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는 현재 저출산, 도심공동화, 도심구조의 재편 등 다양한 문제들로 학교의 지속적인 학생 수 감소현상을 겪고 있으며, 농촌 지역에서도 인구고령화와 이농현상 등의 원인들로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는 문제를 겪고 있다. 농촌 지역 학교들은 도심지역 학교들에 비해 학생 수 감소 현상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생수 감소로 인해 농어촌 학교들은 통폐합을 하거나 결국 폐교까지 되는 현상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각 지자체나 학교에서 이를 해결하고자 해결방안에 관한 논의를 계속해서 진행해왔으나, 우수학교의 운영방안을 따라하는 식의 해결방안으로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못해 운영의 지속가능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농촌 지역은 도시와 다른 환경과 상황을 가지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독자적인 활성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수 증가율을 유지하며 초등학교를 활발하게 운영해 나가는 농촌 지역의 학교들을 조사·분석하여, 농촌 초등학교의 활성화 특성과 방안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미래 농촌학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 특성들을 바탕으로 인천광역시 농촌 지역 중 강화도로 연구범위를 한정 지어 최근 10년 간 인천 강화도의 13개 지역에서 학생 수가 증가한 지역의 초등학교를 현황조사하고 학교의 활성화 특성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조사와 현장 면담조사를 통한 접근 방법으로 학생 수의 변화와 학교의 특성화된 사업, 학교별 개선중심사항, 유휴시설의 변화 현황 등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농어촌 학교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특성을 도출한다. 더 나아가 미래 농어촌 지역의 교육시설계획과 운영에 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프로그램 전략으로는 소외계층의 학생비율이 높은 농촌 실정에 적합한 유연한 돌봄교실의 확대와 예체능 위주의 특기적성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전통적인 학교 교육에서 벗어나 지역 사회의 자원 환경을 적극 이용해 특색 있는 자연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해야한다. 공간적 전략으로는 내부 교실을 복합적인 활동과 다양한 수업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으로 구성해야 하며 교실은 수업뿐만 아니라 특기적성 수업활동 및 돌봄교실 등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성격을 가진 학교 외부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농촌학교는 외부환경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활용해 체험활동과 휴식, 활발한 커뮤니티를 유도하는 공간으로 조성한다면, 학교의 체험 프로그램들을 위한 장소가 확보되는 동시에 농촌학교의 활성화가 증가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초등학교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인천의 강화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역 한정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전국의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보안되어야 할 부분으로 향후 농촌 초등학교의 세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농촌초등학교, 소규모 학교, 학교 활성화, 돌봄교실, 자연체험학습

참고문헌(15)open

  1. [학술지] Cho, Youngnam / 2014 /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5 (2) : 139 ~ 159

  2. [학술지] 임연기 / 2006 /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 교육행정학연구 24 (4) : 27 ~ 50

  3. [보고서] Jang, Hyunjin / 2014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tudents' Experience Infrastructure in Free Semester System

  4. [학술지] 김대석 / 2016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프로그램 개선 방안: 교육복지 선진국의 문화․예술․체육 돌봄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 (9) : 375 ~ 384

  5. [보고서] Lee, Byunghwan / 2017 / Application Method of Education Infrastruture according to Decrease of Students

  6. [보고서] Lee, Chan / 2017 / A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Rural Schools

  7. [학술지] 이두현 / 2016 / 학교 밖 창의체험자원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성 분석: 마을 기반 프로젝트형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학회지 5 (2) : 99 ~ 106

  8. [학술지] 마상진 / 2010 / 농촌 학교의 활성화 요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농촌경제 33 (1) : 115 ~ 139

  9. [학술지] 나승일 / 2006 /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 (2) : 117 ~ 135

  10. [학술지] 나승일 / 2003 /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육성 및 운영 모형 탐색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 (1) : 47 ~ 62

  11. [학술지] 박성희 / 2012 / 좋은 농촌학교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 (2) : 51 ~ 73

  12. [학술지] 박승배 / 2014 / 폐교위기를 극복한 농촌의 한 작은 학교에 대한 질적 연구 / 교육종합연구 12 (2) : 79 ~ 102

  13. [학술지] 류시영 / 2013 / 농촌의 생태체험 프로그램 유형별 성공요인 / 관광연구저널 27 (5) : 203 ~ 219

  14. [학술지] 양윤이 / 2013 /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직영과 사회적 기업에 의한 위탁 운영 비교를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21 (4) : 171 ~ 200

  15. [학술지] 유찬주 / 2014 / 초등학생의 농촌체험 참여동기에 따른 만족도 분석 / 휴양및경관연구 8 (2) : 35 ~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