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제주도 ‘척박성 담론’의 재검토

Reconsidering the ‘Sterility Discourse’ on Jeju Island

탐라문화
약어 : -
2017 no.54, pp.45 - 65
DOI : 10.35221/tamla.2017..54.002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150 회 열람

이 글은 제주도의 척박성 담론의 실체와 문제, 형성 배경 등을 검토하고 있다. 탐색적이고 시론적 수준이지만, 제시된 반론과 반증들은 이 섬 제주가 결코척박했다고 할 수 없으며 현재도 그럴 수 있음을 말해준다. 오히려 풍요의 섬제주라고 불러야 더 정확하다는 주장이다. 그리하여 척박하지만 아름다운 섬 제주가 아닌 풍요롭고 아름다운 섬 제주를 위한 담론 형성 작업과 연구들이 새로이 시도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결론으로 척박성 담론에 기댄 개발주의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이른바 풍요의 담론에 의한 새로운 생태주의 패러다임을구축해나가자고 제안한다.

The exploratory approach that this paper suggests is that the discourse around Jeju’s natural resources in terms of economic productiv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the focus is on the sterility discourse. It might be argued that, even if not having in-depth theoretical support, empirical and historical evidences demonstrate that Jeju Island was never sterile as much as we have commonsensically thought. In this sense, it could be hypothetically argued that the Jeju Island is affluent rather than sterile. Criticizing the sterility discourse and developing an alternative discourse through which we can newly recognize the Jeju Island can represent it as affluent and beautiful island. In reality, since the sterility discourse has provided the excuse for development,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it can give a chance for a new ecological paradigm inspired by the affluence discourse.

제주도, 척박성 담론, 생태주의 패러다임, 풍요의 담론
Jeju Island, Sterility discourse, Ecological paradigm, Affluence discourse.

  • 1. [단행본] 강만익 / 2015 / 일제시기 목장조합 연구 / 경인문화사
  • 2. [단행본] 강문규 / 2006 / 제주문화의 수수께끼 / 도서출판 각
  • 3. [단행본] 김문홍 / 1992 / 제주식물도감 / 제주도
  • 4. [단행본] 김동전 / 2015 / 제주지역 목장사와 목축문화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 5. [단행본] 김일우 / 2000 /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 신서원
  • 6. [단행본] 김항원 / 1998 / 제주도 주민의 정체성 / 제주대학교 출판부
  • 7. [단행본] 송성대 / 1996 / 제주인의 해민정신 / 제주문화
  • 8. [단행본] 신행철 / 2004 / 제주사회와 제주인 / 제주대학교 출판부
  • 9. [단행본] 이완주 / 2012 / 흙, 아는 만큼 베푼다 / 들녘
  • 10. [단행본] 정덕영 / 2012 / 토양과 생활 /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 11. [단행본] 제민일보곶자왈특별취재반 / 2004 / 제주의 허파 곶자왈 / 도서출판 아트21
  • 12. [단행본] 제주도 / 1986 / 제주도민의 삼무정신 / 제주도
  • 13. [단행본] 제주도 / 1993 / 제주도지(1), (2), (3) / 제주도
  • 14. [단행본] 제주시 우당도서관 / 1905 / 朝鮮의 寶庫濟州島案內 (1905) / 제주시 우당도서관
  • 15. [단행본] 진영일 / 2008 / 고대 중세 제주 역사 탐색 / 보고사
  • 16. [단행본] 최열 / 2014 /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 돌베개
  • 17. [학술지] 강만익 / 2016 /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 탐라문화 (52) : 67 ~ 52 kci
  • 18. [학술대회] 고석형 / 2015 / 제주도 곶자왈의 토양특성 /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19. [학술지] 권인혁 / 1998 /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수취체제와 주민의 경제생활 / 탐라문화 / 19
  • 20. [학술지] 김경주 / 2016 / 고고자료(考古資料)로 살펴 본 원(元)과 탐라(耽羅) / 탐라문화 (52) : 129 ~ 52 kci
  • 21. [학술지] 김도형 / 1993 / 한말 친일파의 등장과 문명개화론 / 역사비평
  • 22. [학술지] 김석준 / 2016 / 제주도의 기후 생태학적 변화와 사회문화변동 / 인문학연구 / 16
  • 23. [학술지] 김태옥 / 1979 / 제주인, 제주도 정신 / 제주도 / 75
  • 24. [학술지] 김찬영 / 2012 / 부탄의 관광과 관광정책에 관한 고찰 - 부탄관광과 제주관광의 비교를 중심으로 - / Tourism Research (34) : 163 ~ 34 kci
  • 25. [학술대회] 김치완 / 2016 / 제주-섬 정체성과 ‘척박성’ 담론 in ‘척박(瘠薄)’ 담론의 재검토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주최, 탐라문화세미나발표문집
  • 26. [학술지] 박찬식 / 1996 / 19세기 제주 지역 진상의 실태 / 탐라문화 / 16
  • 27. [학술대회] 양정필 / 2016 / 제주도 척박성 담론 토론 in ‘척박(瘠薄)’ 담론의 재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주최, 탐라문화세미나발표문집
  • 28. [학술지] 양진석 / 2004 / 18, 19세기 제주의 수취제도와 특징 / 탐라문화 / 24
  • 29. [학술지] 윤용택 / 2014 / 곶, 자왈, 곶자왈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 제주도연구 / 41
  • 30. [단행본] 이상철 / 1995 / 제주사회론 / 한울
  • 31. [단행본] 이상철 / 1998 / 제주사회론2 / 한울
  • 32. [학위논문] 이영권 / 2013 / 15∼17세기 제주유민의 사회사적 연구
  • 33. [단행본] 이창기 / 1995 / 제주사회론 / 한울
  • 34. [학술지] 정광중 / 2004 / 곶자왈과 제주인의 /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 33
  • 35. [학술대회] 조성식 / 2016 / 척박함... in ‘척박(瘠薄)담론’의 재검토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주최, 탐라문화세미나
  • 36. [단행본] 조성윤 / 1998 / 제주사회론2 / 한울
  • 37. [학술지] 조성윤 / 2005 / 조선시대 제주도 인구의 변화 추이 / 탐라문화 / 26
  • 38. [학술지] 최병길 / 1998 / 제주섬 정체성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 제주도연구 / 15
  • 39. [학술지] 한금순 / 2016 / 17세기 제주도 여정(女丁)의 성격-군역(軍役) 부담에 대한 고찰- / 탐라문화 (53) : 47 ~ 53 kci
  • 40. [학술지] 허남춘 / 2016 / 제주 신화 속의 해양교류와 해양문화 / 탐라문화 (52) : 7 ~ 52 kci
  • 41. [기타] 현해남 / 2011 / 제주 토양 환경을 알면 제주의 사회문화를 안다 / 한국환경농학회 발표자료
  • 42. [학술지] 현혜경 / 2011 / 제주지역 ‘우영’의 전통과 현재적 지평에 대한 연구 / 탐라문화 (39) : 413 ~ 39 kci
  • 43. [기타] 강정효 / 2013 / 강정효의 한라산 이야기(25): 사라진 아름드리 나무들 / 제민일보, 2013년 3월 27일자 기사
  • 44. [기타] / 2016 / 고희영 감독, 물숨(Breathing Under Water), 2016년 9월 29일 개봉
  • 45. [인터넷자료]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