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와 관련된 정책의 변화와 방향성을 파악하고, 주민자치센터 공간의 만족도와 요구도 및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자치센터 실내공간 구성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의 평균적인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비율과 유사한 강동구, 주민자치활동이 활발한 강서구, 광진구, 문화여가 프로그램 비중은 높지만 주민자치 영역이 가장 낮은 강남구를 주민자치센터 공간구성의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이들 지역의 주민자치센터 개요, 프로그램 및 공간 특성, 면적 등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의 주민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식조사는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강서구, 광진구, 강남구, 강동구 주민 4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민자치센터의 각 공간에 대한 중요성과 만족도 그리고 각 공간의 디자인 방향성 인식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주민자치센터는 평생교육 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 교육프로그램 위주로 운영이 되는 실정이었다. 공간구성을 보면 관리·행정, 건강·운동, 여가·문화, 교육·보육, 정보·상담의 순으로서 관리·행정의 면적 비중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주민자치센터 공간구성은 주민의 요구와도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간은 첫 번째가 건강·운동 및 교육·보육 공간, 두 번째가 여가·문화 공간, 세 번째가 정보·상담 공간 및 관리·행정 공간으로 나타났다. 각 공간에 대한 중요성과 만족도의 차이는 건강·운동 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육·보육 공간, 여가·문화 공간, 정보·상담 공간이었고, 관리·행정 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현재 주민자치센터 운영 및 공간 구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향후 주민자치센터는 주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공간구성이 이루어지되, 기본적으로 주민이 요구하는 방향은 본 연구의 결과로 추측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경우 만족도가 높은 주민자치센터 공간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키워드

실내디자인, 공간디자인, 주민자치센터, 디자인 방향성, 공공 디자인

참고문헌(2)open

  1. [단행본] Min, Kyung Ho / 1996 / 장소의 혼 / 태림문화사

  2. [학술지] 김미영 / 2013 / 장소성 형성의 공간구현 전략과 실행요소 연구 - 공공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2 (6) : 190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