variable, major satisfaction in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cognitive and psychological variab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been shown to play a role as a parameter when social support makes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사회적 지지, 긍정적 심리자본, 전공만족도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jor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