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도달하면서 불확실성에 대해 대응하고 기술 공존과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 인재육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탈 표준화, 초연결성과 같은 속성을 지닌 현시대가 요구하는 미래 인재 핵심역량은 전통적인 교육체계에서는 개발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내러티브 세대인 아동 연령층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미래 교육 방향을 예측해보고 창의적 미래 교육환경에 맞는 학습환경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플립러닝이 교수 방법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플립러닝은 테크놀로지의 도움을 받는 학습 활동으로 학습자가 수업 전 개별적 능동적으로 개념을 학습한 후, 수업 활동을 통해서는 협력적, 창의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과 창의융합(STEAM)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융합적 학습 모형의 변화가 수행 가능한 교육환경의 특성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미래사회 변화 예측에 따른 교육체제의 방향성과 미래 교육환경의 역할과 요소를 살펴보았다. 미래 교육환경의 대안으로 플립러닝과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STEAM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론적 개념을 살펴보고 학습적, 학습 확장적, 기술적 인프라 요소로 나누어 9가지 요소(정보탐색, 학습자 중심, 지식융합, 활동 중심, 상호작용, 자기평가, 디지털기술활용, 개별화된 학습 경험 지원, 상호작용 통한 학습확장)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의 틀을 구성하여, 선정된 3개의 해외 선진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결과 근거로 플립러닝 기반의 STEAM 교육환경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이 분석을 통해서 플립러닝 기반의 STEAM 교육 학습환경은 학습적, 학습 확장적, 기술적 인프라 요소로 구분되어 특성이 드러나게 된다. 그 결과 총 4가지의 (자기 주도 이해의 개별화 공간, 다변적 체험의 창의적 공간, 상호교류 이해의 개방적 공간, 능동적 활동의 공유적 공간) 교육환경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사례분석의 틀로 삼아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의 결과로서 플립러닝과 STEAM 교육환경의 연계 가치를 제언하였다. (결론) 미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학습이 이뤄지는 공간의 범위를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학습 환경적 측면에서 학습적, 정서적 요소를 포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교육과정을 대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

키워드

플립러닝, STEAM, 창의융합인재, 교육환경, 교수-학습

참고문헌(33)open

  1. [보고서] Adams Becker, S. / 2017 / NMC Horizon Report : 2017 Higher Education Edition

  2. [보고서] Freeman, A. / 2016 / The NMC Horizon Report: 2016 Higher Education Edition

  3. [학술지] 최민아 / 2014 /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 공간의 특성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15 (3) : 417 ~ 428

  4. [학술지] 조진일 / 2020 /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 교육녹색환경연구 19 (1) : 13 ~ 24

  5. [학술지] 강인애 / 2012 /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 교육방법연구 24 (2) : 283 ~ 303

  6. [학술지] 강정찬 / 2015 /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 교육방법연구 27 (3) : 276 ~ 305

  7. [학술지] 김미수 / 2017 / STEAM 교수 학습 원리를 활용한 진로교육 모형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3) : 1 ~ 25

  8. [단행본] Malcolm, Brown / 2006 / Trends in Learning Space Design

  9. [학술지] 민재윤 / 2021 /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육동향과 블렌디드러닝 모델연구 -초등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조형미디어학 24 (2) : 76 ~ 85

  10. [단행본]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 2017 / Global perspectives in convergence education

  11. [단행본] OECD / 2011 / Learning Environments for the 21st Century in OECD / OECD Publishing

  12. [단행본] OECD / 2019 / Analytic Framework for Case Study Collectio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s in OECD / OECD Publishing

  13. [학술지] 박병준 / 2021 /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 (4) : 145 ~ 154

  14. [학술지] 신진수 / 2019 / 학생 맞춤형 수업을 위한 학교 공간 분석: 스웨덴 비트라 텔레폰플랜(Vittra Telefonplan) 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 (10) : 433 ~ 445

  15. [보고서] 교육부 / 2011 / 인재 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실행 계획

  16. [기타] 교육부 / 2015 /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 교육부

  17. [기타] 교육부 / 2020 / 블렌디드 수업모델 / 교육부

  18. [보고서] 김명수 / 2020 /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STEM 교육프로그램 제안

  19. [기타] 계보경 / 2011 / 미래학교 디자인가이드라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 [보고서] 김황 / 2017 / 첨단 미래학교 구축 및 운영 방안

  21. [보고서] 김현진 / 2017 / 미래학교 설립&운영 모델 개발 연구

  22. [보고서] 김혜숙 / 2018 / OECD PISA 2018을통해 본 한국의 교육정보화 수준과 시사점

  23. [학술대회] 곽덕훈 / 2010 / 스마트러닝의 의미와 전망 / 스마트러닝코리아 포럼 발표자료집

  24. [보고서] 계보경 / 2017 / 미래학습 공간의 변화전망

  25. [보고서] 계보경 / 2020 / 미래 교육을 위한 에듀테크 활성화 방안

  26. [단행본] 김경자 / 2016 / 2030 미래학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7. [보고서] 박은경 / 2020 / OECD 미래 학교교육 시나리오와 시사점

  28. [보고서] 백정열 / 2018 / 에듀테크의 기술 및 콘텐츠 동향

  29. [보고서] 임철일 / 2021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 학습환경연구-물리적·디지털 공간을 중심-

  30. [보고서] 차현진 / 2020 / 미래 교육 체험관 공간 및 운영 개선 방안

  31. [기타] 최재혁 / 2021 / 2020년 과학중점학교 운영 및STEAM가이드 / 한국과학창의재단

  32. [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33. [보고서] 홍준의 / 2019 / 융합 교육 확산을 위한 미래형 융합 교육공간조성 방안 최종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