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사회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비즈니스와 관광을 위한 호텔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배경 아래 국내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호텔신축이 빠르게 증가하였지만, 대다수의 대형 브랜드 호텔은 획일화된 디자인과 정형화된 서비스공간으로 되어있어 도심 속의 역사적 장소성을 기대하고 찾은 해외 방문객들을 충분히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 보존정책의 철저한 실행을 통해 전통적인 요소의 맥락적 디자인 특성들을 잘 살리면서 현대적인 요소들이 어우러지도록 잘 관리되어있는 도시 암스테르담의 사례를 통해서 지속 가능한 재생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 범위는 암스테르담 정부의 재생프로젝트로 유휴화된 지역의 역사적, 장소적 맥락성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재생디자인 하여 복합문화 예술 단지로 주목받고 있는 De Hallen complex 지역과 NDSM Wharf 섬에 있는 호텔들을 선정하고 재생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도시재생 및 역사적 관계성과 관련된 문헌과 참고서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맥락적 특성의 기준을 제시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재생디자인의 맥락적 관점을 중심으로 크게 시각적(형태적) 요소, 비시각적(의미적) 요소로 분리하여 각각의 요소에 특성들을 도출한다. 셋째, 선정된 건축물들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 공간을 앞서 도출된 맥락적 요소들의 관점으로 특징을 분석틀과 함께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선정 건축물과 주변 환경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장소적 지역적 특성들을 재생디자인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유휴공간을 호텔로 재생 디자인할 때 맥락적 특성들을 활용하여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암스테르담의 새로운 문화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두 지역은 방치되고 있는 유휴공간을 장소가 가진 역사적 맥락성을 잘 활용하여 특성을 가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재생 디자인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회복과 활성화에 성공한 좋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들에서 증가하고 있는 재생 건축되는 호텔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함에 있어 맥락적 관점으로 도출한 디자인 특성들이 반영된 공간구성 예시를 활용하여 향후 노후화된 지역의 호텔산업의 재생디자인 방향과 더불어 복합문화공간과의 연계성을 통한 공간 계획의 기초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키워드

암스테르담 재생디자인 호텔, 맥락적 특성, 역사성, 장소성, 지속가능성

참고문헌(22)open

  1. [학위논문] Ahn, Yumi / 2017 / A Study on Rehabilitation Design of Culture and Art Space Based on Place Memory

  2. [학위논문] Choi, Jinwook / 2016 / A Study on the Spatial Regeneration based on Place Memory -Focused on the Future Heritagein Seoul

  3. [학위논문] Ganbaatar, Bolor / 2015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ism Appear in the Work of The Priztker Prize-Focused on Pepper’s Contextualism

  4. [학위논문] Hwang, Dongho / 2018 / A Study on the Space Design Policy for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Idle Space in Korea

  5. [학위논문] Jang Heajin / 2011 / A Study on Identity Strategy Of URbav Space in the Didital Media Environment

  6. [학술지] Kim, Gyunggeun / 2016 / A Study on Design Hotels Applying Narrative Expression Characteristics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 (41) : 94 ~ 99

  7. [학술지] 김정아 / 2018 / 호텔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장소성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 (3) : 33 ~ 40

  8. [학위논문] Kim, Taeyoung / 2015 / A Study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 in the work of Kengo Kuma

  9. [학위논문] Kwon, Youngjae / 2016 / A Study on Local Revitalization Measures through Underused Space Regeneration from an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10. [단행본] Lim, Seokjae / 2005 /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Oriental thought / Book House Press

  11. [학위논문] Moon, Heejun / 2015 / Criteria and Priorities of Urban Regeneration Planning through Urban Tourism and Revisitable Place StrategiesMun Hee-jun

  12. [학술지] Oh, Hyunjung / 2019 / A Study on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ism Appearing in Architecture of Balkrishna Dosh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60 (14) : 11 ~ 20

  13. [기타] Oh, Hyunjung / 2019 / A Study on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ism Appearing

  14. [학위논문] Park, Youbin / 2020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ntextualism in Thomas Heatherwick’s Works

  15. [단행본] Pepper, Stephen C. / 1942 / World hypothese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학술지] 이주희 / 2016 / 시품의 풍격과 한국 전통건축의 은둔적 사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 (1) : 101 ~ 114

  17. [학술지] Wang, Fafu / 2017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laceness of Industrial Heritages Space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Beijing 798 Art Zone in C hin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6 (1) : 101 ~ 113

  18. [학술지] 용은영 / 2011 / 공공공간의 컨텍스트 표현 특성 연구 - 청계천 거리, 광화문 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 (6) : 88 ~ 96

  19. [학위논문] Yoon, Hyunsook / 2007 / A Study on Contextual special quality in Jean Nouvel’s projects

  20. [단행본] 랄프, 에드워드 / 2005 / 장소와 장소상실 / 논형

  21. [단행본] 마티유, 리카르 / 2003 / 손바닥 안의 우주 / 샘터사

  22. [단행본] 토마스, 맥팔레인 / 2002 / 아인슈타인과 부처 / 황소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