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도시재생 거점시설 계획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and Program of Urban Regeneration Base Facilities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약어 : -
2021 vol.16, no.1, pp.59 - 68
DOI : 10.35216/kisd.2021.16.1.59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회 열람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도시 확장으로 인한 부작용 해소, 경제성장으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적 요구 증대 등 다양한 시대적 이슈를 해소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서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해당 사업지역을 활성화하고 주민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거점시설을 1개소 이상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점시설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하여 검토하고 설계공모 지침사례를 분석하여 거점시설을 포함한 유사시설 등의 계획 및 운영관리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거점시설 관련 분야의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거점시설의 개념 및 관련제도를 검토하였으며, 거점시설 공모사례를 수집하여 대지면적 및 건축면적, 규모, 공사비, 층별 주요시설 및 면적기준 등을 비교하고 거점시설 관련 지침 및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거점시설의 물리적 규모는 사례별로 매우 다양하고 사업규모 및 유형과는 크게 관계가 없는데 이는 해당지역 내 신축 또는 리모델링이 가능한 공간 및 부지확보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거점시설에 조성되는 프로그램은 비교적 유사한 공간으로 계획되는데 사무공간은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민공동체 사무실, 회의실이 있으며, 문화 및 여가공간의 경우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실(다목적실)과 공동부엌이, 상업공간의 경우 카페, 특산물 판매소 등이 공통적으로 계획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발주기관에 따라 지침의 내용적 범위 및 세부항목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일부사례는 층별 공간프로그램까지 명시하고 있으며, 면적기준도 별도로 제시하고 있었다. (결론) 연구의 시사점으로 거점시설 계획 시기에 대한 충분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며 설계공모 발주 전 기획설계를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 해당지역 주민수요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두 번째, 거점시설 계획 시 필수확보공간, 선택적 특화공간으로 구분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해당 공간에 대해 최소공간 기준 제시가 요구된다. 세 번째, 거점시설 계획뿐 아니라 지속적 운영 및 관리 안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설계 기획단계에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건립 후 운영사례 실증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추후 기획부터 실제 운영까지 전 과정을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문제에 대한 개선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with various timelines across the country to address issues such as side effects of urban expansion; increasing public demand, spurred by economic growth,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need for planning more than one hub facility to revitalize the project area; and the need for supporting communit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base facilities, analyze cases of design competition guidelines, use them as reference materials for planning and operation management of similar facilities, including base facilities, and provide basic data on research in this area. (Method)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concept and related system of base facilitie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compared various projects in terms of the land area and building area, scale, construction costs, floor-by-floor main facilities, and area criteria, and derived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Results) The physical scale of base facilities varies greatly from case to case,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size and type of business.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securing new spaces and sites that can be built or renovated in the relevant area. The programs to be created at the base facilities will be similar, but office spaces will include urban regeneration site support centers, community offices, and conference rooms, as well as a program rooms (multi-purpose rooms) for club activities in cultural and leisure spaces, cafes, and specialty shop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content and details of the guidelines depending on the ordering organization, but in some cases, the space program by floor was specified and the area standard was presented separately.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timing of the hub facility planning investiga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ject should be examined through planning and design prior to placing an order for design public offering, and the local residents' demands should be fully reflected in the project plan. Second, when planning a base facility, it is necessary to plan it separately in an essential secured space and a selective specialized space, and present a minimum space standard to the spac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stabilize operations and management as well as base facility planning.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design planning stage, and its drawback is that empirical research on post-establishment operational cases could not be carried ou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e entire process from future planning to actual opera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common problems that arise in this process.

도시재생 뉴딜사업, 거점시설, 커뮤니티시설, 앵커시설, 시설 프로그램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 Facilities, Community Facilities, Anchor Facilities, Program for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