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 홍보관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장소이자 기업이나 브랜드가 소비자와 만나는 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과 소비행태도 함께 변화하면서 공간의 역할 또한 달라지고 있다. 급격히 증가하는 브랜드의 범람 속에서 기업들은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본 논문은 브랜드 홍보관에서 표현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드 홍보관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삼기위한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홍보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각 사례에 대해 사례조사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전략, 브랜드 공간의 유형 등을 연구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분류한 후 분석 틀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국내 브랜드 홍보관을 사례로 선정하고 제시된 분석틀을 이용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업이나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디자인 철학 요인인 의미요소보다는 표현요소로 구현되는 공간 연출에 의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표현요소를 분석한 결과는 상징적 오브제와 시각적 테마 연출이 높은 반면에 시각적 테마 연출 이외의 다른 공감각적 테마 연출요소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인지도적인 측면에서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브랜드 홍보관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시각적 표현요소로써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상징적 오브제는 본질적으로 눈으로 인지되는 아이덴티티의 매개체로써, 소비자들에게 강한 임팩트를 준다. 또한 홍보관에서의 시각적 테마 연출은 브랜드나 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하며, 시각적 테마 연출 속에 브랜드 아이텐티티와 콘셉트, 제품이 자연스럽게 통일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홍보관은 BI의 표현요소가 중요한 요소로 적용되면 앞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효과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키워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BI표현전략, 브랜드 홍보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공간

참고문헌(15)open

  1. [학위논문] Cho, Y / 2015 / A Study on the Brand Communication Promotion Center based on Experiential Exhibition

  2. [보고서] Hong, S. / 2007 / Space Marketing

  3. [학술지] Jung, H. / 2008 / A Study on Spatial Graphics with Brand Identity in Commercial Spac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nterior Design 17 (6) : 129 ~ 138

  4. [학술대회] Kim, H. / 2014 / A Study on the Design of Facade in Korea that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image / A collection of papers by the Korea Society of Interior Design 23 (107) : 182 ~ 190

  5. [학위논문] Kim, J. / 2010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the fashion flagship store

  6. [학위논문] Kim, Jungran / 2004 / A Study on the Design of Consumer-Oriented Brand Communication Space

  7. [학술지] 김정아 / 2020 /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5 (8) : 237 ~ 248

  8. [학술지] 김미영 / 2011 /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공간의 체험적 표현 특성 연구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32) : 413 ~ 422

  9. [단행본] Kyung, N. / 1998 / Visual Design and Brand Image / Yegyeong

  10. [학술지] Lee, Jun / 2017 /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Lovemark, Brand Identity, Brand Eq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 Society for Digital Policy Management

  11. [단행본] Lee, S. / 2003 / David Aaker's Brand Management / Business Books

  12. [단행본] Peters, J. / 2005 / Re-imagine / 21st Century Books

  13. [단행본] Son, I. / 2003 / Brand identity-Brand communication strategy beyond 100 years of enterprise / Management strategy

  14. [학위논문] Shin, H. / 2007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to revitalize corporate brands, Myongji University

  15. [단행본] Yoon, K / 2009 / Aaker. Keller. Kapferer Brand Workshop / United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