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환경이 급속하게 변화되면서, 현재의 오프라인 매장은 온라인(모바일) 구매 채널에 밀려 큰 위기를 맞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의 단계에 따른 소비 행위요소를 추출하고, 이와 접점을 갖는 매장 공간구성요소와 이를 지원 가능한 IT/디바이스의 활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공간구성요소의 효율적 활용 방안에 대한 기초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향후 옴니채널 전략에 기반한 의류 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발생 가능한 행위의 종류를 추출한다. 둘째, 의류 매장의 공간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셋째, 매장 사례분석을 통해 매장 내 IT 기술 및 관련 기기 또는 서비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매장 내 활용 가능한 IT기술이나 관련 서비스를 도출한다. 넷째, 분류한 구매 프로세스의 단계별 유발 가능한 소비행위를 정리하고, 각 행위와 소비자와의 접점 역할을 하는 매장공간구성요소 및 이를 지원하는 활용 가능한 IT/디바이스의 역할을 종합하여 스마트한 의류매장 계획을 위한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매 프로세스는 인지-체험-비교-구매-구매 후 평가의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인지단계는 매장 외부에서 인지하는 매장 정보 등으로 쇼윈도 감상, 쿠폰 자동수신 등이 포함되며, 따라서 쇼윈도, 출입문 등에 디지털 사이니지와 개인 맞춤형 정보 송출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다. 체험은 상품 자체에 RFID, QR코드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쇼케이스, 행거 등에 고객이 터치 또는 고객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활용해 상품 관련 이미지나 정보, 후기 등을 송출하는 키오스크 계획이 가능하다. 또한 상품 착장을 통한 체험 시 탈의실과 거울은 VR기술을 활용해 간접적 상품 착장 이미지나 착장한 상품의 타 색상 및 사이즈를 비교할 수 있도록 스마트한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비교 단계에서는 체험한 상품의 디자인, 색상, 가격 등의 비교가 중요한 만큼 개이니 스마트폰이나 매장 내 비치된 인터렉티브 스크린에서 자유롭게 상품 상세 정보 및 관련 상품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한 환경을 구성해야 한다. 구매와 구매 후 평가 단계에서는 계산대에서 결제를 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의 최소화를 통해 결제 편의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결론) 쇼루밍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온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옴니채널 전략 제공과 더불어, 이들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스마트한 매장 환경 구축이 중요하다. 현재 스마트 매장의 경우 무인매장의 시장 진입이 본격화되는 현황으로, 향후 이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한 의류환경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옴니채널 전략, 의류 매장, 스마트 매장 환경, 구매 프로세스, 구매 행위

참고문헌(17)open

  1. [학술지] Bitner, M. J. / 1992 / Servicescapes :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 Journal of Marketing 56 : 57 ~ 71

  2. [학위논문] 박성아 / 2007 /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에서의 효과적인 전략 및 표현 연구

  3. [보고서] Colley, R. H. / 1961 / Defining Advertising Goals for Measured Advertising Results

  4. [단행본] Engel, J. F. / 1968 / Consumer Behavior / Holt, Rinehard and Winston

  5. [단행본] Engel, J. F. / 1995 / Consumer Behavior / Dryden Press

  6. [단행본] Ferrell, O. C. / 2005 / Marketing Strategy / Thomson South-Western

  7. [단행본] Howard, J. A. / 1999 / Consumer Behavior in Marketing Strategy / Prentice-Hall

  8. [학술지] 정은주 / 2011 / SPA 브랜드 매장의 VMD 요소 현황과 사용자 평가 / 기초조형학연구 12 (3) : 461 ~ 472

  9. [학술지] Kim, Kyunghwa / 2009 /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Element to Improving the Brand Image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1 (1) : 79 ~ 84

  10. [학술지] Lavidge, R. / 1961 /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 Journal of Marketing 25 (6) : 59 ~ 62

  11. [학위논문] 이다은 / 2013 / SPA 브랜드의 VMD 연출에 관한 연구 : UNIQLO, ZARA, H&M 중심으로

  12. [학술지] 이영숙 / 2004 / 일본 SPA 패션브랜드의 비주얼머천다이징에 대한 연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 (3) : 266 ~ 276

  13. [단행본] Michel, T. / 2008 / Retail Branding : from stopping power to shopping power / BIS Publishing

  14. [학술지] 오정아 / 2016 / 국내·외 유통업체의 옴니채널 전략 활용현황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 (5) : 111 ~ 120

  15. [학위논문] 신혜영 / 2003 / 감성 캐쥬얼 의류 매장의 VMD 매뉴얼 연구

  16. [단행본] Stong, E. / 1925 / The Psychology of Selling and Advertising / McGraw-Hill

  17. [학위논문] 장은아 / 2002 /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적용한 패션매장의 내외부 이미지 통합방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