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1970년대 이후 단시간의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수많은 전통 공간들이 훼손되었다. 새로운 건축물들은 자본주의적 사고와 서양 합리주의의 이원론적 공간관이 반영된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한국 고유의 정체성마저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20세기 이후 서양의 공간관은 현대 철학과 신(新)물리학의 등장으로 변화하고 있었고, 일원론적 성향을 띄는 철학가, 건축가, 과학자, 예술가 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서구 사람들은 이를 동양 신비주의라 하여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동서양을 하나로 묶는 일원론적 공간관의 재해석과 함께 한국 전통공간의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소쇄원(瀟灑園)의 공간조영에서 발견되는 현(現)시대의 일원론적 공간관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일원론과 관련하여 동양 사상, 서양 현대철학 그리고 신(新)물리학 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비교분석을 한다. 둘째, 일원론적 공간관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들 간의 공통된 공간적 특성을 키워드로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키워드들을 기존문헌과 선행연구에 의해 살펴본 소쇄원의 공간조영 영역에 대입하여 실증적 비교·분석을 통해 상호 관련성을 제시한다. (결과) 공간 특성 키워드는 상관성, 무한성, 우연성, 내재성, 가변성, 이중성, 상보성, 정신성으로 분류되며 , 소쇄원의 공간을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공통 특성을 대입해 본 결과 일괄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상관적, 가변적, 상보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500여 년 전 조영된 소쇄원을 21세기 주목받는 일원론적 공간관과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특성들의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상호의존적, 가변적, 상호보완적 특성과 함께 필수불가결한 상보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소쇄원은 현(現)일원론적 공간관을 대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한국의 전통건축문화재로서 지속적인 연구적 가치를 갖는다고 판단되며, 또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접근 및 해석을 통해 소쇄원 이외에도 수많은 한국 문화유산들의 가치가 다시 주목되고 활발히 연구되어지길 기대해본다.

키워드

일원론, 동양사상, 서양현대철학, 현대물리학, 소쇄원

참고문헌(18)open

  1. [학술지] 조인철 / 2013 /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쇄원의 음양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 호남문화연구 (53) : 171 ~ 203

  2. [학술지] 조태성 / 2009 / 소쇄원 조영에 투영된 감성 구조와 공간의 미학 -소쇄원 <四十八詠>과 공간 명칭에 투사된 음양설을 중심으로- / 호남문화연구 (44) : 323 ~ 348

  3. [단행본] Chun, Deukyeom / 1999 / Soswaewon : The Korean Famous Garden / BalEon Press

  4. [단행본] Fritjof Capra / 1975 / The Tao of Physics(An Exploration of the parallels between Modern Physics and Eastern Mysticism) / Boumyang Press

  5. [학술지] 황용섭 / 2009 / 공간관의 변화에 따른 사건과 장소의 관계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8 (2) : 25 ~ 32

  6. [학술지] 조한 / 2010 / 들뢰즈 철학과 SANAA 건축의 비표상적인 생태적 사유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 (06) : 131 ~ 140

  7. [단행본] Kang, Haksun / 2011 / Existence and Space, Heidegger’s existence topology and flow of thought / Hangil Press

  8. [단행본] Kim, Sanghong / 2007 / Spatial View of East Asian, Ancient Society of East Asia / KyungIn Press

  9. [단행본] Kwon, Sooyong / 2009 / History and Humanistic Activities / KungIn Press

  10. [단행본] Kwo, Younggull / 2011 / Space and Space Design, The language for space design / Nalmada Press

  11. [학위논문] 이경화 / 2004 /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쇄원의 공간개념에 관한 연구 : Wellness Center 계획을 중심으로

  12. [단행본] Lim, Seokjae / 2005 /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Oriental thought / BookHouse Press

  13. [단행본] Matthieu R. / 2000 / The universe in the palm / Saemtersa Press

  14. [단행본] Relph, Edward / 1976 / Place and Placelessness / NonHyoung Press

  15. [학술지] 이주희 / 2016 / 시품의 풍격과 한국 전통건축의 은둔적 사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 (1) : 101 ~ 114

  16. [단행본] Thomas J. McFarlane / 2002 / Einstein and Buddha / WhangSoGulEum Press

  17. [단행본] Yang, Jaeyoung / 2002 / 48yeong in Soswaewon with Pictures / RealityCulture Study Press

  18. [학위논문] 양수진 / 2006 / 상보적 이원론을 통한 주거 실내공간에서의 한국성 표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