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 및 산업발전, 도시화는 인간에게 각종 스트레스를 야기하였다. 이에 인간의 육체적인 부분, 또한 정신적인 영역까지 치유 되는 복합적인 치유환경이 주목 받기 시작하였으며, 그중 인간 중심적인 접근 방법과 공간체험을 중요시 하는 치유 환경에 대한 요구와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이러한 문제 그리고 그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직시하여, 인간생명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자연요소인 물이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물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인간과 물의 집적적인 관계를 가진 공간 중 Spa를 대상으로 체험적 치유공간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과의 체험을 통한 인간의 감정효과를 파악하고, 또한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고,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치유공간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우선, 체험의 개념을 알아보고 어떠한 체험을 통해 치유가 되는지 그 방법을 분석한다. 또한 이에 따라 치유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감각체험을 제시하고,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체험 등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체험과 복합적인 체험을 통한 감정효과를 분석하며, 물을 도입하여, 물의 개념과 물이 가지는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서 조사, 그리고 연출방법에 따라 도출되는 공간적 효과, 감각체험을 통해 나오는 감정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효과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앞서 고찰된 물의 특성과 물의 연출방법에 따른 감각체험과 그 치유효과를 토대로 분석 매트리스를 설정하고, 5개의 서로 다른 자연적인 Spa 공간사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종합적 사례 분석을 통하여 물의 연출방법과 특성에 따른 서로 다른 감각체험을 통한 다양한 치유효과를 도출해 내었다. 일례로 물의 맑기, 반사, 울림, 밝기의 정도가 크면 보통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고 침착하게 하는 효과를 불러일으켰다; 수량이 풍부하고, 맑고, 유동, 소리가 크고, 감촉이 거칠면, 지쳐있던 사람에게 에너지를 주는 효과를 가져왔다; 수량이 풍부하고 탁하고, 뿌연 물에서는 신비스러움과 편안함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결론) 현대적 의미의 치유공간이란, 신체적인 치유 뿐 만 아니라 마음의 치유도 되는 복합적인 치유공간이다. 이에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인 물을 이용한 체험을 통해, 사람들의 감각을 깨우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또한 마음이 치유되도록 공간을 구성하는 것은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물과의 체험을 기반으로 하는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요소와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키워드

물, 공간체험, 감각, 치유 공간, Spa공간

참고문헌(25)open

  1. [학위논문] Baek, H. / 1997 / 선형 공간구성에 의한 미디어 센터 계획안

  2. [단행본] Bell / 2003 / Environmental psychology / Sigmapress

  3. [학위논문] 장문정 / 2012 / 감각 체험을 위한 어린이 전시 공간 디자인 연구 : H사 체험 전시관 리노베이션을 중심으로

  4. [학위논문] 최진석 / 2011 / 소규모 미술관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공간체험 요소에 관한 연구

  5. [학술지] 최영미 / 2007 / 치매거주자의 공간이용행태에 따른 치유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 (5) : 91 ~ 100

  6. [학술대회] Dilani, Alan / 2000 / Psychosocially Supportive Design-Scandinavian Health Care Design / World Congress on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New Millennium : 234

  7. [단행본] Gil, Sungho / 2003 / The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 Space time

  8. [학위논문] 하은경 / 2010 /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9. [학위논문] 황용섭 / 2010 / 사건과 이미지에 의한 전일적 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10. [학위논문] 정혁진 / 2004 / 호텔 스파 프로그램 비교 연구 : 한국, 오스트리아, 태국의 호텔 스파를 중심으로

  11. [학술지] 정현원 / 2007 / 감성 평가를 위한 감성의 의미 재정립과 어휘 체계에 관한 연구 / 대한인간공학회지 26 (3) : 17 ~ 25

  12. [학술대회] Lee, Hungu / 2002 / The Importance of Healing Environment from Psychological View / Symposium on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92 ~ 100

  13. [학위논문] 이경민 / 2014 / 산림치유가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14. [학술지] 이승헌 / 2007 / 스파시설에 관한 기초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 (5) : 13 ~ 21

  15. [학술지] 이소영 / 2002 /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생태적 의료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1

  16. [학술대회] Monz, Antje / 2002 / International Current Trend in Medical care design / Symposium on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77

  17. [학위논문] 백승화 / 2001 / 시/청각적 촉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촉감 구현을 중심으로

  18. [학위논문] 박지숙 / 2001 / 공간 체험 분석에 기초한 디지털 미디어 전시공간 계획안

  19. [학위논문] 박소연 / 2014 / 빛과 감각을 중심으로 한 현대 스파 디자인의 치유 공간 구현에 관한 연구

  20. [학위논문] Seo, Soyoung / 1996 / 건축공간에서 ‘공간의 파괴’ 를 통한 시간체험에 관한 연구

  21. [학술지] 손광호 / 2005 / 종교건축 수공간의 현상학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 (6) : 193 ~ 201

  22. [단행본] Son, K. / 2013 / Gonggan el mul lo bo da / Miseum

  23. [단행본] Sul, Heasim / 2001 / English Spas-A Cultural History / Hangilsa press

  24. [단행본] Yu, Banghyun / 1999 / Exhibition of Water Space / Kimundang press

  25. [단행본] Zevi, Bruno / 1989 / Architecture as Space / Jipmoonsa press