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제주도의 신화와 서사시 연구

A study about The Aspecct and Significance of Myth and Epic of Jeju island

탐라문화
약어 : -
2008 no.33, pp.287 - 321
DOI : 10.35221/tamla.2008..33.010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103 회 열람

신화와 서사시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둘은 전혀 다른 것이면서 동시에 동일한 것임을 거듭 일깨운다. 두 가지 갈래의 공질성과 이질성을 비교하는 것이긴요하지만, 이 글에서 그러한 관점의 비교론은 차후로 돌리고, 일단 신화로 전하는 여성신과 서사시로 전하는 남성신의 차별성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제주도의 특수성에 입각해서 논의하고 우리나라 육지부의 신화와 서사시가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논의를 확대하였다. 그리고 장차 일반론을 전개하기 위한가능성을 추론하였다. 제주도의 신화와 서사시는 주인공을 각기 달리한다. 신화 가운데 원초적 속성을 지닌 설문대할망은 제주도의 고유한 신화적 주인공이다. 여신으로 제주도를 만드는 구실을 했지만 신화적 사고가 후퇴하면서 여신성은 소거되고 이른바 소담으로 전락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견주어서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에서는 남성신이 천신으로 설정되었으며, 통일적인 생각이나 원리를 드러낸다고 하겠다. 여성신에서 남성신의 대체와 변화는 매우 소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제주도에서 얻은 결과는 다른 고장에서도 유용하고 신화와 서사시의 관계를검토하는데 유력한 준거를 제공한다. 그 가운데 긴요한 것은 바로 신화와 서사시의 결과가 거의 동일한 양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는 점이다. 제주도와 육지부의 특징을 공통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양상과 특징을 알아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시론적인 것이므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신화의 시대적 전개와 통시적 의문을 가다듬자는 의미에서 일단 이 연구를 시험적으로 진행하였다. 의의와 한계를 유념하면서 이 논문은 일단 시론적 의의를 타진한다.

Myth and Epic is important issue. We can often acknowledge that Its are very different but the same. This paper focus on Goddess which is handed down as Myth and God which is handed down as Epic. Jeju island has geographical and cultural features. The main character is not the same in Mythology and Epic poetry of Jeju. SeonmoonDaeHalMang is proper to the Jeju Mythology. SeonmoonDaehalMang creat Jeju as a Goddess but The holiness had decreased That's why Mythology had degenerated into a just small story. On the contrary God CheonJiWang who is main character of Epic poetry is the heavenly gods had not decreased. The substitution Goddess has been superseded by God is very valuable feature. This conclusion of Jeju can expand to the other regions to study about the relation between Mythology and Epic poetry. The important thing we can confirm the same pattern. but This study is not completed but trial so have several problems.

신화, 서사시, 남성신, 여성신, 본풀이
Myth, Epic, God, Goddess, Bonpuri (oral epic about God's origin)

  • 1. [학위논문] 강정식 / 1996 / 제주도 당신본풀이의 전승과 변이 연구
  • 2. [단행본] 金榮敦 / 1985 / 설문대할망과 설문대하르방 in 濟州說話集成(1) 下卷 / 濟州大學校 耽羅文化硏究所 : 705 ~
  • 3. [단행본] 김두봉 / 1932 / 제주도실기 / 제주도실적연구사 : 33
  • 4. [단행본] 김영돈 / 1985 / 제주설화집성(1) / 탐라문화연구소 : 511 ~
  • 5. [학술지] 김헌선 / 1997 /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 / 구비문학연구 / 14
  • 6. [학위논문] 문영미 / 1999 / 설문대할망 설화 연구
  • 7. [학술지] 임석재 / 1992 / 설문대하루방과 설문대할망 / 한국구전설화 / 9 : 279 ~
  • 8. [학술지] 임석재 / 1992 / 설문대할망 / 한국구전설화 / 9 : 277 ~
  • 9. [단행본] 장주근 / 1960 / 한국의 신화 / 성문각 : 5 ~
  • 10. [단행본] 장주근 / 1960 / 한국의 신화 / 성문각
  • 11. [단행본] 조동일 / 1997 /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 문학과 지성사
  • 12. [단행본] 진성기 / 2001 / 설문대할망 in 신화와 전설 / 제주민속연구소 : 24 ~
  • 13. [단행본] 진성기 / 2001 / 설문대할망과 설문대하르방 in 신화와 전설 / 제주민속연구소 : 27 ~
  • 14. [단행본] 진성기 / 2001 / 설문대할망과 설문대하르방 in 신화와 전설 / 제주민속연구소 : 27 ~
  • 15. [단행본] 허경회 / 1990 / 한국씨족설화연구 / 전남대학교출판부
  • 16. [학술지] 현길언 / 1995 / 설화 : 설문대할망 / 제주의 민속 / 3 : 35 ~
  • 17. [단행본] 현용준 / 1986 / 제주도 무속의 연구 / 집문당
  • 18. [단행본] 현용준 / 1976 / 제주도전설 / 서문당 : 22 ~
  • 19. [단행본] 현용준 / 1996 / 선문대할망 in 제주도전설 / 서문문고 : 22 ~
  • 20. [단행본] 현용준 / 1980 / 한국구비문학대계 9-1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200 ~
  • 21. [단행본] 현용준 / 1981 / 한국구비문학대계 9-2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710
  • 22. [단행본] Georges Dumezil / 1968 / Mythe et epopeeⅠ, L'ideologie des trois fonctions dans les epopees des peuples indo-europeens / Gallimard
  • 23. [단행본] Georges Dumezil / 1971 / Mythe et epopee Ⅱ, Types epiques indo-europeens : un heros, un sorcier, un roi / Gallimard
  • 24. [단행본] C. Scott Littleton / 1966 / The new comparative mythology: An anthropological assessment of the theories of Georges Dum?il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5. [단행본] Daniel Dubuisson / 1993 / Mythologies du ⅩⅩsiecle : Dumezil, Levi-Strauss / Presses Universitaires de Lille
  • 26. [단행본] Ellie K?g? Maranda / 1974 / Individual and tradition / Folk Narrati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