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길찾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의 속성은 가시성과 식별성이고, 효율적인 길찾기 방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랜드마크의 시각적 / 심리적 속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선추적 기술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측정하고 그러한 속성들과 길찾기 행위와의 복합적 관계를 밝혀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랜드마크의 조건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의 설명변수인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를 정한다. 이는 랜드마크의 시각적 속성과 심리적 속성이 어떻게 랜드마크의 길찾기 역할인 식별성과 가시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시선추적 실험이 준비되었다. 가설검정을 위해 진출색(a), 후퇴색(r), 익숙함(f), 익숙치 않음(u)을 조합하여 4가지의 실험을 만들고 피험자를 배정하였다. 피험자는 배정된 실험조건의 지시문을 읽고 시선추적기를 착용한 후에 배정된 실험조건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지정된 물체를 선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피험자가 제대로 물체를 선택하였는가와 물체 선택 시간이 랜드마크의 식별성 분석을 위해 기록되었고, 피험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이 랜드마크의 가시성 분석을 위해 기록되었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의 나이, 성별 등은 연구의 반응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랜드마크의 시각적, 심리적 요인은 반응변수인 랜드마크 선택의 정확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랜드마크의 시각적 요인은 반응변수인 랜드마크 선택의 신속성에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넷째, 랜드마크의 심리적 요인은 랜드마크 선택의 신속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다섯째, 가시성에 대한 실험에서는 물체의 위치 및 시각적/심리적 요인 모두 랜드마크의 가시성(선주시)에 유의미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친숙한 사물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설계해야 한다는 것과 주변환경과 차별되는 진출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랜드마크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랜드마크 설계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것과 두 번째로, 디자인을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디자인 대상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소개하고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통제의 한계로 발생된 실험오류들이 논의를 통해 연구문제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연구문제들은 차후 연구의 실험설계에서 학문적으로 전개되어 반영되어야 한다.

키워드

길찾기, 랜드마크, 시선추적, 시뮬레이션, 실험연구

참고문헌(11)open

  1. [학술지] Burnett, G. / 2001 / Supporting the navigation task : Characteristics of ‘good’ landmarks / Contemporary Ergonomics : 441 ~ 446

  2. [학술지] Chen, J. L. / 1999 / A Theoretical model of wayfinding in virtual environment : Proposed strategies for navigational aiding / Presence 8 (6)

  3. [학술지] Choi, Young-Leem / 2012 /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Eye Tracking System / Digital Contents Society Review 8 (1)

  4. [학술지] Hunt, M. E. / 1985 / Enhancing a building’s imageability /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2 : 151 ~ 168

  5. [학술지] 정진우 / 2005 / 도시환경에 있어서 공간인식요소와 길찾기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6 (4) : 451 ~ 460

  6. [학술지] 김종하 / 2016 / 공간구성요소의 위치특성에 나타난 시각적 이해 과정의 주의집중 탐색 방향 특성 -스포츠 매장의 원-공간과 전회-공간의 이미지 비교를 통해- / 기초조형학연구 17 (6) : 109 ~ 124

  7. [학술지] 김종하 / 2014 / 공간정보의 탐색과정에 나타난 시각정보획득특성에 관한 연구 - 지하철 홀 공간의 주시실험을 대상으로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 (2) : 90 ~ 98

  8. [학술대회] Kim, Ju-Yeon / 2016 / An Analyzed the Area of Interest based on the Visiting Intention through the Spacial Eye-tracking / 2016 KIID Conference Proceedings 19 (1)

  9. [학술지] 김정곤 / 2014 / 전시 공간의 관람자와 대상에 관한 현상학적관계성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47) : 57 ~ 64

  10. [학술지] 김태용 / 2006 / 분산된 자극물에 대한 감상자의 본능적 시선움직임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7 (1) : 77 ~ 88

  11. [학술지] 이선화 / 2016 / 도시가로환경 구성요소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 (1) : 73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